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자닮 게시판  [ 모두 함께 참여하여 만드는 초저비용농업의 해법! ]

연해주 소식 - 일본에 의한 4월 참변 희생자 한.러 합동추모제
다락골 2007-04-09 20:50:05 | 조회: 8018
오늘은 연해주의 자연농업 이야기 대신 우스리스크에서 개최된
1920년 4월 일본군에 의한 한인 독립운동가와 러시아인에 대한
학살을 추모하는 한.러 합동 추모제 소식을 올립니다.
사진을 여러장 올릴 방법을 몰라 한장만 올립니다.
다른 사진도 보고 싶은 분은 아래의 까페에 들어오시면
사진 뿐 아니라 연해주에서 펼쳐지는 고려인의 자연농업
이야기도 접할 수 있습니다.
-------------------------------------------------------

4월 7일!
항상 불어대던 바람도 없고 화창한 봄 날.
우수리스크 ‘꺼지지 않는 불꽃’ 광장에는
한국인, 고려인, 러시아인들이
손에는 꽃을 두 송이씩 들고 모였습니다.
87년 전인 1920년 4월 4일과 5일에 걸친
일본군의 학살에 희생된
조선인과 러시아인을 추모하는
작년에 이어 두번째 개최되는
한국과 러시아의 합동 추모행사입니다.

러시아 국가와 애국가가 울리며
추모행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우수리스크 부시장, 고려인 단체장 대표,
당시 희생된 최재형선생의 손자, 한국영사관의 총영사 등
많은 사람들이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와
고난을 함께 한 양국간의 협력 증대 등을 연설하였습니다.
최재형선생의 손자는 이 행사를 위해 모스크바에서 왔습니다.

연설 중간에는 당시 상황을 재현하는 공연도 있었습니다.
러시아 무용단과 ‘아리랑 가무단’이
춤으로 당시의 아픔을 가슴이 찡하도록 전해 주었습니다.
‘아리랑 가무단’은 ‘울 밑에 선 봉선화’를
배경음악으로 공연을 하였습니다.

40분 남짓한 추모 행사는 의장대의
3발의 총성에 이은
헌화로 끝이 났다.


시작과 끝, 그리고 중간부분
모두 3번 러시아 국가와 애국가가 함께 연주되었습니다.
우수리스크의 광장에서 듣는 애국가는
한국의 행사에서 듣고 부르던 애국가와는
다른 감동으로 다가왔습니다.

6개 마을에 운영중인
마을센터에서 활동중인 자원활동가들도
모두 행사에 함께 참여하였습니다.


다음날인 8일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행사를 추진한
반병률 교수, 부인 김보희 교수, 최재형선생의 손자와 함께
당시 지도자들이 처형된 곳으로 기록된 장소와 활동공간들을
찾아 다녔습니다.

반병률 교수의 부인 김보희 교수는
고려인들이 부르던 노래들을
몇 년간에 걸쳐 채록, 채보하여
고려인들의 노래를 통한 정체성을 연구하여
음악인류학 분야 박사를 받고
노래집(‘잊혀진 고려인의 노래’)을 펴낸
고려인들의 가까운 벗입니다.


** ‘4월 참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조 바랍니다.

올해는 러시아 연해주에 거주하던 고려인 20만명이 스탈린의 탄압으로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당한 지 70주년이 되는 해다.
1937년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이역만리 중앙아시아로 쫓겨난
러시아 한인들은 사막 벌판을 옥토로 만들며 ‘카레이츠’(고려인)로 우뚝 섰다.
현재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와
러시아에 거주하는 고려인은 약 55만명.
경향신문은 전문가 기고를 통해
연해주•시베리아에서 중앙아시아로 내몰려야 했던
고려인의 역사성을 되짚어 보는
‘고려인 강제이주 70주년, 그 자취를 좇아’를 연재한다.

