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자닮 게시판  [ 모두 함께 참여하여 만드는 초저비용농업의 해법! ]

제충국 이미지와 자료
으아리 2007-06-01 04:57:45 | 조회: 9778

제충국에 대한 많은 관심에 비해
적지않은 오해와 오류가 있는 것 같아
구글에서 검색한 제충국 이미지와 자료를 올립니다.

참고로 구글을 검색하다 보니
국화속(Chrysanthemum)식물들이 비슷비슷해 구분이 어렵다보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제충국에 대한 오류가 많은 것 같습니다.

제충국(학명: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으로 많이
오인되고 있는 샤스타데이지(학명:Chrysanthemum burbankii)나
다른 국화속(산국,감국,구절초 등)에도 제충성분인 피레트린이
함유되어 있는지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출처 : www.illustratedgarden.org/mobot/rarebooks/page.asp?relation=QK99A1K6318831914B3&identifier=0432


출처 : www.biomatnet.org/secure/Fair/S337.htm


bgColor=#ffffff border=0>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sub_box_03.gif"
width=3>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sub_box_04.gif" width=3>




작물 상세 정보 - 제충국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sub_box_06.gif"
width=3>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sub_box_07.gif" width=3>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sub_box_09.gif"
width=3>





style="BORDER-RIGHT: darkgray 1px solid; BORDER-TOP: darkgray 1px solid; BORDER-LEFT: darkgray 1px solid; BORDER-BOTTOM: darkgray 1px solid"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585 border=0>






















학명 : href="http://genebank.rda.go.kr/search/resource_list.asp?hakname=Tanacetum cinerariifolium"
target=_blank>Tanacetum cinerariifolium (Trevir.) Sch.
Bip.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g/icon/dot_3.gif" width=3
align=absMiddle> 정명 : 제충국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g/icon/dot_3.gif" width=3
align=absMiddle> 이명: href="http://genebank.rda.go.kr/search/name_view.asp?speciesnum=10350"
target=_blank>Chrysanthemum cinerariifolium (Trevir.) Vis.

href="http://genebank.rda.go.kr/search/name_view.asp?speciesnum=30414"
target=_blank>Pyrethrum cinerariifolium Trevir.

href="http://genebank.rda.go.kr/search/name_view.asp?speciesnum=104580"
target=_blank>Tanacetum cinerariifolium (Trevir.) Sch. Bip.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g/icon/dot_3.gif" width=3
align=absMiddle> 일반명
한글명 :
제충국
기타명 :

pyrethrum
[ ... , 출처: World Econ Pl ]

piretro
[ Spanish , 출처: Dict Rehm ]

pelitre
[ Spanish , 출처: Dict Rehm ]

Dalmatian
insect-flower [ ... , 출처: Baileya 23:157. 1991 ]

Dalmatia
pyrethrum [ ... , 출처: Baileya 23:157. 1991 ]


style="BORDER-RIGHT: #d3d3b4 1px solid; BORDER-TOP: #d3d3b4 1px solid; BORDER-LEFT: #d3d3b4 1px solid; BORDER-BOTTOM: #d3d3b4 1px solid"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585 border=0>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i-2.gif"
align=absMiddle>
형태특성
발칸반도 달마티아 지방 원산의 여러해살이풀. 대부분
백화종의 달마티아종이다. 높이는 60cm이다. 밑부분의 마디사이는 짧고 윗부분의 마디사이는 길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줄기의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다.

src="http://genebank.rda.go.kr/newplantdicMng/imgsearch/ThumbnailImage.aspx?imgname=0526_1.jpg&type=1"
width=470>






