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농업현장 농업관련정보
기사수정 삭제
중국 황하강, 심각한 오염으로 몸살“황하강의 수자원 개발과 이용률은 70%로, 이것은 국제적 경고 수준인 40%를 훨씬 넘어서고 있다”고 신화통신사는 밝혔다.

www.jadam.kr 0000-00-00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길고 초기 중국의 문명 요람지인 황하강의 오염이 심각하며, 그래서 마실 수도, 수영을 할 수도 없게 됐다고 신화(Xinhua)통신사는 수요일에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4분의 3정도의 황하강이 오수, 산업폐기물, 비료, 그리고 다른 오염물질에 의해 심각하게 오염됐다. 황하강은 13억 중국인의 12%와 15%의 농장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정부통계보고서에 따르면 72.3%에 해당하는 황하강이 3급수로 떨어졌다고 음용수 국가수질기준자료를 참고하여 정부 기관은 말했다. 황하강이라는 이름은 강을 따라 흘러 내려오는 황색의 실트에 유래한다. 또한 황하강은 오래 전부터 “중국의 고뇌(China's sorrow)”로 불렸다. 왜냐하면 황화강의 갑작스러운 흐름 변화와 홍수로 오랫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기 때문이다.

1887년 황하강의 홍수로 백만 명의 사람이 죽었다. 이 홍수는 전 세계적으로 최악의 자연재해로 기록되어 있다.

중국은 현재 심각한 물위기에 직면해 있다. 중국의 3억 인구가 음용수를 바로 이용할 수 없고 정부는 황하강, 양쯔강과 같은 주요 강들을 깨끗이 하기 위해 많은 돈을 들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정부의 노력은 비협조적인 지역사회와 산업계로 인해 제한적인 성과만을 거두고 있다. 서로부터 동으로 흐르는 황하강의 오염으로 연간 115억 위안(14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다고 중국뉴스서비스센터의 화요일 보도내용을 인용하여 신화통신은 전했다. 중국은 황하강을 따라 20개 이상의 수력발전기를 건설했고 총 38개를 건설할 계획이다.

“황하강의 수자원 개발과 이용률은 70%로, 이것은 국제적 경고 수준인 40%를 훨씬 넘어서고 있다”고 신화통신사는 밝혔다.

이것은 중국 남북수자원연결사업과 연관되어 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남북수자원연결사업은 남쪽의 물을 북으로 끌어올려 북쪽의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려는 계획이다.

2050년 프로젝트가 끝나면 황하강, 양쯔강, 그리고 다른 강의 약 45억 입방의 물이 매년 북으로 보내질 것이다. 총 비용은 대략 5000억이 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Three Gorges Dam보다 두 배나 많은 비용이다. 국가환경보호기구는 지역사회와 산업계가 오염물질 감소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면 북쪽 지방의 사람들이 제대로 된 음용수를 공급받게 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등록날짜 2005/05/27 출 판 일 2005/05/26

정보출처 http://enn.com/today.html?id=7822 kisti.

운영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05.05.30 13:31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