한인의 러시아 이주는
1863년 겨울 함경도 농민 13호가 두만강을 건너
연해주 남부 지신허강 계곡에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뒤 1869년 대흉년이 들면서 함경도 육진의 농민 6500여명이
6월부터 12월까지 대거 이주하니,
이를 ‘경오도강(庚午渡江)’이라 부른다.
이들의 이주는 기아에서 벗어나기 위한 필사의 몸부림이었다.

중국과 달리 러시아 당국은 그런 한인의 이주를 환영했다.
연해주 지역은 인구밀도가 낮고 식민개발이 절실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 무렵 러시아는 ‘러시아인을 위한 러시아’라는 슬로건 아래
극동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러시아인의 이주를 적극 장려하고 있었다.
연해주 지역에서 러시아인의 정착이 크게 늘어가는 가운데
한인들의 이주도 꾸준히 증가해 1908년께에는
이 지역 인구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한인사회를 키워나갔다.

당시 연해주 한인들은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했으나,
품삯을 벌기 위해 온 ‘외품자리’라는 떠돌이 임금노동자, 납품업자들도 있었다.
그 중 ‘뽀드라치크’라 불린 납품업자들은 러시아군대와 관청에
쇠고기, 벽돌 등의 납품과 군부대 시설공사를 통해 부를 축적하기도 했다.
1896년 아관파천으로 친러내각이 들어설 때,
이들 가운데는 공사관 직원이나 군사교관의 통역으로 조선에 들어오거나
조선 정부의 요직에 임명된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연해주의 한인들은 러시아 당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수난을 겪어야 했다.
한인의 이주를 받아들인 러시아였지만,
러시아가 일본이나 중국과 전쟁을 벌일 경우
한인 이주자들이 ‘적국(敵國)의 광범한 첩보조직’으로
기능할 것을 우려, 경계하고 탄압하기 시작했다.
물론 연흑룡주 총독 곤닷치 같이 연해주 지역에서 한인의 역할을 높이 평가하고,
후원하던 이도 있었다.
그는 1912년 신한촌을 직접 방문해
“한국을 사랑하지 않는 한인들은 러시아에서도 환영받지 못할 것이다”라는 말을 남겨
한인들을 감동시키기도 했다.

한인사회의 형성과 함께 연해주 지역은 1910년 망국을 전후해
해외독립운동기지로 발전해 갔다.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지리적 이점과 북간도 지역에 비해
일제의 간섭과 탄압이 덜 미치던 연해주 지역은
독립운동기지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러일전쟁 직후 간도관리사 이범윤은 이곳에서 의병을 이끌었다.
1908년 국내 진입작전을 전개하던 안중근 의병부대의 근거지도 바로 연해주 지역이었다.
한인사회의 지도자 최재형은
이들 의병을 적극 지원하면서 구국의 뜻을 펼쳐 나갔다.
한인사회의 중심지인 블라디보스토크에서는 한인학교가 세워지고
한글신문인 ‘해조신문’ ‘대동공보’ ‘대양보’ ‘권업신문’ 등이 발간되면서
계몽운동을 꽃피워 나갔다.
1910년 여름 망국이 임박해진 가운데
의병과 계몽인사들이 힘을 합해 13도의군(十三道義軍)과 성명회를 조직하며
일제의 강제병탄에 맞서 최후까지 항쟁을 벌여 나갔다.
이후에도 이 지역 한인의 독립운동은 꺼질 줄 모르는 불꽃처럼 타올랐다.

1911년 12월에 조직된 권업회는 한인사회의 자치적 대표기관으로서
권업신문 발간, 학교 설립, 러시아 국적 취득 알선, 한인 이주 50주년 기념행사 등을
추진하며 독립운동의 장도적 방도를 모색해 갔다.
그런 가운데 1913년 말 이동휘, 이종호, 이상설, 이동녕 등이
대한광복군정부를 조직하면서 독립운동의 기치를 크게 올렸다.
이는 러일전쟁 10주년을 맞이해 제2의 러일전쟁이 발발할 것을 기대하고,
그때를 광복의 기회로 삼으려는 전략에서 시도된 것이었다.
그러나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발발과 함께 러시아와 일제가 동맹관계로 돌변하고,
러시아 당국이 한국 독립운동을 탄압하면서 대한광복군정부의 구상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1917년 러시아의 2월 혁명은 한인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가져다 주었다.
2월 혁명을 열렬히 환영하던 한인들은
동년 6월 전로한족대표자회를 개최하며 활동을 재개했고,
대회 결의에 따라 신한촌에서는 ‘한인신보’,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서는 ‘청구신문’이 창간되었다.

