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곤충 이야기
[곤충 이야기] 파밤나방엽채류해충, 과채류해충, 다범성
파밤나방 성충
파밤나방
나비목 밤나방과
 
О 학명 : Spodoptera exigua (Hubner)
О 영명 : beet armyworm
О 크기 : 성충 날개편 길이-11~12mm, 종령유충-약 35mm
О 기주 : 감자, 거베라, 고추, 국화, 들깨, 땅콩, 무, 배추, 생강, 수박, 시금치, 쑥갓, 안개꽃, 장미, 카네이션, 콩, 대파 등 200여종 이상(잡식성)
О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

성충은 앞날개는 폭이 좁은 황갈색이며, 날개 중앙에 청백색 또는 황색점이 있고 옆에 콩팥무늬가 있다. 몸길이는 15~20mm, 날개 편 길이 25~30mm이다.
 
파밤나방 번데기(용)
 
파밤나방 노숙유충(셀러리)
 
파밤나방 유충(다형현상)
유충은 몸색깔변이가 심하여 황록색~흑갈색이고, 보통은 녹색인 것이 많다. 녹색형은 기문 주변에 주홍색의 고리를 가지고 있고, 때때로 각 마디 등면에 검은 막대형 무늬가 있다. 부화유충은 약 1mm, 다 자란 유충은 약 35mm이다.
 
파밤나방 어린유충(대파)
파밤나방 난괴 및 1령충
파밤나방 유충 머리부분 확대촬영
노지에서 1년에 4~5회 발생하며 제주도 및 남부 해안지역의 따뜻한 지역에서는 1회 이상 더 발생할 수 있다. 제주도는 5월 말부터 11월 말까지, 그 외 우리나라에서는 6월부터 10월까지 발생한다. 포장에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세대를 경과한다. 한 세대는 24일이면 경과하고, 알은 2~3일이면 부화하고, 3령까지는 8~10일이 걸린다. 번데기로 토양 등에서 6~7일 보낸다. 잎 표면에 길게 알 덩어리로 산란하며 암컷 한 마리가 600~1,700개의 알을 낳는다.
 
파밤나방에 의한 대파 피해
† 담배거세미나방 피해와 유사하다
파밤나방 유충에 의한 쑥갓 피해
1926년 황해도와 평안남도에서 사탕무우를 가해한다는 것이 처음 기록이 있으나 그때는 중요한 해충은 아니었다. 1988년 8월 전남 해남, 무안, 진도 등지의 지황, 배추, 파, 대파 등에 큰 피해를 주었다. 발생량은 전남, 경남, 제주 등 주로 남쪽지역에 많으나 중부이북 지역에서도 해에 따라 발생량이 많다.
 
곤충병원성곰팡이에 의한 파밤나방 유충 사멸체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8.01.30 01:14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나비목#밤나방과#엽채류해충#과채류해충#다범성#대파#화훼류해충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