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곤충 이야기
[곤충 이야기] 국화방패벌레외래해충
국화방패벌레 성충
국화방패벌레의 교미모습
국화방패벌레(해바라기방패벌레)
노린재목 방패벌레과

О 학명 : Corythucha marmorata (Uhler)
О 영명 : chrysanthemum lace bug
О 크기 : 몸길이 2.77~3.28mm, 폭 1.73-2.06mm
О 기주 : 해바라기, 망초, 미국쑥부쟁이, 쑥, 원추천인국 등 국화과, 꿀풀과, 가지과, 백합과, 콩과 등
О 분포 : 한국, 일본, 미국 등

2011년 경북 포항시, 2012년 경남 창원시 등에서 발견하여 신종으로 등록된 외래해충이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다.  몸색은 흑갈색을 띠며 날개는 반투명한 막질로 유백색 바탕에 황갈색 무늬를 지닌다. 몸체는 짧은 연모로 덮여 있고, 다리와 더듬이는 황갈색을 띤다. 더듬이는 4마디로 몸길이의 1/2정도로 길며, 끝은 곤봉모양으 로 연모가 촘촘하게 나 있다. 주둥이는 길고, 끝이 뾰족한 흡즙 침으로 되어있다. 앞가슴등판은 원추형이고, 양옆 으로 반원꼴 모양의 옆판이 넓게 발달되어 있어 머 리부분을 가리며 작은방패판은 역삼각형이다. 뒷가 슴 등판은 편평하고 길어 복부 전체를 덮는다.
 
국화방패벌레 중령 & 종령
종령 약충의 몸길이는 2.33 mm이고, 몸색은 투명한 황색을 띠다가 차츰 색이 짙어져 황갈색으로 되며, 몸체는 연모로 덮여 있다. 겹눈은 붉은색을 띠고, 앞가슴옆판은 크 고 둥글게 발달되어 있다. 복부는 넓고 볼록하며, 가장자리에 짧은 긴 가시가 발달되어 있다.
성충의 암컷과 수컷은 외형적으로 보았을 때 큰 차이가 없지만, 암컷은 배 끝이 둥근 반면, 수컷은 배 끝이 뭉 뚝하게 튀어나와 있고, 그 곳에 생식기가 자리하고 있다.
한편 동일속의 국내 침입종인 버즘나무방패벌레(Corythucha ciliata)와는 반시초에 1쌍의 반원 모양의 흑갈색 무늬로 구별 할 수 있다.
 
국화방패벌레 어린약충
성충과 약충은 기주식물의 뿌리에 가까운 아랫부분부터 흡즙하였고, 잎 뒷면의 주맥을 따라 조직을 흡즙 하여 가해부위 표면은 엽록소가 파괴되어 군데군데 황백색으로 변한다. 또한 잎 뒷면에 검은 끈적거리는 배설물을 남겨 잎의 기 공을 막고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잎 조직을 파괴하였다.
 
국화방패벌레 알(산란모습)
성충은 기주식물의 잎 뒷면 주맥을 따라 15-30개의 알을 하나씩 흩어 산란하였고, 알은 1 mm 내외이며 연한 갈색
국화방패벌레에 의한 피해
  † 2차적으로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을 띤 긴 타원형이었다. 성충과 약충은 잎 뒷면에서 무리지어 생활하고, 성충은 6월 상순부터 10월 하순까지, 약충 은 7월 초순경부터 볼 수 있으며, 7월 상순-8월 하순에 성충의 발생최성기이고, 8월에는 약충 발생최성기로 나타났다.
[자료출처: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Host plants of Corythucha marmorata (Uhler) (Hemiptera: Tingidae) in Korea(Dong Eon Kim, Jihyon Kim)]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8.05.30 02:17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린재목#방패벌레과#Corythucha속#외래해충#국화과해충#신종#돌발해충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