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곤충 이야기
[곤충 이야기] 먹노린재수도해충, 벼해충
먹노린재 성충
먹노린재
노린재목 노린재과

О 학명 : Scotinophara lurida (Burmeister)
О 영명 : rice black bug
О 크기 : 몸길이 성충 8∼10mm
О 기주 : 벼
О 분포 : 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스리랑카, 타이완, 미얀마 등
 
먹노린재 약충
성충의 몸길이는 약 8~10mm이고, 몸전체가 흑색 또는 약간 암갈색을 띄는 경우도 있다. 표면은 거칠고 광택이 없다. 성충의 머리는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더듬이는 길고, 5마디로 되어 있는데 제5마디가 가장 길고 크다. 등판 앞 가장자리의 양 끝에 옆쪽으로 난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알은 0.9mm 정도의 회백색 구형이며, 약충은 적갈색 또는 회갈색을 띤다.
 
먹노린재 벼 피해 주
 † 벼 먹노린재 성충이 하단에 보인다.
우리나라에는 1971년에 최초로 보고된 해충이며 1997년부터 충북 산간지역인 옥천, 충남 서산지역에서 다량 발생하여 문제가 된 해충이다. 2001년 이후에는 중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1년에 1세대 발생하며, 낙엽 밑이나 말라죽은 잡초 속에서 성충태로 월동한 후 6월 상순부터 본답으로 이동한다. 본답에서의 월동세대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7월 상순이며, 약충은 7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발생하고, 신성충은 8월 하순부터 수확기까지 발생한다. 성충의 평균 산란 수는 30.7개이며, 최고 55개까지 산란한다. 성충은 난괴로 산란하는데 난괴당 알 수는 12~16개이며, 알기간은 평균 4.3일이고, 약충기간은 45.8일이다.
 
먹노린재에 의한 주남벼 피해 포장(경남 고성군)
유사종으로는 갈색큰먹노린재(Scotinophara horvathi), 꼬마먹노린재(Scotinophara scotti) 등이 있다. [텍스트출처: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등]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8.08.31 22:39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린재목#노린재과#Scotinophara속#수도해충#벼해충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