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사를 이용한 해충방제는 외부에서 침입하는 해충의 접근을 차단하여 근원적으로 해충을 발생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아주 중요하면서도 다른 방제 수단에 비하여 소홀히 여겨져 왔다.
비닐이나 유리를 이용한 시설재배는 단위면적당 생산성을 높이는 집약농업으로 점차 많아지고 있다.
이 시설재배란 밀폐시스템(closed system)에서 농사를 짓는 것이다.
밀폐시스템에서 작물생산은 생태계를 단절시키고 인위적으로 관리하여 생산성을 높이고자 한다.
외부에서 해충이 침입하지 못하게 한다면 해충방제는 절반의 성공을 거둔 셈이다. 망사를 이용하여 외부 침입 해충을 물리적으로 방제하고, 내부에 발생하는 해충은 천적을 이용하여 생물적 방제를 하고, 그래도 경제적 피해가 우려될 때는 약제 방제를 하는 것이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종합 방제이다. 외부에서 해충 침입이 없는 겨울철을 제외하고, 망사 이용 물리적 방제는 생물적 방제의 성공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망사(網絲)란 성기게 짠 천으로 모기 등 벌레가 못 들어오게 하는 망이라 하여 방충망(防蟲網)이라고 하며, 여름철 고온에서 온도를 낮추게 하는 효과 있는 망이란 뜻으로 한랭사(寒冷絲)라고도 한다. 최근에는 해충은 못 들어오게 하면서 작물 생육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통풍과 햇빛의 투과가 양호한 망사가 생산, 시판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망사의 종류, 망사 재배 방법, 망사 이용 대상 해충과 작물, 망사 이용 사례 등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망사의 종류
망사의 구멍 크기는 여러 종류가 있다. 국내에서 진딧물 방제용으로 사용되는 것의 구멍은 ㎠당 84개 (12×7)가 있으며, 외국에서 총채벌레 방지용으로 ㎠당 900개 (30×30)가 있는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하우스에 사용하는 망은 너무 조밀한 망을 사용하면 통풍이 안 되어 곤란하다. 즉 총채벌레 방제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조밀한 망사는 해충 사육장에서 이용은 가능하나 고온 장애를 유발하여 작물의 재배에 피해를 주어 사용하기가 어렵다. 망사의 색깔은 백색, 청색, 흑색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햇빛의 투과성이 좋은 흰색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방충 효과 이외에 차광 효과를 원하면 흑색 망사를 사용할 수 있다. 방사의 천은 나일론으로 되어 몇 년간 사용할 수 있는 질긴 것도 있고, 1-2년 사용하면 새로 교체해야 하는 것도 있다. 질긴 방사는 오래 사용할 수 있어 좋으나 값이 비싸며, 조밀하여 통풍이 안 되는 것이 많다. 진딧물 방제용 하우스 망은 질기지 않아 오래 사용하지 못하나 가격이 저렴하다.
2. 망사 재배 방법
(1) 설치 장소와 설치 방법
시설에 망사 설치는 외부에서 진딧물 등 해충이 못 들어오게 비닐이나 유리를 사용하는 곳 이외의 통풍이 되는 모든 곳에 설치해야 한다.
하우스에 설치하는 망사는 보통 측창의 안쪽에 설치한다. 하우스 망사는 폭이 1.8m, 2.7m, 3.6m 등 3종류가 시판되고 있으며 측창에 사용하는 망사는 폭이 1.8m되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하우스 전체를 덮어 씌우려면 연결 봉제 주문도 가능하다. 감자 원종 생산 하우스에서 덮어 씌우는 망사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하우스 작물은 비 가림 재배를 하고 있어 측창과 출입구에 망사를 설치한다.(그림1)
출입구에 망사 설치는 많은 사람들이 통행이 불편하기 때문에 꺼려 하고, 빈틈 없이 해야 하나 대충하는 경우가 많다. 출입문 있는 곳은 출입문의 비닐을 뜯어 내고 망사를 설치하고, 그리고 출입문 안쪽에 망사를 더 설치해야 한다. 천을 겹치기로 통로 위쪽에 부착하고 망사 끝 양쪽에 고무밴드를 끼워 넣어 문을 통과 후에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면 좋다.
대부분의 해충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작은 틈으로 침입할 수 있으므로 망사 설치는 하나의 틈도 없도록 해야 한다.