제충국[그림] 홍화종(왼쪽) 및 백화종(오른쪽)의 꽃과 뿌리.
잎은 2~3회 깃꼴로 깊게 갈라지며 찢어진 잎조각은
좁다. 잎뒷면은 털이 밀생한다. 6월 무렵 긴 꽃줄기가 나오며, 지름 3cm 정도의 머리꽃(頭狀花)이 핀다. 머리꽃은 바깥쪽에 15~20개의
흰빛 혀꽃(舌狀花)이 늘어서고, 중앙에는 많은 노란빛 대롱꽃(管狀花)이 있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얇은열매(瘦果)이며 길이
4mm로 황갈색을 띤다. 브라질, 케냐, 콩고 등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속명(Chrysanthemum)은 그리스어의
chrysos(황금의)와 spleen(지라)의 합성어이며, 종명(cineriaefolium)은 ‘회색잎의’를 뜻한다.
href="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dictionary/cropdetail.asp?cropSeq=213&ValidSpNum=104580&cropname=제충국#top">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top.gif" border=0>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i-2.gif"
align=absMiddle>
재배내력
발칸반도에서는 예로부터 재배됐다고 하지만 유럽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은 시기는 1694년경이며 대량재배가 시작된 것은 1840년경부터이다. 1860년에는 미국에 전파됐다고 하며, 일본에는
1885~1886년경에 미국과 오세아니아주에서 도입돼 재배가 시작됐다. 한국에는 도입된 시기가 분명하지 못하나 일본 사람들에 의해 들어온 것으로
추측된다. 제주도 지방에서 소량 재배됐다.
href="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dictionary/cropdetail.asp?cropSeq=213&ValidSpNum=104580&cropname=제충국#top">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top.gif" border=0>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i-2.gif"
align=absMiddle>
품종
종류는 홍화종(페르시아종; Chrysanthemum
coccineum)과 백화종이 있는데, 홍화종은 페르시아 원산이다. 제충국은 개화기에 따라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나뉘고, 꽃의 크기에
따라 대화종, 소화종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품종의 분화가 돼 있지 않다. 일본에서는 조생종 · 재래종 · 북해 1호 등이
재배되고 있으며, 특히 북해 1호는 3배체로 피레드린의 함유율이 높고 내병성이 강하며 다수품종이어서 많은 재배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src="http://genebank.rda.go.kr/newplantdicMng/imgsearch/ThumbnailImage.aspx?imgname=0527_T1.jpg&type=1"
width=470>






[표] 피레트린 함량
href="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dictionary/cropdetail.asp?cropSeq=213&ValidSpNum=104580&cropname=제충국#top">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top.gif" border=0>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i-2.gif"
align=absMiddle>
재배환경
저온에 대한 저항력이 강한 편이나 영하 7~영하 8도
이하에서는 동해를 받아 생육장해와 그루의 고사를 초래하기 때문에 영하 10도 이하의 지역에서는 겨울철에 재배하지 않는 것이 좋다. 꽃눈분화는
5도 가량의 저온을 필요로 한다. 생육기간에는 많은 강우(연간 1500mm)가 있는 것이 좋다. 토질은 배수가 좋아야 하며 배수만 잘 되면
토양의 종류는 가리지 않는다.
산성토양에서 견디는 힘이 강하나 적정 토양산도는
pH6~7이다.
href="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dictionary/cropdetail.asp?cropSeq=213&ValidSpNum=104580&cropname=제충국#top">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top.gif" border=0>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i-2.gif"
align=absMiddle>
재배기술
번식은 포기나누기, 씨뿌리기, 꺾꽂이 등의 방법으로 하나
그 중 씨뿌리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씨뿌리기의 경우에도 종자를 본포에 직접 파종할 수 있으나 종자가 작고 발아율도 낮아서 묘상에서 육묘해
이식하는 것이 유리하다. 발아적온은 17~18도이다. 춘파한 것은 9월 중 하순에 이식하고 추파한 것은 4~5월에 이식한다.
재식밀도는 이랑너비 40~60cm에 포기사이 30cm
가량으로 해 1그루에 건실한 묘는 1본씩, 작은 묘는 2~3본씩 심는다. 시비량과 비료의 종류는 형편에 따라서 다르지만 10a당 퇴비
750~1200kg, 황산암모늄 12kg, 과인산석회 27kg, 황산칼리 8kg 가량을 기준해서 준다.
href="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dictionary/cropdetail.asp?cropSeq=213&ValidSpNum=104580&cropname=제충국#top">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top.gif" border=0>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i-2.gif"
align=absMiddle>
수확
수확은 묘를 본포에 이식한 다음해부터 본격적인 수확을
하게 된다. 적기는 건화의 수량과 피레드린의 함량이 최고에 달하는 시기라 할 수 있는데, 그 시기는 1개의 꽃을 기준으로 하면 모두 피었을
때이다. 계속 재배할 것은 그루를 지상 9cm 가량 남기고 베며, 계속 재배하지 않을 것은 뿌리째 뽑아버린다.
href="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dictionary/cropdetail.asp?cropSeq=213&ValidSpNum=104580&cropname=제충국#top">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top.gif" border=0>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i-2.gif"
align=absMiddle>
병해충
잘록병은 토양전염을 하기 때문에 토양소독을 하고 3년
이상 윤작을 해야 한다. 식물체의 전 부분에 발병하는 오갈병은 보르도액을 이른 봄부터 4~5회 살포해 준다. 균핵병은 심경, 윤작, 종자소독을
하고 피해부를 제거해 세레산석회를 뿌려준다. 해충은 점박이응애, 총채벌레가 알려져 있다.
석회황합제, BHC를 비롯한 각종 살충제를 뿌려
방제한다.
href="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dictionary/cropdetail.asp?cropSeq=213&ValidSpNum=104580&cropname=제충국#top">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top.gif" border=0>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i-2.gif"
align=absMiddle>
생산현황
제1차세계대전까지는 유고가 대량 생산국이었으나 그후
일본에서 급격히 생산이 많아져서 1935년에는 세계생산량의 98% 가량을 생산하게 됐다. 한편 1938년경부터 아프리카의 케냐, 남아메리카의
브라질에서 재배하기 시작해 1945년에는 케냐가 세계총생산량의 약 70%, 브라질이 약 14%를 차지했다. 현재는 케냐, 콩고를 비롯한 중남부
아프리카에서 연간 7천톤 이상이 생산되고 있으며, 그밖에 브라질 연간 500톤, 일본 연간 1600톤 등이다.
href="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dictionary/cropdetail.asp?cropSeq=213&ValidSpNum=104580&cropname=제충국#top">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top.gif" border=0>
src="http://genebank.rda.go.kr/new_plantdic/images/i-2.gif"
align=absMiddle>
용도이용
제충국은 활짝 핀 꽃을 따서 말린 다음 분말로 만들어
살충제로 사용한다. 곤충에 대해서 강한 독성을 나타내지만 온혈동물에는 독성이 거의 없다. 살충성분은 피레드린(Pyrethrin)이며
0.8~1.3% 포함돼 있다. 피레드린은 그밖에도 모기향, 벼룩을 잡는 가루, 그리고 농약의 원료로 사용된다.

