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으로 만든 유아식이 주의력이 부족한 활동 과다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를 유발시킬 수 있을까 미국 캘리포니아대학(UC Irvine)의 연구 결과 두유(soy milk)에 함유된 높은 농도의 무기질이 행동 장애와 연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두유와 ADHD의 연관성을 처음으로 연구한 것으로서, 쥐(rats)를 실험 대상으로 한 경우 무기질인 망간(manganese)을 과량 섭취하게 되면 행동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내용이 NeuroToxicology에 보고되었다.
본 대학 소아과 Crinella 교수 연구팀은 유년기에 과량의 망간을 섭취한 쥐의 경우 행동상의 변화가 유발되었으며, 과량의 망간에 대한 노출이 ADHD의 경우 행동 억제 작용을 발휘하는 신경 전달물질인 도파민(dopamine)의 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망간은 생명 활동에 필요한 무기질이지만, 과거의 연구 결과를 보면 망간을 채취하는 광부들의 경우 여러 가지 행동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유 유아식의 경우는 모유에 비해 망간의 농도가 약 80배나 높아서 초년부터 너무나 많은 양의 망간을 섭취하게 될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과도한 망간 섭취로 행동 장애가 유발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기는 했으나, 이러한 장애가 지속적인 것인지 또는 사람에게도 ADHD를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다"고 Crinella 교수는 밝혔다.
Crinella 교수 연구팀은 낮은 농도의 망간으로는 유아기 쥐에서의 행동상의 변화가 유발되지 않았지만, 높은 농도를 섭취한 쥐의 경우 작업 수행에 있어 더 많은 모순성을 보이는 것을 관찰하였다.
더욱이, 망간의 농도가 높은 경우 도파민의 양은 상당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의 연구 결과에서는 도파민의 감소가 문제 해결 수행 능력과 긴밀히 연관된 뇌의 영역에서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 영역은 뇌의 "중요 행정 기능"을 담당하는 곳으로서 ADHD의 경우 이 영역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Crinella는 "두유 자체가 유해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비용과 기술상 어려움은 있겠지만 일정 공정을 거쳐 망간을 제거시킬 수는 있다. 따라서 향후 더 많은 연구를 통해서는 두유에 대한 망간의 제거 작업이 유아의 ADHD 예방에 도움이 되는지에 관한 것도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망간은 거의 모든 시리얼과 콩을 포함한 곡류에 함유되어 있다. 이 무기질은 에너지를 얻는데 필요한 영양소이지만, 과량의 망간에 대한 노출은 "망간 중독(manganism)"이라 불리는 증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간 중독의 경우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과 유사한 진전(tremors) 및 경련성 즉 종종 극단적인 행동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출처 : KISTI. 농림수산 등 록 일 2002-10-09 원문출판일 2002년 10월 06일
http://www.eurekalert.org/pub_releases/ 2002-10/uoc--ita100202.php
운영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03.09.07 14:00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