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농업현장 농업관련정보
기사수정 삭제
40년 전보다 더 추워진 그린란드지구 여러 곳에서 온난화 현상이 보고되고 있지만, 북극 지역은 다른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덴마크 연구자들이 수집한 기상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1958년부터 2001년 사이 이 섬의 남쪽 지역 평균 기온은 1.29℃ 낮아졌고, Labrador Sea의 해수면 온도 역시 떨어졌다. 전 세계적으로 이 기간동안 기온은 0.53℃ 상승했고, 과학자들은 Greenland 빙하의 두께가 얇아지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1990년대 후반에도 온난화가 있었지만 매우 짧은 기간동안이었다. 그것은 지역적으로 나타나는 자연 주기에 의한 것이었으며, 만약 이러한 현상이 40∼50년 이상 계속된다면 특히 Greenland의 남서 해안지역의 냉각화는 통계적으로 매우 의미있는 현상이다.

코펜하겐에 위치한 덴마크 기상 연구소의 Dr. Hanna와 Dr. John Cappelen은 Geophysical Review Letter에 Greenland 분석 결과를 보고했다. 그들은 8곳에서 데이터를 얻었으며 이러한 냉각화 경향은 지난 35년 이상 관측해오던 North Atalntic Oscillation (NAO)의 페이즈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NAO는 겨울에 습한 북유럽이 순간 건조해져 북대서양의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자연적으로 되풀이되는 압력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Hanna와 Cappelen은 NAO가 Greenland 해변을 따라 기온이 낮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지구 온난화와는 반대로 해빙률이 감소하는 원인이 된다고 믿고 있다.

Dr. Hanna는 2002년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으며 최근 온난화 현상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지구의 온난화로부터 얻을 수 있는 메세지는 지역적으로 서로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라고 덧붙여 말했다.

Greenland는 2백만 스퀘어 킬로미터가 넘는 면적으로, 85% 정도가 두께 3 킬로미터 이상의 빙하로 덮여있다. 1990년대 처음으로 NASA가 지구 온난화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빙하의 전체적인 윤곽을 측정하기 위해 laser를 이용한 고도계가 장착된 항공기를 띄워서 연구하였다. NASA는 5년여의 기간동안 빙하의 두께가 5미터 가량 얇아졌음을 발견했으며, 그 외에도 최근 빠른 해빙에 관한 연구도 계속하고 있다.

Greenland는 그곳에 있는 얼음들이 다 녹는다면 해수면이 6∼7 미터까지도 상할 수 있기 때문에 기후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KISTI. 지구과학 등 록 일 2003-03-17 원문출판일 2003년 03월 11일

http://news.bbc.co.uk/1/hi/sci/tech/2840137.stm

운영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03.09.13 17:41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