<출처 :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사이버농작물/품종백과>





align=center bgColor=#e2e1e1 background="" border=0>



color=#000000>일반특성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m_images/ani_point1.gif"
width=7 border=0> 식물명 : 제충국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m_images/ani_point1.gif"
width=7 border=0> 과 명 : 국화과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m_images/ani_point2.gif"
width=7 border=0>
학 명 : Chrysanthemum
cineriaefolium
(Trev.)Bocc. (Pyrethrum cineriaefolium
Trev.)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m_images/ani_point3.gif"
width=7 border=0> 영 명 : insect flower, pyrethrum flower,
dalmatian pyrethrum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m_images/ani_point1.gif"
width=7 border=0>
한 명 : 除蟲菊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general/images/title2_2.gif"
width=205 border=0>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name="재배 내력">재배
내력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제충국은 발칸반도 달마티아(Dalmatia) 지방이 원산지이다. 이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재배되었다고는 하지만 유럽에서
그 가치를 인정하고 널리 재배하게 된 것은 19세기 말엽부터라고 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1840년경 달마티아 지방에서 재배가 시작된 이래 유럽에 점차 전파되었고, 1860년에는 미국에 전해졌으며, 일본에는
1885∼1886년경에 미국과 호주에서 도입되었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분명하지 안으나 일본 사람들이 들여온 것으로 생각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2차대전 이전에는 유고에서 대량생산되었고 전쟁으로 생산이 감소하면서 일본에서 생산이 늘어 1935년에는 세계 제1위
생산국으로 부상하였다. 일본의 주산지는 북해도, 廣島, 岡山, 愛媛, 和歌山 이었으나 지금은 재배가 없고 해안지방에 관광지에서 전시용으로 재배가
되는 정도이며, 현재는 아프리카 케냐가 주 생산국이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color=#464d23 size=2>식물 형태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제충국은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키는 30∼60cm 정도이고 가지가 많다. 줄기 아래에는
흰털이 많이 난다. 뿌리는 직근이 길게 뻗고 측근이 발생하여 건조한 조건에 강하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잎은 호생하며, 아래 잎은 잎자루가 길고 계란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깃털모양으로 깊이 갈라지며 갈라진 쪽잎들은 2회
갈라진다. 잎 밑은 엽병에서 흘러 쐐기 모양이다. 위 잎은 잎자루가 없이 작은 托葉(탁엽)이다. 잎 뒷면에는 흰털이 많이
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줄기에서 화경이 길게 신장하여 선단에서 두상화서를 이루는데 두상화는 직경이 3cm 정도이며, 포엽은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두상화 가장자리에는 15∼20개의 설상화가 있으며, 안쪽에는 중심화가 있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설상화는 암술이 있고(중국 약용식물 재배학) 꽃잎은 길이 2cm, 폭 5∼6mm 정도이며 흰색이다. 중심화는 암술
1개, 수술 5개의 양성화이고 꽃잎은 황색으로 끝이 5갈래 진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열매는 수과이며 관모가 있고 황갈색으로 길쭉하여 길이가 4mm, 두께가 1mm 내외이고, 1,000립중은 0.97g,
1ℓ중은 250∼300g이며, 홍화종은 수과의 길이가 3.3mm 내외이고 1,000립중이 1.4g 가량이며, 그 빛깔은 짙은
갈색이다.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general/images/pic1.gif"
width=275
border=0>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general/images/title2_3.gif"
width=205 border=0>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0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face=굴림 color=#464d23 size=2>성분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제충국의 꽃에는 곤충의 신경을 마비시키는 pyrethroide 성분이 들어 있다. 피레트로이드는
피레트린Ⅰ(C21H28O3)과 피레트린Ⅱ(C22H28O5), cinerinⅠ(C20H28O3)과 cinerinⅠ(C21H28O5),
jasmolinⅠ과 jasmolin이 있고, 피레트린은 pyrethrolone과 chrysanthemum monocarboxylic
acid의 에스테르 화합물이다. 피레트린Ⅰ이 독성이 강하며 에스테르가 가수분해 되면 살충효과가 없다. 그외 피레트롤이 있으나 살충효과는 없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color=#464d23 size=2>이용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align=justify>피레트로이드는 곤충에 대해서는 강력한 운동신경 마비작용을 일으키지만 온혈동물에는 독성이 아주 약하므로 사람과 가축에는
해가 없다. 그러므로 가정용 살충제 및 농업용 살충제로 이용되어 왔다. 자연계에서는 쉽게 분해되어 독성이 없어지므로 DDT와 BHC 등
잔류독성이 강한 유기염소계 화학살충제의 사용이 금지된 이후 각광을 받고있는 생물화학제이다. 최근에는 살충성분을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살충제로
이용하고 있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MARGIN-RIGHT: 0px"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MARGIN-RIGHT: 0px"
align=justify>피레트로이드는 꽃 특히 씨방에 많으며 잎과 줄기에는 극히 적고 꽃이 만개했을 때에 함량이 가장 높다. 일본 약국방에는
개화기에 두상화를 따서 건조한 것을 제충국이라 하며 살충성분은 약 0.8∼1.3% 함유한다고 규정하였으며 모기향이나 벼룩약으로 쓰인다.





