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곤충 이야기
[곤충 이야기] 복숭아혹진딧물공통해충,엽채류해충,과채류해충,
복숭아혹진딧물 유시성충
복숭아혹진딧물
노린재목 진딧물과(구 매미목 진딧물과)

О 학명 : Myzus persicae (Sulzer)
О 영명 : green peach aphid
О 크기 : 무시충-약 1.8mm, 유시충-약 1.9mm, 날개길이-약 2mm
О 기주 : 고추, 가지, 무, 배추, 상추, 부로콜리, 당근, 시금치, 케일, 감자, 복숭아나무, 살구나무, 자두나무, 벚나무, 귤나무 등
О 분포 : 한국,일본,중국,인도,유럽,미국 등
 
복숭아혹진딧물 무시성충
무시충은 담녹색인 것과 담홍색인 것 2가지가 있다. 기온이 낮은 시기에는 담홍색의 개체가 많이 발생한다. 무시충의 뿔관은 흑색이고, 중앙부가 약간 팽대되어 있다. 유시충은 담적갈색이고, 더듬이의 제3마디에 0~15개의 도형 감각기가 있다. 배의 면에는 각 마디에 흑색의 띠와 반문이 있고, 뿔관은 중앙부 뒤쪽이 팽대되어 있다.
 
복숭아혹진딧물 노숙약충(레드계열)
복숭아혹진딧물 어린약충(그린계열)
복숭아혹진딧물 레드계열(유채잎 뒷면)
추운 지방에서는 알로 겨울을 지내나 따뜻한 지방에서는 날개가 없는 암컷으로 월동하는 개체가 많다. 가을부터 이른봄에 걸쳐서는 복숭아 · 매실 · 자두 · 사과 등 장미과 과수의 눈이나 어린잎 뒷면에서 번식하다가 날개가 있는 성충이 나타나 토마토 · 배추 · 무 등으로 옮겨온다.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한 직접 피해 및 2차적인 피해 증상
 월동한 암컷은 3월 중순경 증식을 시작하며, 4~5월이 되면 약 1주일만에 성충이 되기 때문에 짧은 기간 내에 많이 발생한다. 여름에는 고온으로 일시 감소하나 9월 상순에 다시 증식하여 발생이 많으며, 연간 30세대 이상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겨울 동안 따뜻한 해나 봄부터 여름에 걸쳐서 건조, 고온이 계속되면 발생이 많다. 촉성 · 반촉성재배에서는 보온을 하기 때문에 진딧물의 번식에 좋은 환경이 된다.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8.01.30 02:30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린재목#진딧물과#Myzus속#공통해충#다범성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