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화면충좀벌 성충 |
목화면충좀벌
벌목 좀벌과(Eulophidae)
О 학명 : Aphelinus varipes (Foerster)
О 크기 : 몸길이 성충 1.7mm내외
О 분포 : 한국, 일본, 미국, 러시아, 유럽 등
목화면충좀벌은 진디면충좀벌과 함께 농작물을 가해하는 진딧물의 천적인 포식기생자이다. 몸 크기는 약 1.7mm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발육기간은 20℃에서 18.3일, 25℃에서 14.7일, 30℃에서 10.4일, 35℃에서 9.3일이며 35℃에서 번데기 사망률이 10.4%로 낮아 고온 적응력이 뛰어나므로 여름철 진딧물 천적으로써 이용이 가능하다. 포식기생률은 진딧물이 작은 1~3령까지 25℃의 경우 23~15%이며, 온도가 높을수록 암컷의 비율이 높아(30℃, 69%) 고온기에 이용 시 진딧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번데기사망률은 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져 35℃에서는 10.2% 이다. 20℃~30℃까지의 번데기 사망률은 0~2.8%로 낮다.
벌목 좀벌과(Eulophidae)
О 학명 : Aphelinus varipes (Foerster)
О 크기 : 몸길이 성충 1.7mm내외
О 분포 : 한국, 일본, 미국, 러시아, 유럽 등
목화면충좀벌은 진디면충좀벌과 함께 농작물을 가해하는 진딧물의 천적인 포식기생자이다. 몸 크기는 약 1.7mm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발육기간은 20℃에서 18.3일, 25℃에서 14.7일, 30℃에서 10.4일, 35℃에서 9.3일이며 35℃에서 번데기 사망률이 10.4%로 낮아 고온 적응력이 뛰어나므로 여름철 진딧물 천적으로써 이용이 가능하다. 포식기생률은 진딧물이 작은 1~3령까지 25℃의 경우 23~15%이며, 온도가 높을수록 암컷의 비율이 높아(30℃, 69%) 고온기에 이용 시 진딧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번데기사망률은 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져 35℃에서는 10.2% 이다. 20℃~30℃까지의 번데기 사망률은 0~2.8%로 낮다.
![]() |
목화면충좀벌에의한 기생당한 진딧물 mummy(검정색) |
목화면충좀벌은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과정을 거친다.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들깨진딧물을 선호하며, 무테두리진딧물에는 낮은 기생률을 보인다. 25℃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출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4.7일이며, 알에서 머미까지의 기간은 약 7일, 머미에서 성충까지의 기간은 약 8일이다. 암컷성충은 일생동안 약 380~410개의 알을 진딧물의 몸체내에 산란하며 수명은 25℃에서 약 30일 이다. 머미의 사망률은 35℃에서도 10.4%로 낮아 고온적응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 |
목화면충좀벌 성충의 기주탐색(drumming) |
목화면충좀벌은 주로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들깨진딧물을 선호하며 고온에도 적응력이 뛰어나 시설하우스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콜레마니진디벌과 동시 이용 시 진딧물 방제효과가 높다.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8.03.30 01:08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벌목#좀벌과#Aphelinus속#천적곤충#토착천적#진딧물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