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옥수수테두리진딧물 유시성충 |
옥수수테두리진딧물
노린재목 진딧물과(구 매미목 진딧물과)
О 학명 :
Rhopalosiphum maidis (Fitch)
О 영명 : corn leaf aphid, corn aphid, cereal leaf aphid
О 크기 : 몸길이 유시충-약 2.1mm, 무시충-약 2.4mm
О 기주 : 옥수수, 보리, 벼, 율무 등 벼과식물
О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
 |
옥수수테두리진딧물 무시성충 |
몸길이 유시충 약 2.1mm, 무시충 약 2.4mm이다. 몸빛깔은 대체로 검은빛을 띤 녹색이다. 유시충의 머리는 검은색이고 겹눈은 어두운 붉은색이며 촉각(더듬이)도 검다. 배등판 양 옆에 3개의 짙은 색 옆무늬가 있고 뿔관은 검은색, 끝조각은 흑록색, 끝판은 어두운 녹색 또는 흑록색이다. 다리도 넓적다리마디 밑부만 연한 색이고 나머지는 검은색이다. 머리에 작은 이마혹이 있다. 더듬이는 6마디이고 제3더듬이마디에 17∼29개의 작고 둥근 2차감각기가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다. 제4더듬이마디에는 2∼14개, 제5더듬이마디에는 1∼4개의 2차감각기가 있고 더듬이길이는 약 1.5mm이다. 몸은 길쭉하고 옆돌기는 앞가슴과 제1·7배마디 양 옆에 있으며 제2∼5배마디의 양쪽 옆무늬에도 각각 작은 것이 있다.
 |
옥수수테두리진딧물 어린약충 |
뿔관은 원기둥 모양이고 그 끝부에는 비늘무늬가 있다. 다리의 종아리마디는 검은색이고 끝이 매우 가늘어 다른 종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끝조각은 원뿔 모양이고 중앙부가 잘록하며 4개의 센털이 2개씩 양쪽에 배치되었는데 비늘무늬가 뚜렷하다. 밑판에는 15∼21개의 털이 있다. 무시충은 머리가 흑록색이고 겹눈은 어두운 붉은색이다. 더듬이는 거무스름하지만 제3마디 밑반부는 연한 빛깔이다. 뿔관·끝조각·끝판은 검은색이고 다리도 대체로 검다. 머리에는 조그만 이마혹이 있고 더듬이에는 2차감각기가 없다. 몸은 길쭉하고 가슴과 배의 등판에 그물무늬가 있으며 옆돌기는 앞가슴과 제1·7배마디의 양 옆에 있다. 뿔관은 원기둥 모양이지만 중앙부가 약간 잘록하고 밑판에는 11∼17개의 센털이 있다.
 |
옥수수테두리진딧물 포식자 꽃등에일종 유충 |
 |
옥수수테두리진딧물 기생봉 Varipes sp. |
벼과 식물에 기생하며 밀, 보리, 옥수수, 율무 등 의 해충 이다.
천적으로는 날라리꽃등에(
Epistrophe balteatus), 광꽃등에(
Melanostoma scalare), 종아리꽃등에(
Paragus tibialis), 그 밖의 꽃등에 등이 있다. 국제종으로, 세계의 온대·열대·아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
옥수수테두리진딧물 피해(율무) |
※ 본 종은 천적사용시 BankerPlant(천적유지식물)로 제공되기도 하는데 보리에
기장테두리진딧물과 함께 사육하여 그에 기생 또는 포식하는 천적곤충인 콜레마니진디벌, 싸리진디벌, 진디혹파리, 호리꽃등에 등을 동반 사육하여 포장내 적용하는 시스템을 이루기도 한다.
이는 천적방제 농가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먹이곤충으로 벼과식물 이외에는 피해가 없으므로 시설하우스 재배작물에 적합 하다고 할 수 있다.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8.09.01 03:00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린재목#진딧물과#매미목#진딧물과#Rhopalosiphum속#수도해충#벼과해충#벼해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