align=center bgColor=#e2e1e1 background="" border=0>



color=#000000>경종기술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technology/images/title2_1.gif"
width=205 border=0>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name=생장발달>생장발달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키는 60cm까지 자라며 뿌리는 직근성으로 깊이 뻗어 한발에 강하다. 6월에 화경이 신장하여 두상화가 형성되며 설상화가
핀 다음 약 7∼10일 후에 중심화가 피기 시작하여 약 10일 정도 되면 두상화 전체가 핀다. 중심화의 개화시각은 오전 6시에서 오후 4시
사이이고, 오전 8시∼10시에 만개한다. 꽃가루의 성숙은 개화 전에 완료하며, 개화 후 2∼3시간이 되면 가장 많은 꽃가루를 날린다. 암술은
개화 후 약 24시간 후에 수정이 가능해지며 타화수정을 한다.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color=#464d23 size=2>환경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제충국은 장일식물로 온난습윤한 기후를 좋아하며 원산지 평균기온이 15℃ 내외이다. 종자 발아적온은 18℃ 정도이며,
생장발육 적온은 20∼25℃이다. 25℃이상 고온에서는 생장이 억제되며 30℃ 이상이 되면 생장이 정지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고온에 약하고 저온에 대한 저항력은 비교적 강한 편이지만 -7∼-8℃ 이하에서는 동해를 받아 생육장해를 받으며 심하면
고사한다. 화아분화에는 5℃ 가량의 저온이 필요하며, 여름철 기온이 지나치게 높은 곳에서는 하고현상으로 여러 해 계속 생산이 어렵다. 케냐의
주산지는 해발 2,000m 이상 고지대로 연중 온난하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건조에 강하지만 적당한 강우가 필요하며, 중성∼약산성 사질양토에서 잘 자며 토양 pH6.0∼7.0 정도가 좋다.
중점토는 적당치 못하며 연작에
약하다.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technology/images/title2_2.gif"
width=205 border=0>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color=#464d23 size=2>식물분류 품종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재배종은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Trev.) Bocc.
(Pyrethrum cinerariaefolium Trev.), C. coccineum Willd.(P.
roseum
Bieb. ; C. roseum Weber et Moor ; C. arneum Bieb.), 그리고
C. caucasicum Whn.(P. caucacicum Wild.)가 있다. C.
cinerariaefolium
을 백화종(dalmatian pyrethrium)이라 하며, C.
coccineum
을 홍화종 (common pyrethrum 또는 persian pellitory)라
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재배되는 것은 주로 백화종이며, 일본에서는 영양계 분류로 북해도1호, 북해도2호를 육성한 바 있다. 홍화종은 원산지가
페루이고 백화종 보다 키가 크고 줄기에 골이 지며 엽병이 없으며 설상화가 붉은 색이다. 꽃이 크며 꽃수가 적고 수과가 다소 짧으나 무겁다. 병해
저항성이 강하고 조숙이며 피레트로이드 함량이 높아 살충작용은 강하지만 수량이 적어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technology/images/title2_3.gif"
width=205 border=0>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name=번식방법>번식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가. 번식방법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제충국은 종자번식과 분주 및 삽목번식이 가능하다. 종자는 단명종자이고 발아력이 낮으므로 채종과 종자보관에
주의가 요구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포기나누기는 월동이 가능하고 하고가 심하지 않은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대량증식은 어려우나, 타식성 작물인 제충국의
품종의 유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다년생 숙근 작물이 같은 밭에서 여러 해 계속 생육하게 되면 식물체가 노화되고 병해충의 피해를
받아 쇄퇴하여 꽃 수량이 적어지고 품질도 낮아진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이런 경우 생육이 왕성하고 꽃이 많이 피는 건전한 개체를 골라 포기나누기하여 정식하면 새로운 뿌리가 발달하여 다시
왕성하게 생육할 수 있다. 보통 2년생 포기에서는 5개 내외, 4∼5년생 포기에서는 15개 정도의 분주묘를 생산할 수 있다.
분주시기는 봄철 맹아기와 월동전에 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꺽꽂이는 포기나누기 보다 증식율이 높아서 우량 영양계나 품종을 신속히 증식 할 수 있고 포기나누기 할 수 없는 여름철에
가능하다. 줄기가 신장하여 꽃망울이 생기기 전에 1마디씩 잘라 삽수로 하고, 꺽꽂이 할 때는 발근촉진제로 NAA 1000∼500ppm
