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곤충 이야기
[곤충 이야기] 보리수염진딧물벼과작물 해충
자닮 회원이시라면 천적유지식물(banker plant)에 대하여 들어보지 않은 분이 없으리라 생각 합니다.  그 천적유지식물에 소요되는 기장테두리진딧물, 옥수수테두리진딧물, 보리수염진딧물 등 벼과에만 가는 종류들을 이용하여 천적을 유인 및 보존, 이용하는 것으로서 향후 천적유지식물에 대한 정리를 해 볼까 합니다만, 우선 인터넷 기사로 가름 합니다.
'천적을 지켜주는 식물들' 이라는 정감가는 기사기 있어 링크 걸어 봅니다.  최만영 연구관님의 기사 입니다.  http://www.r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71
 
보리수염진딧물 유시성충(날개가 있는 성충)
보리수염진딧물 무시성충(날개가 없는 성충)
보리수염진딧물
노린재목 진딧물과(구 매미목 진딧물과)


О 학명 : Sitobion(Macrosiphum) avenae Fabricius
О 영명 : english grain aphid
О 크기 : 몸길이 유시성충 약 2.9mm
О 기주 : 보리, 벼, 호밀, 밀, 단수수, 바랭이, 으름덩굴 등
О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북아메리카 등


유시충의 몸길이 약 2.9mm이다.  몸빛깔은 흑록색이고 갈색 또는 적갈색 무늬가 있다.  머리는 흑갈색, 눈은 붉은색이다.  배는 흑록색이고 뿔관은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 무시충의 몸길이는 유시충과 같으며 뿔관은 0.75mm의 긴 원기둥 모양이며 끝에 테두리가 있다.
 
보리수염진딧물 노숙약충
보리수염진딧물 어린약충

기수식물은 보리, 호밀, 벼, 단수수, 바랭이 등이다.  알로 월동하며 보리의 생육 초기부터 성충과 약충이 잎의 뒷면에 붙어서 즙액을 빨아먹는데, 이삭이 나올 때 밀도가 급격히 높아진다.  이삭이 나온 후에는 이삭과 이삭목에 기생하면서 피해를 주므로 종자가 잘 여물지 않고, 심하면 말라죽는다.

아래사진들은 보리수염진딧물 주변에서 쉽게 관찰 되는 천적류를 모아 본 것이다.  평소 '공짜천적을 씁시다'(개인 블로그 연재)라는  지론을 갖고 있어, 되도록이면 천적을 보호하여 이용하는, 다시말하자면 특정 해충이 대발생 하였을때만 천적을 구매하는 방향으로 하여 최소비용으로 천적에 의한 자연방제가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 하였던 바 있다.
 
무방벌레 유충
진디벌일종 미이라(mummy)
호리꽃등에 어린유충(탈피 중)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6.06.01 01:16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린재목#진딧물과#매미목#진딧물과#벼과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