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곤충 이야기
[곤충 이야기] 끝동매미충수도해충, 벼해충
끝동매미충 수컷성충
끝동매미충
노린재목 매미충과(구 매미목 매미충과)

О 학명 :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О 영명 : rice green leafhopper
О 크기 : 몸길이 ♀성충 6mm, ♂성충 4∼5mm
О 기주 : 벼, 뚝새풀, 보리, 밀, 조, 피 등
О 분포 : 한국, 일본, 타이완, 타이, 인도, 미얀마 등
 
끝동매미충 암컷성충
몸길이 수컷 4∼5mm, 암컷 6mm이다. 몸빛깔이 등면은 선명한 초록색이며 정수리는 노란빛을 띤 녹색부터 노란색까지 변화가 있고 광택이 있다. 몸의 밑면은 수컷이 검은색이고 암컷은 연한 노란색이다. 정수리의 검은색 가로띠에서 뒤편 정중선에 1개의 선이 있다. 홑눈의 뒤편에 양 겹눈을 잇는 검은색의 가로띠가 있다. 홑눈은 머리의 앞가장자리에 있으며 회색빛을 띤 노란색으로 투명하지 않고, 겹눈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다.
 
끝동매미충 앞이마 형태 비교
1년에 4∼5회 발생하며 알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mm 내외이다. 4령 약충으로 논뚝, 밭뚝, 제방 등에서 월동한다. 약충은 방추형으로 연한 초록색이다. 이른봄 뚝새풀로 이동해 1세대 경과한 다음 성충이 묘판이나 본답에 날아온다. 1회 성충은 4월 중순, 2회 성충은 5월 하순∼6월 상순, 3회는 7월 중순, 4회는 8월 하순에 나타난다. 알로 있는 기간은 16∼20일(월동약충은 약 150일), 성충의 산란기간은 평균 30일이다. 산란수는 15∼500개로 월동세대 성충이 가장 많이 산란한다.

벼의 중요한 해충으로 그 밖에도 보리, 밀, 조, 피 등 화본과 식물에 기생한다. 성충과 약충이 숙주식물의 즙액을 빨아먹어 피해를 줄 뿐 아니라 벼오갈병을 매개하며, 특히 출수기에는 벼이삭의 즙액을 빨아먹어 임실률(稔實率)을 저하시키고 배설물이 그을음병을 일으킨다. 생육장애를 가져와 수확량이 줄어들 수도 있다. 피해를 입은 이삭은 이삭목이나 가지에 갈색의 반점이 생기며 벼알의 빛깔이 변해 얼룩진다. [텍스트출처: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등]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8.08.31 23:30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린재목#매미충과#매미목#매미충과#Nephotettix속#수도해충#벼해충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