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곤충 이야기
[곤충 이야기] 박주가리진딧물약용작물해충,특화작목,
박주가리진딧물 유시성충(하수오)
박주가리진딧물
노린재목 진딧물과(구 매미목 진딧물과)

О 학명 : Aphis nerii Boyer de Fonscolombe
О 크기 : 몸길이 무시성충♀ 2.5mm,유시성충 2.2mm
О 기주 : 박주가리, 백수오, 하수오, 메꽃, 명자나무 등
О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유럽, 인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등
 
박주가리진딧물 무시성충(하수오)
무시태생 암컷의 몸길이는 2.5 mm이고 몸은 황색이며 촉각과 다리는 흑색이다. 유시태생 암컷의 몸길이는 2.2 mm, 머리, 더듬이, 앞가슴은 황색이며 가운데가슴, 뒷가슴은 흑색이다. 배는 황색이고 뿔관밑부에 흑색 무늬가 있다. 뿔관, 끝편, 밑판은 흑색이다.
 
박주가리진딧물 약충(하수오)
5월~6월경에 무시태생 암컷이 기주식물의 신초부에 군서하며, 기생 밀도가 높아지면 유시태생 암컷이 출현하여 부근의 나무에 이동하여 번식한다. 신초의 생장이 정지하고 잎이 경화되는 7~8월경에는 화경에 기생하며, 기생 밀도는 감소된다. 9월에 재차 밀도가 증가하여 개화 중의 화경뿐만 아니라 개화가 끝난 화경에도 군서한다.
 
박주가리진딧물 신초 군서 및 칠성무당벌레 성충(박주가리)
5~6월경 기주식물의 신초, 잎 뒷면 화경에 군서하여 흡즙 가해하므로 신초의 생장이 저해되며 화착)도 나쁘다. 잎이 마르거나 가지가 고사되지는 않지만 그을음병이 발생되어 미관을 해친다. 도시 근교의 공원에서 흔히 발생된다[텍스트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8.12.01 22:37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린재목#진딧물과#매미목#진딧물과#Aphis속#약용작물#특화작목#소면적작물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