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중 선호하는 작물이 상추이며 배추, 무와는 달리 해충발생이 비교적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추에도 몇가지 해충이 존재 하는데 곱추맵시밤나방, 진딧물류, 총채벌레류, 노린재류 등이 때에 따라서는 피해를 주기도 함으로 위의 해충이 발생되지 않는 시기를 택하여 재배를 하거나 주변 잡초중에 고들빼기, 엉겅퀴 등이 있으면 반드시 제거해 주는 것이 바람직 하다. 친환경 농자재도 진딧물류에 대한 방제가 손쉬우나 소량구매가 어렵다는 어느 어르신의 말씀을 보면 농약관리법에 준한 판매방식을 약간 수정하여 온라인 거래가 가능한 길을 찾아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도 좋으리라 사료된다.
![]() |
대만수염진딧물 무시성충 1개체 |
대만수염진딧물
노린재목 진딧물과(구 매미목 진딧물과)
О 학명 : Uroleucon formosanum (Takahashi)
О 크기 : 몸길이 유시충 약 3㎜, 무시충 약 3.8㎜
О 기주 : 상추, 고들빼기, 엉겅퀴 등
О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등
![]() |
대만수염진딧물 무시성충 2개체 |
몸빛깔은 유시충과 무시충이 모두 붉은빛을 띤 갈색이다. 유시충은 이마혹이 발달하였고 그 안쪽은 직선으로 바깥쪽을 향하고 여기에 끝이 뾰족하지 않은 3∼4개의 센털이 있다. 촉각(더듬이)은 6마디이고 제3촉각마디가 가장 길어서 제4·5마디를 합친 길이보다 길며, 여기에 튀어나온 제2차 감각기가 약 130개나 있어 다른 종과 구별된다.
![]() |
대만수염진딧물 약충 † 머리부분과 뒷부분이 붉은색계열, 가운데는 진갈색을 띠기 시작한다. |
배마디에 옆무늬가 발달해 있으며 뿔관앞무늬와 뒷무늬도 뚜렷하다. 배등판에 피부딱지가 발달해 마디마다 옆으로 줄지어 있으며 여기에 끝이 뾰족하지 않은 센털이 1개씩 있다. 뿔관은 길이가 0.8mm의 원기둥 모양이며 끝으로 갈수록 약간 가늘어지고 끝부 1/3에 그물무늬가 있다. 끝조각은 길이가 약 0.5mm로 밑부 가까이가 잘록하며 끝이 뾰족하고 약 18개의 센털이 있다.
무시충은 제3촉각마디에 약 80개의 제2차 감각기가 있고 가운뎃가슴 속뼈에 자루가 있다. 배에는 옆무늬가 없고 뿔관앞무늬는 가늘며 뿔관뒷무늬는 넓다. 제6∼8배마디등판에 각각 2, 6, 4개의 피부딱지가 있고 여기에 1개씩의 센털이 있다. 끝조각은 잘록하지 않고 끝부가 가늘며 약 16개의 길고 짧은 센털이 있다.
![]() |
상추 잎 뒷면에 발생하고 있는 대만수염진딧물 |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6.11.04 23:23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곤충#노린재목#진딧물과#Uroleucon속#매미목#진딧물과#대만수염진딧물#상추#고들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