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리응애 성체 |
보리응애
응애목 Penthaleidae
О 학명 :
Penthaleus major
О 영명 : Blue oat mite
О 크기 : 1.3mm내외
О 기주 : 보리, 김의털(김의털아재비) 등 벼과잡초, 클로버, 목화, 배추, 시금치 등
О 분포 : 한국, 미국 등
 |
보리응애 약충 |
늦가을부터 봄까지 활동하고 여름철에는 알로 하면하는 저온성 해충이다. 주간에는 잎 뒷면이나 지표면에 숨어 있고 밤에 활동하면서 기주식물을 가해한다. 피해를 받은 잎은 은백색이 되며 심한 경우 말라죽기도 한다. 배추의 경우 결구 내부에 잠입하여 피해를 준다.
 |
보리응애 군서하는 모습(김의털류, 벼과잡초)
† 다량 발생 할 경우 잎 표면이 은백색으로 변한다. |
휴면알은 10월 하순부터 11월에 부화하며, 연간 1~2회 발생하고 10월하순~12월중순, 2월하순~5월상순에 발생이 많다. 국내 농작물에 피해는 2011년 제주 및 남해에서
Penthaleusery throcephalus 종으로 보고 되었으며 시금치 유기농 포장 및 감귤원 잡초 등에서 발생이 확인 되었다.
 |
보리응애 전자현미경 사진 |
보다 진전 된 연구에 의하면
'Penthaleus major'가 널리 분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상위 본 종을 '보리응애'라 (가)칭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심도있게 진행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이, 박 등). 참고로 대전 충남 지역에서는 2012년 최초 관찰 되었다.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9.04.12 00:38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애목#Penthaleidae#Penthaleus속#시금치해충#벼과해충#소면적재배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