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자닮 게시판  [ 모두 함께 참여하여 만드는 초저비용농업의 해법! ]

골분액비 사용관련
파주친환경 고추 자연자연 농장 2024-05-20 09:58:18 | 조회: 33209
전년부터 미생물 관주 이후 전기전도도 4.6에서 1.5로 대폭 개선 되었습니다.그러나 유효인산은 아직 부족하여 골분 액비를 사용하려 합니다

1. 인산의 이동성 안좋은것을 고려할때 점적관주보다는 뿌리쪽에 직접 살포하는것이 더 나을지요?

2. 인산액비의 회당 적정한 사용량과 물 희석 비율을 알고 싶습니다(300평당)

3. 인산이 유기산에 의해 이온화 된다는것을 전제할때 미생물 배양액과 혼용하면 더 나을지요?

4. 주기적으로 꾸준히 투입하는게 좋은지 아니면 몇차례만 하는게 좋을지요?

5. 골분액비는 전년 가을에 부엽토 넣고 담궜는데 아직 기포가 많습니다.발효가 덜 된 상태일까요?
2024-05-20 09:58:18
답변 수정 삭제
목록 글쓰기
게시물 댓글과 답글 4
  • 숨결 2024-05-21 13:39:26

    점적이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정답이 없는 질문인데요.
    저는 현재 P,K,Ca, Mg 등과 관련된 액비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기비와 천매암, 소금, 자닮미생물만 지속하고 있어요. 농업기술을 최대한 단순화해 보려는 노력인데요.

    액비는 20배 이상 희석, 100배 전후로 보시면 됩니다.
    미생물 배양액과 혼용이 더 좋습니다.

    기포가 많다는 것은 분해가 진행되는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래도 사용하는데 문제없습니다.
     

    • Xerxes 2024-05-21 00:12:44

      대표님이 말씀하시는 균의 다양화
      어떤 한종류의 군이 득세하는걸 멈추는게 자닮 미생물의 본질이라 보네요.
      제가 지금와서 느끼는건 염류장해나 연작장해에는 그리크게 체감을 못하지만
      잎곰팡이병이나
      제작년인가 청고병이 한라인을 초토화 시켰는데 바로옆에 토마토는 멀쩡한걸 보고 그때부터
      자닮 미생물의 힘을 믿었지요.
       

      • Xerxes 2024-05-20 23:53:27

        저는 그게 잘안맞더라고요.토양검정.
        저도 자닮 미생물 사용전엔 ec8.8근처에 산도 8.0을 찍었던 하우스인데
        미생물 사용후 ec1.0 산도 6.5까지 떨어졌었는데요
        그해 농사가 그리 드라마틱하게 좋아지지는 않았습니다.
        불용화 성분이 미생물 유기산에 의해 이온화가 그리 크게 되지는 않는거 같아요.
        대신 느끼는것은 몇년을 괴롭혀 오던 토마토 잎곰팡이병이 아예사라졌습니다.
        지역별 토착 미생물 특성이라봅니다.
        이런건 대규모로 연구한번 해보았으면 하는 마음이네요.
        도움이 못되어서 죄송합니다.
         

        번호 제 목 닉네임 첨부 날짜 조회
        공지 궁극의 친환경 농약, 혁신적 ‘자닮 미생물 농약(JMP)’ 발명!! - 2025-04-24 201812
        공지 자닮 천연농약 전문강좌가 5월 27일(화) 개최됩니다. (강력한 신기술 공개) (6) 2024-10-21 1246870
        공지 후원자 전용 카카오 오픈 채팅방을 개설했습니다. 2024-08-23 1152726
        공지 8월 20일 후원자님들 자닮농장 방문, 뜻깊은 자리였습니다.(사진있음) (54) 2024-05-27 3069801
        15275 탄저는 아닌 것 같은데.... (3) 2024-08-29 31793
        15274 배추방제와 미생물 옆면시비에 문의 드립니다. - 2024-08-29 28484
        15273 칼슘과 마그네슘을 흡착하고 교환된 나트륨 (1) - 2024-08-28 36011
        15272 연수기 물을 분재 관수에 지속적으로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1) - 2024-08-27 31329
        15271 이것도 미생물? (1) 2024-08-27 32154
        15270 배추벌레 (1) - 2024-08-27 32075
        15269 자닮유황살포시 백강균,녹강균 혼용이 가능할까요? (1) - 2024-08-26 29079
        15268 배추방제에 대하여 (1) - 2024-08-24 27763
        15267 무 직파후 싹이틀때 방제문의 (1) 2024-08-23 31985
        15266 감자 미생물 (2) 2024-08-22 28809
        15265 고추무슨병인가요? (1) 2024-08-21 32685
        15264 은행물 확인부탁합니다. (2) 2024-08-21 29629
        15263 무화과 총채벌레 자닮식 방제법으로 방제 궁금한점 있습니다. (1) - 2024-08-20 27211
        15262 고추한번 봐주세요. (2) 2024-08-20 28602
        15261 고추 윗가지를 자르면. (1) 2024-08-20 28176
        15260 자닮식 병충해방제 (1) - 2024-08-20 30430
        15259 자닮오일 최대허용량? (1) 2024-08-19 25350
        15258 벼룩벌레 방제방법 (1) - 2024-08-15 24813
        15257 자닮유황 만들때 쓰는 110리터 용기 문의 드립니다 (1) - 2024-08-15 27377
        15256 자달유황 관련 문의 (1) - 2024-08-14 26219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