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Bolton) Schroet. 영어이름 Thin-walled Maze Polypore, Blushing bracket |
도장버섯의 학명 가운데 Daedaleopsis라는 속명(屬名)은 희랍신화 가운데 크레테(Crete) 섬의 미로(迷路)와 밀랍 비행 날개를 만든 명장(明匠)의 이름 다이달로스(Daedalus)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포자를 배출하는 갓 밑의 모습이 미로迷路처럼 생겼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그리고 종명(種名) confragosa란 매끈하지 않은, 거친(rough)이라는 뜻이다. 이 버섯의 포자가 나오는 아랫면 자실층의 관공모양이 매끈하게 고르지 않은 거친 미로상(迷路狀 daedaloid)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미로의 막이 엷은 막으로 되어 있어서 영어이름은 박막미로(薄膜迷路) 구멍장이 버섯이라는 뜻의 Thin-walled Maze Polypore라고 부른다. 도장버섯은 주로 활엽수인 버드나무나 자작나무 위에 돋는다고 하는데 이 사람이 사는 지역에서는 주로 죽은 자작나무 위에 많이 돋고 침엽수 위에는 돋지 않는다.
갓: 3-16cm 크기의 반원-콩팥-부채 모양을 가졌고 대는 없다. 갓 표면은 거칠게 주름져 있고 처음에 거친 인편이 있다가 차차 우단처럼 보이거나 거의 미끈하게 된다. 크림 흰색, 회색, 갈색 등 색색이 환문이 있다. 갓 가장자리가 얇고 날카롭다.
![]() |
도장버섯의 자실층 관공의 모양이 다양하여 이 사진은 다공모양(poroid)을 가지고 있다. |
조직: 거칠고 질기며 1-2cm 두께에 허연색-담갈색이다. 냄새와 맛은 별 특이한 것이 없다. 질겨서 식용할 수 없고 약용으로 사용한다.
발생: 여름에서 가을에 또는 연중 내내 활엽수 고사목 특히 자작나무 위에 돋는다. 단생, 산생 또는 그룹으로 모여 돋는다. 흔한 버섯이다.
![]() |
관공 모양이 가늘고 긴 것과 둥근 모양이 섞여 있다. |
도장버섯의 생체활성 성분(Bioactive compounds)
1. 트리테르펜(Triterpenes)
3α-carboxyacetoxyquercinic acid(A),
3α-carboxyacetoxy-24-methylene-23-oxolanost-8-en-26-oic acid(B)
5α,8α-epidioxyergosta-6,22-dien-3β-ol(C)
2. 렉틴(Lectins)
도장버섯의 렉틴 성분을 토끼와 사람의 적혈구에 대하여 조사해 본 결과
반H 혈청학적 특수성(anti-H serological specificity)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3. 스테롤(Sterols)
도장버섯으로부터 이미 알려진 열 가지 스테롤과 함께 신종 스테롤인 ergosta-5,8,24(28)-trien-3β-ol 이 분리되었다.
4. 인지방질/지방산(Phospholipids/Fatty acids)
도장버섯의 지질(脂質)과 지방산을 분석해 본 결과 총 20.1%의 지질, 중성지질 32.9%, 인지방질 53.8%, 그리고 당지질(糖脂質) 13.3%가 들어 있다는 것이 들어났다.
그리고 수산기(水酸基)를 포함하는 지방산을 분석해 본 결과 도장버섯에는 0.02% 의 7-hydroxy-8,14-dimethyl-9-hexadecenoic 산과 0.01%의 7-hydroxy-8,16-dimethyl-9-octadecenoic 산을 함유하고 있다고 한다.
![]() |
도장버섯의 갓 윗면 |
도장버섯의 의약적 효능(Medicinal properties)
1. 항생효과(Antibiotic effects)
말린 도장버섯 자실체로부터 정제한 20(29)-lupen-3-one라는 성분은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과 피부나 털의 여러가지 질환을 일으키는 석고상소포자균(石膏狀小胞子菌 Microsporum gypseum)을 억제하는 항진균 작용이 있다.
그리고 대장균(Escherichia coli); 흔히 이차 감염균으로 국한성 화농병소에서 볼 수 있는 심상변형균(尋常變形菌 Proteus vulgaris); 심내막염, 폐렴, 수막염 등 여러 가지 사람의 질환의 원인이 되는 슈도모나스균(Pseudomonas pyocyanea); 부패성 토양 및 수중(水中)의 균(菌)으로 흔히 실험실 오염을 일으키고 때로는 결막염과 같은 병변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고초균(枯草菌 Bacillus subtilis); 그리고 노란 포도알처럼 생긴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억제하는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다.
근래에는 도장버섯 균사체 물 추룸물은 H5N1과 H3N2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2. 항산화 작용(Anti-oxidant activity)
뿐만 아니라 말린 도장버섯 자실체로부터 정제한 20(29)-lupen-3-one이라는 성분은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며 이러한 억제 효과는 널리 알려진 산화 방지제(antioxidant α-tocopherol)의 효과와 비슷하다고 한다. 특히 도장버섯 뜨거운 물 추출물은 가장 높은 비율의 한산화 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에타놀 추출물은 가장 높은 수준의 페놀성분이 들어 있다.
![]() |
이 도장버섯의 관공은 특이하게 미로형이다. |
도장버섯의 물 추출물은 혈압을 조절해 주는 생리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항고혈압제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4. 항종양 효과(Anti-tumor effects)
도장버섯 균사체 배양으로부터 얻은 다당류를 흰쥐의 복강내(腹腔內)에 주입한 결과 Sarcoma 180과 Ehrlich 복수암을 90%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그 뒤 도장버섯의 가공하지 않은 메탄올 추출물은 쥣과 암 세포주 L1210 (lymphocytic leukaemia)에 대한 세포독성 작용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참고자료:
* Healing Mushrooms
https://healing-mushrooms.net/archives/daedaleopsis-confragosa.html
* Robert Dale Rogers, Lesser-Known Medicinal polypores of Pacific Northwest, Fungi, Vol. 13:1, Spring 2020, pp. 20-25. 특히 p. 21.
* 약용버섯 이야기(45): 도장버섯, 미로버섯 참고. (기사등록일시 : 2014.03.30. 23:33)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20.10.25 09:50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장버섯#항진균#항균#항산화#항고혈압#항종양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