용액에 12∼24시간 담갔다가 꽂는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나. 채 종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타식성 작물이므로 우량개체를 격리포장에 따로 재배하여 채종하는 것이 좋으나, 일반 재배에서는 건전하고 병이 없는 포기의
꽃을 수확하지 않고 남겨 두었다가 성숙했을 때 채종한다. 채종은 개화 후 약 3주일 정도 지나서 할 수 있으며, 보통 화경이 황색으로 변할 때
베어서 음건한다. 종자는 긴 세모꼴보다는 네모꼴이 것이 발아가 잘 된다. 종자의 수명은 1년이며 저장조건에 따라 발아율이 급격히 낮아지므로 저온
건조한 조건에 저장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color=#464d23 size=2>육묘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가. 묘 상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묘상은 배수가 잘 되는 땅으로서 관리하기에 편리한 곳에 설치하는데, 묘상은 너비 120cm, 높이 9∼12cm에 적당한
길이로 만든다. 본포 10a당 소요 묘상면적은 겨울철 기온이 비교적 낮아서 춘파할 경우에는 16∼20㎡, 온난한 지역에서 추파할 경우에는 10㎡
내외면 되는데, 춘파의 경우 면적이 많이 필요한 이유는 이식할 때까지 묘가 크게 자라기 때문이다. 묘상은 잘 썩은 고운 퇴비를 3.3㎡당 2kg
주고, 그 밖에 약간의 3요소 비료를 기비로 준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나. 파 종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제충국은 온난한 남부지방에서는 추파를 하고, 추운 북쪽지방에서는 춘파를 하는데, 발아적온이 18℃ 정도이므로 추파는
9월 중·하순경에 파종하여 다음해 봄에 정식하고 춘파는 5월 상·중순경에 파종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파종량은 종자의 발아율을 고려해서 결정하여야 하는데, 종자 0.18ℓ의 입수가 약 50,000개이므로 발아율을 20%로
가정하면 10,000의 묘를 얻을 수 있다. 본포 10a당 난지에서는 7,000∼8,000본, 한지에서는 5,000본 내외를 정식하게 되므로
솎음을 고려해서 10a당 소요량을 역산하면 0.18∼0.36ℓ가 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파종 전에 종자를 18∼20℃ 온수에 6∼8시간 담갔다 꺼내어 습포를 덮어 눈이 트기 시작할 때 파종한다. 종자가
작으므로 고운 모래를 종자의 15∼20배 섞어서 묘상에 산파하거나 10cm 간격으로 조파하고 가볍게 진압한다. 파종 후 고운 흙으로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얇게 복토한 다음, 건조와 비가 올 때 상면이 굳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왕겨나 톱밥 같은 것으로 얇게 펴고 그 위를
볏짚으로 약 2cm 가량의 두께로 덮는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묘상이 건조하면 발아하기 어려우므로 적절히 관수해야 하며, 발아 후에는 별로 관수하지 않아도 된다. 습도와
발아온도만 충분하면 10∼20일 후에 발아하기 시작하므로 상태를 보아가며 피복물을 2∼3회로 나누어 제거한다. 발아 직후의 유묘는 갑자기 강한
햇볕을 받으면 고사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생육함에 따라 묘 사이가 3cm가량 되게 2∼3회 솎아주고 제초한 다음 비료를
준다.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color=#464d23 size=2>본포정식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이식시기는 춘파한 것은 9월 중, 하순에, 추판한 것은 4∼5월에 하게 되는데, 그 기준은 추식은 기온이 18∼19℃
가량으로 내려갔을 때이고, 춘식은 기온이 8∼11℃ 가량 상승되었을 때이다. 이식은 초장이 10cm 정도 자랐을 때 가능한데,
제충국은 다년생 작물이므로 땅을 깊이 갈고 정지해야 하며, 배수가 잘 되지 않는 데서는 나비 1.8m 가량의 넓은 둑을 짓고 그 위에다
이식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재식밀도는 이랑나비 40∼60cm에 포기사이 30cm 가량으로 하여 건실한 묘를 1본씩 심는다. 포장이 너무 건조하면
관수하고 심는 것이 좋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난지에서는 추파한 묘를 이듬해 봄에 이식하지 않고 가식상을 만들어 12×12cm 로 가식했다가 가을에 이식할 때도
있다. 이른봄이나 초가을에 직파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재식거리 50×30cm로 3cm 정도 깊이로 파종골을 만들어 파종한 후 얕게
복토한다. 유묘기 관리는 육묘이식 재배와 같이 하고, 1∼2회 솎음하여 키 10∼15cm 될 때 1포기씩만 남기고
속음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color=#464d23 size=2>시비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제충국은 질소의
영향이 가장 크지만, 질소를 과용하면 잎과 줄기가 무성하게 자라서 착화가 늦어진다. 인산은 피레트린의 축적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3요소의
비율이 대체로 인산 1에 대하여 질소와 칼리 1.33일 때 꽃수량이 많고, 인산 1에 대하여 질소와 칼리 0.75일 때 피레트린함량이 많아진다.
퇴비의 시비효과도 매우 크므로 충분히 주어야 한다.






