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초저비용농업
복숭아 천공병, 자닮오일 15리터와 자닮유황 1.5리터 연타방제로 막아
후원전용
유문철 기자  |  2020-07-02 17:48
경북 일대 복숭아 주산지에 천공병이 창궐하고 있다. 복숭아 천공병은 잎과 열매에 구멍을 뚫어 상처를 내는 복숭아에 치명적인 저온다습성 ...
라인
유기농업
유문철 자닮연구원 - 귀농인에서 농민 운동가로
후원전용
김경호 기자  |  2020-07-01 13:45
충북 제천에서 나고 자란 유문철 연구원은 집은 비록 시내였지만 한 다리만 건너면 개울이고 논밭이어서 어릴 때부터 농촌에 대한 감수성을 ...
라인
유기농업
꿀마늘을 아시나요?
후원전용
김경호 기자  |  2020-07-01 13:12
마늘 주산지인 단양에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작은 마늘을 꼬다마라고 한다. 아마 꼬마 마늘의 일본식 표현이 아닌가 싶다. 보통 한지형 마늘...
라인
곤충 이야기
[곤충 이야기] 구기자뿔나방
박덕기 기자  |  2020-06-29 08:37
구기자뿔나방나비목 뿔나방과​О 학명 : Ilseopsis parki PovolnyО 크기 : 몸길이 성충 7~9mmО 기주 : 구기자О...
라인
산야초 이야기
주름잎 - 잡초도감10
유걸 기자  |  2020-06-29 08:36
주름잎(Mazus pumilus)은 5~20cm 정도의 작은 키를 가진 한해살이풀이다. 밭이나 논두렁, 과수원, 길가 등에서 흔하게 자...
라인
유기농업
유문철 자닮 연구원의 유기농 마늘 재배력 - 후반기 자닮유황 방제는 살균 효과와 착색 효과 동시에
후원전용
김경호 기자  |  2020-06-26 18:40
단양은 지리적 특성상 마늘과 메주콩 이모작이 적당하다. 10월 말에서 11월 초에 마늘을 심고 나서, 6월 하지를 전후해서 마늘을 캔 ...
라인
유기농업
천연농약시범사업 – 단양지역 친환경 저변확대에 기여
후원전용
김경호 기자  |  2020-06-26 18:34
유문철 자닮연구원은 전국 최초로 단양지역에 천연 농약 시범사업을 유치한 바 있다. 농업기술센터에서 3년간 천연농약 자재와 용기, 연수기...
라인
버섯 이야기
약용버섯 이야기(178): 흰목이(흰목이버섯)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  2020-06-23 11:34
약용버섯 이야기(178): 흰목이(흰목이버섯). 흰목이(Tremella fuciformis)는 하얀 색을 가...
라인
유기농업
이런 자식농사 어때요? - 유문철 자닮연구원 아들 유한결
후원전용
김경호 기자  |  2020-06-23 11:25
농사일이 힘들기는 하지만 다 해놓고 나면 보람도 있다는 초등학교 6학년 어린 농사꾼 유한결군의 대답이 막힘없이 또렷또렷하다. 어릴 때부...
라인
조대표 강좌
1강. 초저비용 유기농업으로 농업의 희망을 만듭시다!
조영상 기자  |  2020-06-22 17:26
대한민국은 전세계 52개국과 FTA를 체결한 상태다. 이는 무관세의 저렴한 농산물이 쏟아져 들어온다는 얘기다. 거기다 비행기로 수송이 ...
라인
조대표 강좌
2강. 우리의 농업 누가 지배하고 있는가?
조영상 기자  |  2020-06-22 17:26
현재 대한민국의 인구가 꾸준히 줄고 있기 때문에 국내 농산물 시장 자체가 줄어들고 있다. 또한, 많은 귀농인이 실패하고 역귀농하는 사례...
라인
조대표 강좌
3강. 도법자연, 성속일여로 여는 농업의 문!
조영상 기자  |  2020-06-22 17:25
도법자연, 농사짓다 어려움이 생기면 자연의 원리에서 답을 찾아보자. 예를 들어 연작 장애의 경우 인간의 농사법은 윤작을 권하지만, 자연...
라인
조대표 강좌
4강. 유기농업 4가지 핵심기술! 토양관리, 기비, 추비, 농약
조영상 기자  |  2020-06-22 17:24
일반적으로 농업의 원리가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지지만 그런 정보에 현혹될 필요가 없다. 결론을 말하자면 ‘기본에 충실’하면 된다. 토양관...
라인
조대표 강좌
5강. 기적 같은 뿌리 활착 효과! 부엽토+감자로 미생물 배양하기
조영상 기자  |  2020-06-22 17:24
토양에 대한 고민이 있을 때 자연에서 답을 찾자. 내 토양의 상태를 인접산에 있는 부엽토처럼 만들면 농사 걱정의 반은 해결 된 셈이다....
라인
조대표 강좌
​6강. 토양 역병, 바이러스, 냉해 막는 완벽 해결책!
조영상 기자  |  2020-06-22 17:23
낙엽 진 다음 가을에 그리고 해동된 후 봄에 새순이 뻗을 때까지 미생물 관주가 농사의 성패를 가른다. 배양한 미생물을 정식 전에 충분히...
라인
조대표 강좌
7강. 연작 장애 없는 기비 핵심 기술, 윤작이 필요 없는 이유!
조영상 기자  |  2020-06-22 17:23
인간의 건강은 무엇을 먹는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농작물도 마찬가지다. 내가 토양에 넣는 기비에 따라 작물의 건강이 좌우된다고 ...
라인
조대표 강좌
8강. 발효는 좋고 부패는 나쁘다? 명백한 거짓말!
조영상 기자  |  2020-06-22 17:23
우리가 직접 자재를 만들어 쓰는 데 걸림돌이 되는 고정관념이 있다. 부패와 발효에 대한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발효는 긍정적인 현상으로 ...
라인
조대표 강좌
9강. 토양 검사 결과에 대한 맹신이 화학비료 중독, 토양 오염 심화로
조영상 기자  |  2020-06-22 17:22
해마다 이뤄지고 있는 토양 검사에 대해 생각해보자. 토양 검사는 땅의 극히 일부 샘플만 가지고 분석을 하므로 뿌리가 닿는 깊은 땅속 상...
라인
조대표 강좌
10강. 노동력 적게 들고 아주 쉬운 무경운, 다수확 기술비법 1
조영상 기자  |  2020-06-22 17:21
다수확을 위해 우선 밭을 만들 때 무경운을 원칙으로 한다. 무경운은 해를 거듭할수록 작물이 커지고 수확량도 많아지게 된다. 또한 지온 ...
라인
조대표 강좌
11강. 노동력 적게 들고 아주 쉬운 무경운, 다수확 기술비법 2
조영상 기자  |  2020-06-22 17:21
밭을 만들 때 처음부터 기본에 충실하게 만들어 놓으면 첫해부터 관행농에 뒤지지 않는 수확량을 올릴 수 있다. 거기에 해를 거듭할수록 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