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우렁을 이용한 제초법
(1) 왕우렁 입식
우리 나라는 각 지방별로 모내기 시기가 약간씩 차이가 있다. 그러나 모내기를 마치고 약 15일쯤 지나면 모잎이 완전히 물 위로 자라 올라오고 논바닥에는 작은 풀들이 자라나기 시작한다. 이때 논에 왕우렁이를 넣으면 되는데 군데군데 왕우렁이를 몇 마리씩 풀어놓으면 된다. 논에 들어온 우렁이는 논에 자라난 풀들을 먹기 시작한다. 논에서 자라는 모든 풀은 왕우렁이의 먹이가 된다. 왕우렁이를 넣을 논은 모내기 바로 전에 로타리를 쳐서 물 속에 풀이 모보다 더 빨리 자라지 못하도록 미리 방지한다. 기온이 올라가면서 분홍색 알을 낳는데 멀리서 보면 꽃이 핀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열매가 달린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왕우렁이 자체를 많이 증식하고 싶으면 논에 벼가 자라더라도 먹이를 줄 수 있도록 모를 심을 때 논 가운데로 가로 세로 두세 줄 정도를 비워 두면 좋다.
(2) 제초를 위한 왕우렁 수량
왕우렁이 제초를 위해서 어느 정도 면적에 얼마만큼 왕우렁이를 넣어야 하는지 아직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작년 한마음 공동체는 950평에 60㎏의 왕우렁이를 길러서 제초에 완전히 성공하였다. 이런 경험에 비추어 본다면 논 1마지기(200평)에 약 5㎏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만일 좁은 면적에 너무 많이 넣으면 아직 왕우렁이 가격이 비싼 현실에서 우선 경제적으로 부담이 너무 많고 초기에는 제초 속도가 빠를지 모르나 논에 난 풀을 전부다 먹어 치우고 더 이상 먹을 것이 없어진 우렁이가 벼에 피해를 줄 수도 있다.
(3) 제초를 위한 왕우렁이 논 관리
논농사에 중요한 것은 물 관리인데 왕우렁이를 넣어도 마찬가지다. 왕우렁은 주로 물 속에서만 활동하기 때문에 왕우렁이 논에 들어 있을 때에는 가급적이면 논에 물이 빠지지 않도록 유지해주어야 한다. 논에 물이 빠지면 풀이 더 잘 자라나는데 왕우렁이는 물이 없는 곳에서 자라나는 풀은 먹지 못한다. 반대로 갑자기 비가 온다거나 해서 논에 물이 넘치는 경우에는 왕우렁이가 물을 따라 흘러나가게 되므로 물이 넘치더라도 한 쪽으로만 넘치게 하고 그물이나 망을 준비해서 우렁이가 넘치는 물을 따라 넘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왕우렁이를 넣고 난 후 약 30일에서 45일 후가 되면 논에는 더이상 풀이 없어진다. 뿐만 아니라 이후에 자라는 풀은 벼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한다. 논 말리기 시기도 이때쯤이 적당한데 논 말리기를 하기 전에 우렁이를 잡아내는 것도 좋다. 그렇지 않으면 미리 논 한쪽에 도랑을 만들어 우렁이를 거기로 유인하면 된다.
(4) 우렁이 수확
우렁이를 쉽게 잡아내는 방법은 논물을 빼낼 때 논물이 나오는 곳에 그물을 설치하여 우렁이가 그물에 걸리게 하거나 모내기 전에 논두렁 아래로 길게 20~30㎝ 정도의 도랑을 만들어 논에 물을 빼더라도 거기로 우렁이가 모이게 하면 된다. 왕우렁이는 물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잡아들이는 데 어려움이 없다.
■ 왕우렁이 제초시 주의사항
(1) 왕우렁이를 넣은 논은 항상 물이 빠지지 않게 관리한다. 물이 빠진 곳은 풀이 돋아나도 물 속에서만 먹이를 먹는 왕우렁이가 물 없는 곳의 풀은 먹을 수 없어서 제초가 불가능해진다.
(2) 왕우렁이를 너무 많이 넣으면 처음에는 제초 효과가 눈에 띄게 빨라서 좋으나 먹이가 없어진 우렁이가 벼에게도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왕우렁을 이용한 제초 경험이 부족하여 아직 정확한 양을 제시할 수는 없으나 1마지기당 10㎏ 이상은 너무 많다고 생각된다.
(3) 비가 많이 와서 논두렁을 타고 물이 넘어가면 왕우렁이는 물을 따라 논 밖으로 도망 나가게 된다. 논두렁은 전체적으로 높게 하는 것이좋고 논두렁으로 물이 넘치더라도 한쪽으로만 넘치도록 유도하고 물이 넘치는 곳에 그물을 설치하여 우렁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
(4) 모내기 후에 너무 빨리 왕우렁을 넣으면 산란기를 맞은 왕우렁이가 어린 모를 타고 올락 알을 낳으려 하기 때문에 모가 쓰러질 수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15일쯤 지난 후에 우렁이를 넣어야 하고 어린 모 잎이 완전히 물 위로 올라온 후에 넣어야 한다.
(5) 왕우렁이를 논에 넣기 전까지는 따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만일 우렁이가 못자리에 들어간다면 자라 올라오는 어린 싹을 전부 다 망치게 된다.
(6) 왕우렁이는 직접 농약을 하는 논에서는 살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왕우렁이 자체가 사람이 먹는 것이기 때문에 농약을 해서는 안 되고 가능하면 깨끗한 물로 깨끗한 환경에서 키워야 한다.
(7) 왕우렁이를 논에 키워 부가가치를 높이려면 우렁이를 너무 굵은 것으로 넣지 말고 될 수 있으면 작은 것이 유리하며 많은 양을 입식하면 먹이를 추가로 공급해 주어야 한다.
** 이 자료는 전남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남상도 목사가 정리한 자료를 전재한 것이다. (편집자 주)
운영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04.01.16 22:26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