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농업현장 농업관련정보
기사수정 삭제
해양으로 흡수되는 대기의 질소, 그러면 토양에는..Capone과 동료들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어떤 연구보다도 심층적이고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질소 고정화가 정말로 실제적인 것임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6개월의 항해 기간 동안 150군데의 지점에서 질소 고정화 속도를 측정했다

www.jadam.kr 2005-08-17 [ 조영상 ]

10년 간에 걸친 USC의 연구 결과로 오랫동안 비밀로 남아있는 것에 종지부를 찍게 됐다: 열대지방 해양 유기체들이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질소를 어디서 얻는 것일까 또한 본 연구는 어떻게 수 톤의 이산화탄소가 매일 해양으로 사라지는가에 대한 설명에 도움을 주고 있다.

질소는 식물성 플랑크톤이나 다른 해양 생명체들에게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생물학자들은 오랫동안 죽은 유기체가 바다 깊은 곳에서 분해되어 해양에 질소를 공급한다고 믿어 왔다. 그러나 문제점은 수면 근처에 사는 생명체가 사용하기에 충분한 양의 질소가 이런 방식으로는 생성되어 도달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Nature'에 게재된 연구 논문에서, 생물해양학자인 USC 대학의 Douglas Capone은 특정한 수생 미생물이 대기로부터 대량의 질소를 끌어들인다고 확신하고 있다.

이전의 예측에 따르면, 대기 중의 해양에서 질소가 고정화되는 것은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고 여겨져 왔다. “고정화”란 불활성 기체인 이질소(dinitrogen)가 산소와 질소의 화합물인 질산염과 같은 안정한 상태의 화학 구조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지리화학적인 관점에서 질소 고정화가 역할이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Capone의 연구는 이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가 된다. “Capone과 동료들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어떤 연구보다도 심층적이고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질소 고정화가 정말로 실제적인 것임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6개월의 항해 기간 동안 150군데의 지점에서 질소 고정화 속도를 측정했다”고 캘리포니아 대학의 Nicolas Gruber는 말했다.

1994년에 시작된 그의 프로젝트는 질소 고정화에 관한 가장 확실한 예측 값을 내어놓은 것이다. 최근 'Global Biogeochemical Cycles'에 게재된 연구는 해양 유기체이자 대기로부터 질소를 고정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Trichodesmium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록 해양에는 다른 많은 질소 고정에 기여하는 유기체가 많지만, Trichodesmium 단독으로도 전 세계 해양에서 질소를 고정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던 이전의 값보다 거의 10배 큰 것으로 밝혀졌다.

새로운 예측에 따르면, 지구에서의 질소 고정화는 매년 해양에서 흡수되는 15억 톤의 이산화탄소가 광합성에 사용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보인다. 이것은 매년 생성되는 탄소의 10∼20%에 달하는 것이다.

질소 고정자(N2 fixer)가 질소보다 인이나 철과 같은 영양소에 더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런 영양소를 해양에 첨가하면 온실가스의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등록날짜 2005/08/11 출 판 일 2005/08/10

정보출처 http://www.eurekalert.org/bysubject/atmospheric.php kisti.

운영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05.08.17 09:26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