상단여백

자닮 게시판  [ 모두 함께 참여하여 만드는 초저비용농업의 해법! ]

골분액비 사용관련
파주친환경 고추 자연자연 농장 2024-05-20 09:58:18 | 조회: 31130
전년부터 미생물 관주 이후 전기전도도 4.6에서 1.5로 대폭 개선 되었습니다.그러나 유효인산은 아직 부족하여 골분 액비를 사용하려 합니다

1. 인산의 이동성 안좋은것을 고려할때 점적관주보다는 뿌리쪽에 직접 살포하는것이 더 나을지요?

2. 인산액비의 회당 적정한 사용량과 물 희석 비율을 알고 싶습니다(300평당)

3. 인산이 유기산에 의해 이온화 된다는것을 전제할때 미생물 배양액과 혼용하면 더 나을지요?

4. 주기적으로 꾸준히 투입하는게 좋은지 아니면 몇차례만 하는게 좋을지요?

5. 골분액비는 전년 가을에 부엽토 넣고 담궜는데 아직 기포가 많습니다.발효가 덜 된 상태일까요?
2024-05-20 09:58:18
답변 수정 삭제
목록 글쓰기
게시물 댓글과 답글 4
  • 숨결 2024-05-21 13:39:26

    점적이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정답이 없는 질문인데요.
    저는 현재 P,K,Ca, Mg 등과 관련된 액비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기비와 천매암, 소금, 자닮미생물만 지속하고 있어요. 농업기술을 최대한 단순화해 보려는 노력인데요.

    액비는 20배 이상 희석, 100배 전후로 보시면 됩니다.
    미생물 배양액과 혼용이 더 좋습니다.

    기포가 많다는 것은 분해가 진행되는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래도 사용하는데 문제없습니다.
     

    • Xerxes 2024-05-21 00:12:44

      대표님이 말씀하시는 균의 다양화
      어떤 한종류의 군이 득세하는걸 멈추는게 자닮 미생물의 본질이라 보네요.
      제가 지금와서 느끼는건 염류장해나 연작장해에는 그리크게 체감을 못하지만
      잎곰팡이병이나
      제작년인가 청고병이 한라인을 초토화 시켰는데 바로옆에 토마토는 멀쩡한걸 보고 그때부터
      자닮 미생물의 힘을 믿었지요.
       

      • Xerxes 2024-05-20 23:53:27

        저는 그게 잘안맞더라고요.토양검정.
        저도 자닮 미생물 사용전엔 ec8.8근처에 산도 8.0을 찍었던 하우스인데
        미생물 사용후 ec1.0 산도 6.5까지 떨어졌었는데요
        그해 농사가 그리 드라마틱하게 좋아지지는 않았습니다.
        불용화 성분이 미생물 유기산에 의해 이온화가 그리 크게 되지는 않는거 같아요.
        대신 느끼는것은 몇년을 괴롭혀 오던 토마토 잎곰팡이병이 아예사라졌습니다.
        지역별 토착 미생물 특성이라봅니다.
        이런건 대규모로 연구한번 해보았으면 하는 마음이네요.
        도움이 못되어서 죄송합니다.
         

        번호 제 목 닉네임 첨부 날짜 조회
        공지 궁극의 친환경 농약, 혁신적 ‘자닮 미생물 농약(JMP)’ 발명!! - 2025-04-24 299
        공지 2025년 유기농 고추모종 예약(임성준 010-4025-1113) (1) 2025-02-03 803227
        공지 자닮 천연농약 전문강좌가 5월 27일(화) 개최됩니다. (강력한 신기술 공개) (6) 2024-10-21 1122940
        공지 후원자 전용 카카오 오픈 채팅방을 개설했습니다. 2024-08-23 1037049
        공지 8월 20일 후원자님들 자닮농장 방문, 뜻깊은 자리였습니다.(사진있음) (54) 2024-05-27 2909537
        22291 자닮유황 일반 지하수 사용여부! (1) - 2024-07-09 27308
        22290 내열병 재사용 관련 문의 (2) 2024-07-09 28468
        22289 사과나무 (2) - 2024-07-09 28075
        22288 고추 흰비단병 방제에 대하여? (1) 2024-07-09 24635
        22287 자닮오일을 천연주방세제로 (1) - 2024-07-09 26446
        22286 염화칼슘살포후 (2) - 2024-07-08 26248
        22285 고추 상태가. (1) 2024-07-07 29472
        22284 처음살포12번 유황농도 (1) - 2024-07-07 26108
        22283 담배나방 피해. (1) 2024-07-07 26955
        22282 소독액탄 은행물과 자닮오일 (1) 2024-07-07 34543
        22281 감자 미생물 배양 상태 봐주세요. (1) 2024-07-07 30047
        22280 미생물 살포후 경운? (1) - 2024-07-07 26020
        22279 조대표님의 고추는 추비를 어떻게 하시나요? (4) - 2024-07-06 25265
        22278 잘 자라던 고추가 시들시들 죽어갑니다 (2) - 2024-07-06 24774
        22277 굴곡과 (2) 2024-07-06 23975
        22276 고추열매 (1) 2024-07-06 28115
        22275 고추하우스에 참새들. (2) - 2024-07-05 26096
        22274 자닮살충제(은행물) 대신에~~ (1) - 2024-07-05 27533
        22273 콩 줄기 끊어버린 범인 (1) 2024-07-05 29769
        22272 고추의 이 증상은 왜 그런가요. 해결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1) 2024-07-05 26829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