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에서 '공짜 천적을 씁시다'라는 연재를 했던 바, 과수원, 노지작물 등에서는 목표하는 작물 이외의 다른과(예: 사과원-벼과식물)를 식재하여 진딧물이 잘 자라도록 육성하면 본종 진디혹파리 외에, 애꽃노린재, 무당벌레, 칠성무당벌레, 목화면충좀벌 등 각종 천적 들이 유인되어 본포의 주요해충의 밀도를 억제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망초 망초수염진딧물에도 많이 유인되는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 |
† 진디혹파리 성충 잎 뒷면 혹은 거미줄 등에서 휴식을 취한다. |
진디혹파리
파리목 혹파리과
О 학명 : Aphidoletes aphidimyza Rondani
О 영명 : aphid midge
О 크기 : 몸길이 유충 2~4mm, 성충 2.5mm 내외
О 분포 : 유럽, 아시아, 북미, 아프리카 등 전세계적 분포
О 대생해충 : 진딧물 60여종이상, 깍지벌레류, 온실가루이, 응애류 등
성충의 길이는 약 2.5mm이고 암컷의 날개길이는 2.5~3.5mm다. 다리는 길고 얇다. 수컷의 안테나는 길고 긴 털로 덮여 있으며 뒤로 구부러져 있다. 이에 반해 암컷은 짧고 얇다. 땅에서 높지 않고, 식물체 사이의 덮여진 공간에서 휴식을 취한다. 이들은 온실에서 5월에서 9월까지 서식한다. 포장에서 진디혹파리의 최초 출현시기는 5~6월에서 9월 말까지로 많은 작물에서 발견된다. 9월 말에 종령 유충은 토양 2cm 이내의 깊이로 들어가 번데기가 되고 다음해 5월에 다시 나타난다. 온실 내에서는 늦은 가을에 휴면을 시작하고 이른 봄에 휴면이 끝난다.
![]() |
진디혹파리 노숙유충 |
![]() |
진디혹파리 어린유충 |
![]() |
진디혹파리 알 |
![]() |
목화진딧물을 포식하는 진디혹파리 유충(오이) |
![]() |
망초수염진딧물을 포식하는 진디혹파리 유충(개망초) |
![]() |
찔레수염진딧물을 포식하는 진디혹파리 유충(장미) |
![]() |
붉나무소리진딧물을 포식하는 진디혹파리들† 늦가을 월동전 치열하게 먹이를 섭취하고 있다(붉나무) |
![]() |
진디혹파리에 의한 목화진딧물 사멸체† 외피만 남겨 놓고 체액을 모두 빨아 먹는다 |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6.07.01 00:40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천적곤충#진딧물#포식성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