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곤충 이야기
[곤충 이야기] 이슬애매미충과수해충
이슬애매미충 성충 (포도)
이슬애매미충
매미목 매미충과

О 학명 : Arboridia kakogawana (Matsumura)
О 영명 : grape leafhopper
О 크기 : 몸길이 약 3mm
О 분포 : 한국, 일본 등

성충은 몸길이가 3mm 정도이고 연한 노란색이다. 정수리 앞쪽의 양 옆에 2개의 검은색 점을 가지고 있다.
 
이슬애매미충 약충(가번데기)
약충과 성충이 포도나무의 잎과 과실에서 즙액을 빨아 먹는다. 잎 뒷면에서 번식 가해하게 되면 잎이 엽록소를 잃어 하얗게 변하며 광합성 능력이 저하되어 과실의 착색과 성숙이 불량해진다.  대발생하면 과실에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상품가치를 크게 떨어뜨린다.
 
이슬애매미충 약충
과거에는 포도에 주로 발생하는 애매미충이 두점박이애매미충(포도쌍점애매미충)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 조사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포도를 가해하는 애매미충은 3가지로, 이슬애매미충(Arboridia kakogawana), 이마점애매미충(A. maculifrons), 검은볼애매미충(A. nigrigena)이 있으며, 이 중에서 이슬애매미충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슬애매미충에 의한 포도 잎 피해(전면)
애매미충은 성충으로 낙엽 속, 잡초 밑, 거친 껍질의 틈 사이에서 월동한다.  1년에 3회 발생하는데 1회 성충은 6월 중순∼7월 상순, 2회는 8월 중하순, 3회는 9월 하순∼10월 상순에 나타난다.
 
이슬애매미충 약충을 포식하는 포식성응애 일종(붉은색)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8.01.26 01:20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미목#매미충과#포도해충#과수해충#포도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1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