10월혁명 후 한인사회의 움직임은 더욱 활발해졌다.
하바로프스크에서 한족중앙총회,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서 전로한족중앙총회 등이
만들어지며, 독립운동을 전개해 갔다.
전로한족중앙총회는 연해주 지역 3•1운동을 주도하는 한편
러시아 지역, 서북간도, 그리고 국내의 대표들까지 아우른 가운데
대한국민의회로 확대•개편되었다.
상하이 임시정부와 더불어 해외 임시정부의 쌍두마차를 형성하던
대한국민의회는 1919년 가을 상하이 임시정부와 통합하기에 이른다.

그런가 하면 친볼셰비키적인 이동휘, 김립, 박애, 이한영, 장기영 등이
1918년 5월11일 사회주의 정당인 한인사회당을 창립하기도 했다.
그렇듯 연해주 지역은 해외 한인사회 가운데
어느 곳보다 사회주의 혁명의 영향이 크게 미치던 곳이었다.
볼셰비키 혁명 전선에서 크게 활약하던 한인들은
혁명을 반대하는 일본군과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1920년 4월에는 시베리아에 침투한 일본군에 의해
대규모의 방화, 파괴, 학살 등의 만행이 저질러졌다.
‘4월참변’이라 불리는 이 일로 최재형, 김이직, 엄주필 등
한인지도자들이 학살되는 등 한인사회가 커다란 피해를 입고 말았다.

한국민족운동사에서 '4월참변'이란
1920년 4월 4일 밤부터 이튿날 아침까지 시베리아에 출병 중인 일본군이
연해주 지역 러시아혁명군과 정부, 관공서와 함께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 등지를 대대적으로 공격해
방화, 가택수색, 검거, 학살을 자행한 사건을 말한다.

1917년 10월 혁명이 일어나고 러시아에 볼셰비키 정권이 수립되자
일본과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열강은 이를 붕괴시키고자
1918년 8월 시베리아 출병을 단행하는 한편
반(反) 볼셰비키 세력인 러시아 백위파를 지원했다.

하지만 볼셰비키의 완강한 저항에 직면한 다른 열강 군대가 철병을 단행하자
홀로 남게 된 일본군은 4월참변을 통해
블라디보스토크와 우수리스크, 하바로프스크, 스파스크, 이만(달네레첸스크),
포시에트 등지의 주요 도시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연해주 지역 거주 한인들은 대거 검거되거나 학살되었으며
주요 지도자는 정식 재판 절차도 없이 학살됐다.

당시 니콜스크-우수리스크라고 일컫던 우수리스크에서는
최재형, 김이직, 엄주필, 황경섭을 비롯한 한인 지도자가 일본 헌병대에 학살됐으며,
지금까지도 그들의 시신에 대한 행방은 전혀 밝혀지지 않고 있다.

1922년 말 시베리아 내전이 종결되고 소비에트체제를 확립해 가는 과정에서
한인사회 역시 급격히 변질되어 갔다.
스탈린 정권은 민족적 가치를 철저히 배제하는 가운데
한인의 전통 마을을 집단농장으로 재편해갔다.
민족적 한인들에 대한 체포, 감금, 처형 등 대탄압도 거세졌다.
1931년 일제의 만주침공, 1937년 중일전쟁 등 일제의 대륙침략이 본격화되자
연해주 지역의 안보를 우려한 스탈린 정권은
80여년 가까이 이 지역을 개척하며 혁명 전선에 앞장서왔던 한인들을 배신한 채
1937년 가을 무자비하게 중앙아시아 강제이주를 감행했다.

