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농업현장 유기농업
10톤씩, 설탕없이 만드는 생선액비대량의 생선액비도 설탕 없이 부엽토와 물로 충분히 액비가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를 소개한다.(고성 박길수)
박길수님이 멸치잡이 배를 가지고 멸치가공공장까지 운영하며 항상 아쉬움으로 남는 것이 멸치 외에 잡어를 처리하는 문제였다.

www.jadam.kr 2010-09-16 [ 조영상 ]
멸치선단을 운영하며 벼 유기재배를 하는 박길수님이다.

박길수님이 전에 배운 방법은 설탕과 생선을 1:1로 혼합하는 방법이었다. 생선의 양이 많은 까닭에 설탕 값이 엄두가 나지 않던 터에 자닮의 '천연농약전문강좌'를 통해 부엽토와 물로 충분하게 액비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는 실천에 옮기기 시작했다.

www.jadam.kr 2010-09-16 [ 조영상 ]
박길수님이 갖고 있는 멸치잡이 배이다.

방법은 10톤 물탱크에 잡어를 1/2정도 채운 후에 소금을 25kg 넣고 물을 가득 채우는 간단한 방식이다. 액비 제조과정에서 소금을 적절히 첨가하면 액비 제조가 빨라지며 발생하는 냄새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냄새는 분해되는 과정에서 점차 줄어들게 된다.

www.jadam.kr 2010-09-16 [ 조영상 ]
멸치에서 분리된 잡어들을 10톤 통에 넣어 액비를 만들고 있다.

자닮은 액비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설탕을 활용하는 것 차체에 문제제기를 지속적으로 해왔다. 설탕은 생선을 분해하는데 오히려 방해(과량의 설탕은 방부제 효과로 인해 생선분해가 억제됨)가 될 뿐 아니라 액비를 강산성화 시키기 때문이고 이제는 비용의 문제도 만만치 않다.

www.jadam.kr 2010-09-16 [ 조영상 ]
잡어를 통에 반을 채우고 물을 채우면 수개월 지나면서 잡어가 윗부분으로 떠오른다.

액비 제조시간을 앞당기고, 농도장애와 병충해 발생 가능성을 줄이며, 비용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은 액비 제조과정에서 설탕이나 당밀을 빼는 것이다.

www.jadam.kr 2010-09-16 [ 조영상 ]
1년이 경과하면서 생선의 형태가 완전 분해되어 있었다.

10톤 통에 액비를 담근지 3년째가 되어가면서 이제 거의 모든 생선이 분해되고 액비의 냄새는 액젖과 유사한 냄새를 띠는 형태로 변해가는 것을 확인하고는 박길수님은 물과 부엽토만으로 액비가 될 수 있다는 사실에 더욱 공감을 하게 되었다.

www.jadam.kr 2010-09-16 [ 조영상 ]
상층부에서 밑으로 조금내려가면 액체 상태의 액비를 확인할 수 있다. 액젖같은 냄새가 난다. 이를 여과하면 생선액비가 되는 것이다.

설탕과 당밀에서 해방되어라!

우리 선조는 설탕과 당밀 없이 액비를 만들어 활용했었고 수 천년 유기재배를 해왔었다.

친환경자재에서 설탕과 당밀을 빼버려야 진정한 자재가 된다.

설탕과 당밀이 꼭 필요하다는 고정관념은 오랜 것이 아니다. 단 수 십년 밖에…

www.jadam.kr 2010-09-16 [ 조영상 ]
고등어에 부엽토만을 넣고 4년째 된 생선액비다. 물을 혼합하지 않아 제조과정이 많이 걸렸다. (창녕 이철호)

- 박길수님 연락처 : 011-842-4082

조영상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0.09.16 08:28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길수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1
  • 2010-09-20 21:39:32

    향매농원남고매실
    농민에게 희망을 주신 자닮자연농법을하여 만든 액비가 나무에 어떤영향을 주는지 알고싶어요
      수정|삭제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