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노랑총채벌레를 포식하는 미끌애꽃노린재 성충 |
노린재목 꽃노린재과
О 학명 : Orius laevigatus (Fiber)
О 영명 : insidious flower bug
О 크기 : 몸길이 ♀ 2.1㎜, ♂1.7㎜
О 기주 : 총채벌레류, 진딧물류, 응애류 등
О 분포 : 한국(도입천적), 일본, 중국, 타이완, 유럽, 북아메리카 등 전 세계적
![]() |
미끌애꽃노린재 약충 |
![]() |
미끌애꽃노린재 1령 약충 |
식물체에 산란한 알은 위에서 보면 백색의 원형으로 중앙이 함몰된 凹모양 부분만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아래 부분은 조직 속에 있다.
![]() |
미끌애꽃노린재 알(산란) |
본 종은 알→약충(1~5령)→성충을 거치며 번데기 기간이 없는 불완전변태를 한다. 국내 토착종인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는 일장이 짧은 겨울에 휴면을 하기 때문에 겨울철 이용이 어려웠으나, 휴면하지 않는 미끌애꽃노린재를 도입함으로써 겨울철 이용이 가능하였다. 미끌애꽃노린재의 발육기간은 25℃에서 알 4.1일, 약충 11.4일이 걸리며, 성충의 산란수는 224.5개, 수명은 32.6일이다. 꽃노랑총채벌레 2령유충을 포식하는 수는 하루에 10.9마리를 먹는다. 애꽃노린재류의 월동은 교미한 성충(생식휴면)으로 10월 하순경부터 늙은 나무의 껍질 틈이나 낙엽 등에서 겨울을 지낸 후 4월 상순경부터 클로버 등 잡초로 이동하여 총채벌레, 진딧물 등을 먹고 생활하다가 5월부터 작물에 발생한 해충을 먹기 위하여 이동한다.
![]() |
미끌애꽃노린재 포식(복숭아가루진딧물) |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8.12.01 23:49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린재목#꽃노린재과#Orius속#천적곤충#생물적방제#유용곤충#도입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