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1: 흰주름만가닥버섯(이전 이름 밀만가닥버섯) Lyophyllum connatum (Schumach.) Singer 영어이름 White Domecap, Fried Chicken Mushroom |
대: 길이 4-10x 굵기 0.8-2 x 0.5-1cm, 옆으로 납작해지기도 하고 납작해진 쪽에 홈이 있기도 하다. 기부 쪽으로 가면서 부풀어 오르고, 여럿이 함께 돋은 때 구부러지기도 하며, 흰색이다. 대 위쪽 부분은 흰가루로 덮인 분상(粉狀)이다. 대 밑동으로 갈수록 명확하지 않은 흰가루로 덮여있기도 하다. 때때로 다발로 돋아 대 밑동이 서로 엉켜있기도 한다.
조직: 조직은 흰색이며 갓 부분은 얇은 편(2-3mm)이고 대 중앙이 비어 있기도 하다.
주름살: 대에 완전 붙음 형에서 약간 내리붙음 형이고(adnate to decurrent) 주름살 간격은 상당히 촘촘한(빽빽한) 편이다. 주름살 색깔은 회색이 섞인 흰색이다. 포자색도 흰색이다.
맛은 순하고 냄새는 밀가루 냄새가 난다.
식용여부: 많은 버섯도감에 식용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생리활성 질소 화합물(N-hydroxyurea)은 돌연변이 유발원이자 DNA 합성 억제제이기 때문에 독성이 의심된다고 한다.
발생: 가을에 낙엽이 많은 활엽수림 또는 혼효림 숲속 땅 위에 홀로 돋거나 다발로 무리지어 돋는 부생균이다. 흔히 교란된 땅 위에나 도로변에도 돋는다고 한다. 비교적 흔한 버섯이다.
참고: 종명 connatum이란 “함께 태어난”(born together)이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에서 유래하였고 이 버섯이 홀로 돋기보다 다발로 돋는다는 것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 |
역시 흰주름만가닥버섯의 주름살 모습. 주름살이 빽빽한 편이다. |
신선한 흰주름만가닥버섯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다양한 생체 활성 성분을 발견하였다. 즉 N-hydroxy-N‘,N‘-dimethylurea 성분과 N-hydroxyamino acid chromogen connatin 및 alkylazoxycarboxamide lyophillin 성분 등이다. 리오필린(lyophillin) 성분은 이전에 불특정 축합 효소로 말미암는 N-methylhydroxylamine와 함께 N-hydroxy-N‘N‘-dimethyurea의 산화적 축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
또 흰주름만가닥버섯 자실체로부터 여덟 가지 에르고스탄 형(ergostane-type) 스테롤이 분리되었다. 뿐만 아니라 신종 세라미드(novel ceramide) 성분도 분리할 수 있었다.
약리 특성 작용
1. 항산화 작용 및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Antioxidant activity/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흰주름만가닥버섯의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과 자유 라디칼 소거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후 연구에서는 에르고티오넨(ergothionene, ERT), N-hydroxy-N‘,N‘-dimethylurea, 코나틴(N-hydroxy-N‘,N‘-dimethylcitrullin) 및 새로운 신종 에르고티오넨 유도체인 β-hydroxyergothioneine(HERT)을 발견하였다. 그런데 특히 에르고티오넨(ERT)과 신종 에르고티오넨 유도체(HERT)는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을 가진 물에 녹는 비타민 E 유사체인 trolox와 거의 동등한 라디칼 소거 작용을 하고 있다고 한다.
2. 간 보호 효과(Hepatoprotective effects)
또 에르고티오넨(ERT)과 신종 에르고티오넨 유도체(HERT)는 모두 쥐의 1차 간세포 배양에서 사염화탄소로 말미암아 생긴 간 손상에 대하여 간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 |
역시 흰주름만가닥버섯 |
흰주름만가닥버섯의 메탄올 추출물은 쥐의 귀 부종 분석에서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로 말미암아 유도된 염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자료 및 도감
*https://healing-mushrooms.net/archives/lyophyllum-connatum.html
* Roger Phillips, Mushrooms of North America, Boston and New York: Little Brown and Co., 1991, p. 48 에 설명, p. 49에 사진. 이 분은 이 버섯이 유럽종이고 미국 콜로라도에서 처음 보게 되었다고 한다.
* 구재필, 김진국, 한국의 야생버섯 도감, 서울: 가람출판사, 2017, 75쪽
* 최호필, 버섯대도감, 서울: 아카데미북, 2015, 226쪽
* https://www.first-nature.com/fungi/lyophyllum-connatum.php 이 자료는 영국자료이다.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22.04.08 08:45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약용흰주름만가닥버섯#밀만가닥버섯#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간 보호#항염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