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혹명나방 성충
† 산국에서 흡밀 활동 중 |
혹명나방
나비목 명나방과
О 학명 :
Cnaphalocrocis medinalis (Guenee)
О 영명 : Rice leaf roller
О 크기 : 성충-날개길이 약 18mm
О 기주 : 벼, 밀, 보리
О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동남아시아 등
 |
혹명나방 노숙유충 |
날개길이 약 18mm이다. 머리는 황백색이고 몸은 담황갈색이다. 앞날개의 바탕색은 황색이고 앞가두리는 갈색 비늘가루로 덮여 있고 앞가두리 중간에 암갈색의 털융기가 있다. 앞날개의 바깥가두리는 담갈색이다.
 |
혹명나방 어린유충 |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해외로부터 한국에 날아오는 비래해충으로 추정되고 있다. 해에 따라 발생과 피해의 차이가 크다. 연간 발생횟수는 일정하지 않으나 2∼3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월동상태는 확실하지 않다. 성충은 낮에는 벼잎이나 잡초 사이에서 배끝을 들고 정지해 있으며, 해질 무렵부터 교미 또는 산란활동을 하며 주광성이 강하다. 알은 납작한 타원형이고 벼잎에 1∼2개씩 낳으며 산란기간은 5∼7일, 유충기간은 약 20일, 번데기 기간은 8∼15일, 나방의 수명은 9∼20일이다.
 |
혹명나방 유충의 초기 피해
† 잎을 2~3개 정도 말아서 그 안에서 섭식 한다. |
유충은 황록색이나 자라면서 점차 붉은색을 띤다. 벼잎을 1개씩 세로로 말고 몇 군데를 철한 다음, 그 속에서 가해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간혹 2∼3개의 잎을 철하고 가해하는 일도 있다. 피해 잎은 뒷면의 표피만 남으며, 잎이 말라죽으면 계속 다른 잎으로 옮겨가서 가해한다. 많이 발생하면 논 전체가 녹색을 잃게 되고, 출수와 등숙이 불량해진다. 벼잎말이명나방과 형태적으로 비슷하나 이 종은 말린 잎의 위아래를 막지 않으며 손을 대면 유충이 재빠르게 땅으로 떨어지는 습성이 있다.
 |
혹명나방 피해 포장 전경 |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6.11.05 01:54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곤충#나비목#명나방과##Cnaphalocrocis속#벼해충#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