〈반병률|한국외대 사학과 교수〉


카페 이름 : 연해주 고려인 농업정착 지원센터
카페 주소 : http://cafe.daum.net/wekoreanwoo
카페 소개 : 동북아 평화연대가 러시아 연해주에서
고려인 동포들의 농업 재정착을 돕고 있는
" 고려인 농업정착 지원사업 카페"입니다.
사업 지역은 우수리스크 ,미하일로프까 와 스파스크 지역 등이고,
현재 6개의 마을에 센터가 현재 운영되고 있으며,
총 본부는 미하일로프까 우정마을내의 "그루터기" 입니다.
한국에서는 동북아 평화연대, 아름다운가게, 자연농업협회, 사회연대은행,
머니투데이등의 단체가 함께 하고 있습니다.
우수리스크 지역의 고려인 이주 기념관과 민족학교 설립에 이어
2004년부터 사업을 시작 하였으며,
약 10년에 걸쳐 고려인 정착과
동북아 평화공동체를 실현할 다양한 활동을 할 계획 입니다.
2007-04-09 20:50:05
답변 수정 삭제
목록 글쓰기
게시물 댓글과 답글 1
  • 숨결 2007-04-10 18:29:19

    연이은 소식 감사드립니다. 언젠가 한번 가볼기회가 있겠지요. 얼마전 관련자분께서 다녀가셨어요. ^^  

    번호 제 목 닉네임 첨부 날짜 조회
    공지 <신청마감>자닮 후원자님들을 모시고 11월 19일 강좌를 개최합니다. (1) 2024-10-21 46573
    공지 후원자 전용 카카오 오픈 채팅방을 개설했습니다. - 2024-08-23 214043
    공지 8월 20일 후원자님들 자닮농장 방문, 뜻깊은 자리였습니다.(사진있음) (54) 2024-05-27 759887
    공지 후원자 분들과 매월 말 줌(ZOOM) 미팅을 하고 있습니다. - 2024-05-23 573003
    공지 자닮농장이 '인스타그램'을 통해서 실시간 공개되고 있습니다. (13) 2023-05-19 1951536
    5559 야생버섯 주의하세요. - 2007-09-20 7263
    5558 “나한테 에이즈 옮은 새 남편 끝까지 나를 탓하지 않았다” (1) - 2007-09-20 8511
    5557 비염 있는 분들 성묘길에..... (1) - 2007-09-19 7782
    5556 무서운 우리집 닭들 (2) - 2007-09-19 7870
    5555 가을이 아름다운 건 - 2007-09-19 8089
    5554 밤, 다이어트·심장질환 예방에 효과 - 2007-09-19 7419
    5553 회원님과 고객님께 진심으로 고마운 마음을 전해올립니다. (4) 2007-09-19 7535
    5552 태풍[나리]가 지나간 흔적 (8) - 2007-09-17 7774
    5551 제 주장이 사실로 들어났습니다! (5) - 2007-09-17 8572
    5550 추석연휴로 9월 21일과 28일 금요강좌를 쉽니다. - 2007-09-17 7540
    5549 나리가 남긴 흔적 (6) 2007-09-17 7765
    5548 어제는 소나기처럼 일하고 (2) 2007-09-16 7444
    5547 태풍이 온다는디..에럽다.. (6) - 2007-09-15 7881
    5546 나린지 나빈지 때문에 이게 먼일이고............. (4) - 2007-09-15 7557
    5545 세척한다는 것. (5) - 2007-09-14 7547
    5544 묵은살림 하나에 주절이 주절이 (1) - 2007-09-14 7282
    5543 올 첫 수확에 이르러... (2) - 2007-09-13 7302
    5542 한복이 필요 합니다. (4) 2007-09-13 7620
    5541 이런 날이 왔으면 좋겠네....... (1) - 2007-09-12 7194
    5540 지구온난화 美 곡물작황 타격 본격 가시화 - 2007-09-12 7080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