align=justify>


시비량과 비료의
종류는 형편에 따라서 다르지만 10a당 퇴비 750∼1200kg, 질소 2kg, 인산 5kg, 칼리 4kg 가량을 기준해서 준다.


align=justify>


시비방법은 이식
당년에는 전량을 기비로 주거나 질소비료는 50%정도를 추비로 한다. 계속 재배하는 동안 매년 봄과 꽃을 수확한 후에 추비하여 생육을
조장한다. 수시로 중경 제초하고 도복에 대비하여 배토하며 결주가 생기면 보식한다. 장마철에는 배수관리를 철저히 한다.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I_images/tri.gif" width=8
border=0> 제충국에 대한 3요소의 반응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cellPadding=0 width=210 border=0>






bgColor=#ffe283 height=18>

face=굴림>구 분

bgColor=#ffe283 height=18>

align=center>건화수량(kg/10a)

height=68>

3 요소구


무질소구


무인산구


무칼리구


align=center>무비료구

height=68>

align=center> 131.6(100)


30.4
(28)


126.0
(95)


114.0
(87)


35.6
(27)


style="FONT-SIZE: 9pt; MARGIN: 0px; LINE-HEIGHT: 120%"> *
자료 : 히로마농시,
1955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technology/images/title2_4.gif"
width=205 border=0>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name=잘록병>잘록병 face=굴림 color=#464d23 size=2>(立枯病 Fusarium conglutinans var. sallistephi
Beach.)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이 병은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은 해에 발생이 많은데, 시기적으로는 난지에서는 5∼7월,
한지에서는 7∼8월에 많이 발생한다. 병에 걸리면 땅가의 줄기가 담흑색 또는 암갈색으로 변하며, 잎과 줄기가 시들어 말라죽는다. 잘록병균은
토양전염을 하는데, 토양 중에서 2년이상 생존하므로 방제가 어렵다. 토양소독을 하고, 3년 이상의 윤작을 해야 하며, 춘식을 피하고 안전한
곳에다 가식하였다가 추식을 하도록 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color=#464d23 size=2>오갈병(萎縮病 Diplodia chrysanthemella
Ikata)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이 병은 산간의 일조시간이 짧은 곳, 또는 장마가 계속될 때 발생되기 쉽다. 지상부의 각
부분이 해를 입는데, 잎이 침해를 당하면 잎가장자리부터 갈색으로 변하고 쭈글쭈글해진다. 줄기에는 흑색의 줄무늬가 있는 병반이 생기고 표피가
갈라지며, 잘 꺾어지고 잘 쓰러진다. 꽃봉오리나 꽃잎에도 발생하며, 병균의 침해를 당하면 변색하고 개화가 불완전해진다. 이병주를 소각해 버리고,
72∼108ℓ식 보르도액을 이른봄부터 4∼5회 살포해 준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color=#464d23 size=2>균핵병(Sclerotinia minor Jagger)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균핵병에는 소립균핵병(S. minor)과 대립균핵병(S. libertiana)의 2가지가
있는데, 제충국에는 소립균핵병의 발생이 많다. 난지에서 발생이 많은 편이며, 병균의 침해를 받으면 처음에는 잎과 줄기가 시들어 버리고 그루
밑둥의 땅가에 거미줄모양의 백색 균사가 얽혀 있다. 균사는 그루전체에 퍼지며, 나중에는 밑둥이 썩고 잎과 줄기가 말라 죽는다. 이때쯤 되면
흑색의 균핵을 많이 형성하게 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균핵은 지표에서는 1년간이나 살아 있지만 땅속에서는 곧 죽게 되므로, 심경하고 화본과 작물과
윤작을 하며, 종자를 42℃에서 10시간, 또는 44℃에서 6시간 처리하는 온탕침지법으로 소독하고 피해부를 제거하고 세레산석회를
뿌려준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color=#464d23 size=2>해충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점박이응애(Tetranychus telarius L.)는 봄부터 늦가을까지 공기가 건조할 때
발생하며, 다른 작물에서와 같이 주로 잎에서 즙액을 빨아먹으므로 잎 표면에 흰 점이 생총채벌레는 여름철에 오랫동안 가물면 발생이
심한데, 주로 잎의 즙액을 빨아먹어 해를 입힌다. 피해가 심하면 잎이 창백하게 변색 퇴화해
버린다.







