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딧물이 발생하는 나무는 표시를 하고 그곳은 철저하게 부분 방제를 한다. 그러면 전면 살포로 방제하지 않아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담배 사용 두 시간 이면 우수수
“동계에도 진딧물이 발생하는데 저는 담배 마른 것을 통에 2/3 정도 담고 물을 채워 뒀다가 10일 후부터 바로 쓰는데 스프레이 1/10정도 담고 나머지는 물로 채워서 막 뿌렸어요. 효과가 즉방이예요. 두 시간 정도 있으면 다 쏟아져 버립니다.”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교차 방제
"진딧물이 한 나무에 붙었으면 많아야 몇 나무지 겨울에는 전면으로 안 붙어요. 잎으로 표시를 해뒀다가 일주일에 한 번씩 뿌려줘요. 다른 농가들은 몇 포기 생기면 전면 살포를 하는데 그러면 내성이 생겨서 안 되는 것 같아요. 부분적으로만 해도 충분합니다."
“담배만 하면 내성이 생길 것 같아서 백두홍, 부자, 고삼 세 가지를 섞어 삶았어요. 그렇게 해서 좀 진하게 해서 쓰면 조금 약해가 나도 안 번져서 괜찮은 것 같아요.”
|
진딧물약 사서 쓰지 않아도 충분
“자닮유황하고 자닮오일을 쓰면 진딧물이 타고 올라가는 속도가 늦는 것 같아요. 하위 잎에는 진딧물이 있는데 상위 잎에는 진딧물이 없어요. 그러다 보면 오이는 한 달에 두 번 잎을 따기 때문에 잎을 따버리면 개체수가 줄어들죠. 제 방식대로 하면 일반 진딧물 약은 굳이 안 쳐도 될 것 같아요. 대신 철저하게 진딧물 있는 것은 표시를 하고 방제를 해야 합니다.”
(내용중 일부 요약 : 이경희)
- 동영상 보기 (7분)
일반화질
|
고화질
|
후원전용 (1회 무료시청 가능)
|
조영상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2.03.10 11:32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길현#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