(2) 설치 전후 포장 위생
망사 설치 전에 해충이 시설 내에 있으면 안 된다. 망사 설치 전에 시설 내의 모든 식물은 없애 버리고, 약제를 살포하거나 (태양열 소독 등으로) 깨끗한 상태로 만든 다음 망사를 설치해야 한다. 정식 전에 해충이 시설 내에 발생하면 안 된다. 망사를 설치한 후 내부에서 해충이 발생되면 먹이 사슬이 없으므로 해충의 발생은 기하 급수적으로 번식하기 쉽다.
작물 재배 후 망사를 설치하면 시설 내로 이미 해충이 침입하여 망사 설치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망사 설치는 작물 재배 전에 해야 한다.
2. 망사를 이용하여 방제할 수 있는 해충과 대상 작물
온실가루이, 진딧물과 같이 이동성이 크고 해충의 크기가 비교적 큰 해충에 효과가 높으며, 응애, 깍지벌레와 같은 이동성이 낮은 해충은 효과가 떨어진다. 망사 이용 효과가 큰 해충은 진딧물, 온실가루이,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파방나방, 작은각시들명나방 등이 있다.
대부분의 해충이 망사를 설치하면 방제 효과가 있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다. 총채벌레는 크기가 아주 작아 아주 조밀한 망사를 이용해야 하나 그럴 경우 통풍이 안 되어 고온에 의한 작물 생육이 지장을 받아 이 해충을 대상으로 망사 이용은 곤란하다. 총채벌레 방지용으로 조밀한 망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육묘 시부터 이 해충이 발생하면 통풍이 잘 안 되어 시설 내 온도는 높아지고, 고온에 의한 총채벌레의 증식 속도가 빨라 망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발생하여 망사 이용을 실패한 사례가 있다. 멸강나방 성충은 크기가 크나 조그만 틈만 있어도 시설 내 침입을 잘 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망사는 시설 재배 작물에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감자 등 바이러스 감염이 문제되는 영양번식 작물은 노지 상태로 망사 재배를 할 수 있다.
망사 재배의 효과는 진딧물의 침입 방제에 효과가 크므로 진딧물에 의한 바이러스 매개가 염려되는 영양번식을 하는 감자 등 작물에 이용하면 바이러스 감염을 줄일 수 있다. 하우스 철 골조 위에 망사를 덮어씌우면 된다. 그러나 자연수분을 이용하는 경우 망사 재배를 하면 외부에서 벌이 못 들어와 수분이 안 되어 문제가 된다. 참외 재배의 경우 자연 발생 벌의 수정을 하는 농가포장에서는 망사가 외부에서 벌을 못 들어오게 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양봉을 이용하는 참외 재배하우스는 망사를 설치하면 외부로 벌이 도망을 못 가 망사 이용이 더 좋다. 또한 망을 이용하면 해충방제 효과뿐만 아니라 조류에 의한 피해도 줄일 수 있다.
3. 망사 이용 사례
유럽에서 생물적 방제를 하는 유리온실의 출입문은 2중 3중의 자동문이 설치되어 있어 통행 후 즉시 닫히도록 하였고, 모든 창문은 방충망을 설치하여 철저하게 외부에서 해충 침입을 막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 망사의 해충 침입방제 효과를 모르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농가가 망사를 설치하지 않고 있다. 농업과학기술원 실험포장에서 오이 해충 종합 방제 실험에서 진딧물 방제를 위하여 진디벌를 사용하였으며, 출입구가 닫힌 곳과 열린 곳을 조사하였다. 출입구에 2중 망사를 설치하여 밀폐가 잘된 곳은 진딧물 밀도가 낮았으나 출입구가 열린 곳은 밀도가 높아 약제방제를 사용해야만 했다. 이탈리아에서 토마토의 온실가루이 방제에 천적인 온실가루이좀벌과 망사 이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11×80m의 온실에 0.8mm의 망사를 설치한 경우 1회의 약제 방제만으로 온실가루이밀도를 경제적 피해수준 이하로 낮출 수 있었으나 망사를 사용하지 않은 처리구는 5회에 걸쳐 약제방가 필요하였다. (Mazzone 등 1984) 호주의 빅토리아에서 배추좀나방 방제에 비티제와 망사를 사용하여 배추좀나방 방제가 우수했다.(Endersby 등, 1992) 이탈리아의 Nicoli 등(1993)은 원예작물의 생물적 방제에 대량생산 천적, 미생물 농약과 함께 방충망(netting)을 같이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운영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03.10.07 16:53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