src="http://www.nics.go.kr/R_Study/Industrial/resources/d_pyrethrum/technology/images/title2_5.gif"
width=205 border=0>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color=#464d23 size=2>수확 조제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align=justify>묘를 정식한 다음해부터 본격적인 수확을 하게 된다. 처음 3∼4년간은 개화를 많이 하지만 그 후부터는 그루가 약해져서
수량이 감소한다. 피레트린함량은 중심화가 80∼100% 피었을 때에 가장 많으므로, 활짝 핀 꽃만 하나씩 따면 가장 좋은 품질의 것을 수확하게
되지만, 실제로 재배할 때는 어려운 일이므로 포장의 대부분의 꽃이 만개되었을 때 한 번에 수확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align=justify>수확은 줄기를 9cm 가량 남기고 베어서 꽃을 딴 다음 햇볕에 3∼4일간 널어 손으로 비비면 잘 부스러질 정도로
말린다. 수량은 10a당 건화로 75kg 가량이고, 생화에 대한 건화의 비율은 20∼25%
가량이다.





align=center bgColor=#e2e1e1 background="" border=0>



color=#000000>생산
















src="http://www.nics.go.kr/R_Study/Rice/General/Images/i-2.gif"> name=번식방법> size=2>생산현황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1차 세계대전까지는 유고슬라비아에서 대량 생산되어 구미의 시장을 독점하였으나, 전화로 인하여 생산이 중단되었고, 그 후
일본에서 급격히 생산이 많아져서 1935년에는 세계생산의 약 98% 가량을 공급하게 되어 일본의 특산물이 되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 때에
줄어들었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align=justify>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MARGIN-RIGHT: 0px"
align=justify>한편 1938 년경부터 아프리카의 케냐, 남아메리카의 브라질에서 재배하기 시작하여 1945년에는 케냐가 세계 총
생산량의 약 70%, 브라질이 약 14%를 차지하였다고 한다.


style="MARGIN-TOP: 0px; FONT-SIZE: 9pt; MARGIN-BOTTOM: 0px; LINE-HEIGHT: 120%; MARGIN-RIGHT: 0px"
ali

2007-06-01 04:57:45
답변 수정 삭제
목록 글쓰기
게시물 댓글과 답글 8
  • 미소애플 2007-06-12 06:10:34

    많은 참고가 되어ㅆ습니다
    잘 활용할께요
     

    • 파아란 2007-06-08 19:47:31

      제충국은 각 나라마다 다른모양 으로 여러가지가 사용 되고 있습니다.
      현재 자농에서 보급하는것은 예전의 북제주 농업기술연구소에서 시험 살충성분을 확인 사용 방법까지 보급한 식물 입니다. 우리나라 정부기관에서 시험 데이타와 사용 방법 까지 구체적으로 보급 하였는데 인터넷 자료만 가지고 아니다고 하는것은 좀 무리가 있습니다.
      확실히 알고 싶으신분은 예전의 북제주 농업기술연구소 (현재는 제주 농업기술연구소로 통폐합 되었음) 로 문의 하시면 될것 입니다.
       

      • 나무신장 2007-06-02 01:08:17

        으아리님, 자료 잘보았습니다.
        위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도 재배를 했던 모양인데
        왜 지금까지 농민들이 헤매야 하는건지 정말 아리송하기만 합니다.
        이태리에서 수입한 제충국이란 것을 발아시켜보니
        그동안 제충국이라고 했던 것 하고는
        어린 잎에서부터 확실하게 다르더군요.

