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곤충 이야기
[곤충 이야기] 배나무면충과수 및 수목해충
본 종은 봄철 배나무원에서  꼬마배나무이와 함께 자주 발생하여 피해를 주곤 합니다.  천적곤충군들인 무당벌레, 풀잠자리류, 꽃등에류 등이 잘 관리 되는 포장이라면 큰 피해까지는 가지 않는 것으로 파악 되었습니다.  호리꽃등에 유충이 밀집된 배나무면충 군집속에서 포식활동을 하는 것 하나만 촬영 하였으나 위에 언급한 모든 천적들이 관찰 되었으니,  초생재배시 벼과잡초를 적극 식재하여 천적곤충 군락이 다양 할 수 있도록 포장조성에 앞장 서는 것이 유기자연재배의 첫걸음이라고 생각 됩니다. 
 
배나무면충 유시성충
 

배나무면충
매미목 면충과


О 학명 : Prociphilus kuwanai Monzen
О 영명 : kuwana pear aphid
О 크기 : 몸길이 무시성충 2~3mm 
О 기주 : 배나무
О 분포 : 한국, 일본 등


날개가 없는 성충은 황록색으로 몸크기가 2∼3mm정도이고 꽁무늬부분이 하얀 솜같은 납물질로 싸여 있다.  날개가 있는 성충은 몸이흑색이고 날개는 투명하며, 날개가 달린 진딧물과 유사하다.
 
배나무몀충 어린약충(사진 가운데)
배나무면충 피해엽 뒷면† 동글동글한 구슬모양은 감로임
가해를 받은 피해잎은 뒷면으로 말리면서 이상비대하여 잎술모양으로 말리며 그부분은 색깔이 엷어진다. 잎의 말린 부분 안쪽에 흰색 솜모양의 납물질에 덮인 담황색의 무시충과 수 많은 구슬모양의 배설물이 눈에 띤다. 피해엽 밑부분에는 배설물이 떨어져 그을음병이 생기고 흰색 납물질이 함께 섞여 있다.
 
배나무면충의 위장술
배나무면충 피해엽
† 잎이 뒷쪽으로 말리는 증상이 보인다.(사진 중앙)

가지의 눈기부에서 난으로 월동하여 4월에 부화한다. 4∼6월에 걸쳐 주로 과총 잎에 피해를 주고 6월경 유시충이 나타나서 여름기주로 이주하여 여름동안은 배나무에서 발견할 수 없다. 10월상순이 되면 유시충이 배나무로 날아와서 월동알을 눈 기부에 낳는다.

 
호리꽃등에 유충의 배나무면충 포식† 잎이 말린 부분 속에 서식하며 배나무면충을 포식함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6.06.01 00:15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곤충#매미목#면충과#배나무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