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곤충 이야기
[곤충 이야기] 흰등멸구수도해충,벼해충
흰등멸구 유시성충 ♀ (상)
흰등멸구 유시성충 ♂ (하)
흰등멸구
매미목 멸구과

О 학명 : Sogatella furcifera (Horvath)
О 크기 : 장시형 4~4.5mm, 단시형 2.5mm
О 기주 : 벼과식물
О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등
 
흰등멸구 노숙약충
성충의 길이(날개 포함)는 장시형이 4~4.5mm 정도이고, 단시형이 2.5mm 정도이다. 몸은 담황색이며 암컷이 수컷보다 엷다. 정수리는 돌출하여 너비의 1.5배에 달하며, 방패판의 중앙부는 긴 6각형으로서 황백색이고 양쪽은 흑색이다. 등쪽 소순판 중앙부가 흰색의 마름모 모양으로 되어 있다. 약충은 유백색 또는 흑갈색으로서 제3, 4배마디의 중앙은 외관상 큰 백색 무늬를 갖고 있으며, 마디 사이의 막에는 많은 백색 밀랍가루가 붙어 있다.
 
흰등멸구 약충의 여러세대
흰등멸구 어린약충
흰등멸구 난괴(산란흔)
흰등멸구는 벼멸구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못하고 매년 중국 남부로부터 비래해 온다. 비래량은 벼멸구에 비해 10배 이상 많으나 피해는 집중발생하지 않고 분산 발생하여 피해가 크지 않다. 흰등멸구는 25℃에서의 1세대 기간이 약 24일이며, 산란전기간은 4.6일, 난기간은 7.6일, 약충기간은 13일이다. 6월부터 8월 사이의 야외 기온에서는 20~30일 만에 1세대를 경과한다. 성충의 수명은 15.6일이며, 산란 수는 250개 정도이며, 알은 엽초에 무더기로 알을 낳는다. 비래 다음 세대 약충의 밀도가 가장 높고 단시형이 출현한다. 이앙이 빠른 곳에서는 초기 비래가 많아 밀도가 높다. 늦게 이앙한 논에서는 8월 상순~중순경에 밀도가 가장 높다.
 
흰등멸구 피해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6.11.05 01:29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곤충#매미목#멸구과#흰등멸구#벼#벼해충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