        문제는 살충성분이 얼마나 나오는가가 중요하리라
        보이는데, 이를 어느 기관에서건 공식적으로 밝혀주었으면
        하는 기대를 해봅니다.
         

        • 후투티 2007-06-01 20:39:32

          아 ...
          꽃은 똑 같은데 잎모양이 확연히 다르네요...
          저런 제충국 어디서 보신분들 있으시면 소개 좀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검지 2007-06-01 16:33:11

            윗 글의 사진과 그림으로는 쉽게 구별한다는 것도 어려워보입니다.
            제가 몇차례 구해서 재배해 보면 저희 집에서 기르고 있는 샤스타데이지와 전혀 구별을 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올 해도 구한 제충국이 있지만 모두 뽑아서 없앨려고 합니다.
            실제 실물을 놓고 비교하지 않으면 구별이 어려운 품목들이 있습니다.
            샤스타데이지가 아닌 믿을 만한 제충국을 기르고 계신 분이 있다면 저에게 다시 한번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시기를...ㅎㅎ
             

            • 으아리 2007-06-01 10:17:18

              이전 사진은 일본 블러그에서 가져온 것인데
              숨결님 지적처럼 신뢰가 가지 않아
              biomatnet.org에서 다른 사진을 가져왔습니다.
              출처가 있으니 들어가 확인해보세요.
               

              • 숨결 2007-06-01 09:43:20

                사진대로라면
                전국 도처에 그리고 국가연구기관들에 심겨진
                체충국이라는 것들이 사진과는 다르죠. 대략 난감^^^

                그러고 보니 전에 제주도에서 보내온 또 다른 제충국이라는
                것이 윗 그림과 유사하게 보입니다.

                그런데 으아리님 그림과 사진의 잎사귀 모양이 다른것 같은데 어때요.

                현재 심겨진것들로 일명 '제충국'제를 만들어 활용해본 전반적인 결론이 효과있음이라서 좀 안심을 됩니다만 앞으로 좀더 사실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전에는 모 기술원에 갔더니 거기도 우리같은게 심겨져 있어서 '그럼 그렇치' 했더만 이게 왠일~

                으아리님 고생하셨네요. 덕분에 자세한 자료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 꽃마리 2007-06-01 09:11:05

                  네!! 감사합니다..
                  제충국에대하여 의문 점이 풀렸습니다..^^*
                   

                  번호 제 목 닉네임 첨부 날짜 조회
                  공지 <신청마감>자닮 후원자님들을 모시고 11월 19일 강좌를 개최합니다. (1) 2024-10-21 46485
                  공지 후원자 전용 카카오 오픈 채팅방을 개설했습니다. - 2024-08-23 213900
                  공지 8월 20일 후원자님들 자닮농장 방문, 뜻깊은 자리였습니다.(사진있음) (54) 2024-05-27 759572
                  공지 후원자 분들과 매월 말 줌(ZOOM) 미팅을 하고 있습니다. - 2024-05-23 572861
                  공지 자닮농장이 '인스타그램'을 통해서 실시간 공개되고 있습니다. (13) 2023-05-19 1951166
                  5699 전신을 이쁘게 해주는 요가 (1) - 2007-11-21 7341
                  5698 약초 종자 나눔합니다......^^* (5) - 2007-11-20 8485
                  5697 지리산 편지 - 11월셋째주;청렴하기가... (1) - 2007-11-19 7929
                  5696 이 맛을 알까~~ (4) - 2007-11-19 7325
                  5695 달마산 등반을 하고 (2) - 2007-11-18 7854
                  5694 달마산 미황사에서 (4) - 2007-11-18 7377
                  5693 나를 김치라고 말하는 사람과 함께.. (3) - 2007-11-18 7350
                  5692 베푸는 사랑 - 2007-11-16 7904
                  5691 텃밭에서 거둔것들 (6) - 2007-11-15 8037
                  5690 고유가 시대에 난방비를 절약해 봅시당~ 2007-11-15 7211
                  5689 하리님 딸 채민이의 술주정은 이랬더랬어요!!!! (3) - 2007-11-15 8323
                  5688 피아골, 오를 일이다, 자꾸 오를 일이다^^ (5) - 2007-11-14 7739
                  5687 울금 수확 시작 했습니다 (8) 2007-11-13 7624
                  5686 산국차 맹글어 바심니더... (5) 2007-11-13 7431
                  5685 작은 의미의 행복 - 2007-11-13 6918
                  5684 칠갑산 기슭에서 도농교류 (5) - 2007-11-13 7873
                  5683 간만에 아이들 자랑합니다. (4) - 2007-11-12 7004
                  5682 나는 오늘 은행을 털었다~ (3) - 2007-11-12 7073
                  5681 다시 월요일... (4) - 2007-11-12 7205
                  5680 사진으로 보는 피아골 산행 (3) - 2007-11-11 7134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