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개미 화석에서 돋은 동충하초: 야생버섯의 신비(173)화석화한 개미에서 돋은 버섯은 새로운 기생균 속과 종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개미 화석에서 돋은 동충하초: 야생버섯의 신비(173)
 
화석화한 개미에서 돋은 버섯은 새로운 기생균 속과 종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사진1: 호박(琥珀) 안에 갇힌 개미에서 돋은 버섯 Photo Credit: Oregon State University
오리건주립대학교의 연구에서 개미에 기생하는 가장 오래된 버섯 표본임을 확인했고 이 화석은 또한 새로운 기생균 버섯의 속과 종이라는 것도 보여주었다.

호박(琥珀 amber) 안에 보존된 동식물 형태를 사용하여 먼 과거의 생물학과 생태에 대하여 연구하는 국제 전문가인 오리건주립대학교의 George Poinar 주니어 교수는 이 버섯이 왕개미(carpenter ant)에서 돋은 버섯이라고 한다.
 
호박(琥珀 amber) 안에 곤충이 들어 있다.Photo Credit: Bing.com/Images
여기서 참고로 말씀드리면 호박(琥珀)이란 신생대 제3기의 식물 수지가 땅속으로 흘러 들어가 수소, 산소, 탄소 등과 화합하여 화석화한 비결정질 유기 광물이다. 특히 개미와 거미 등 곤충이 들어있는 호박(琥珀)을 귀중하게 여긴다고 한다. 가장 유명한 호박 퇴적지들은 Baltic지역 내, 특히 Poland와 구소련의 해안을 따라 있다. 해저로부터 씻겨 나온 Baltic산의 succinite이라고 하는 호박은 멀리 영국, 노르웨이와 덴마크의 해안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한 버섯이 마당에서 흔히 돋는 버섯을 포함한 많은 균류의 생식 구조로 되어 있다. 그래서 Poinar와 공동 연구원은 그들이 발견한 이 버섯의 이름을 Allocordyceps baltica라고 명명하였다. 그들은 유럽 발트해 지역의 5천만 년 된 호박 속에 보존된 개미로부터 새로운 유형의 자낭균류를 발견했던 것이다.

오리건주립대학교 과학대학의 Poinar교수에 따르면 개미는 많은 흥미로운 기생균의 숙주이며, 그중 일부는 기생균의 발달과 확산에 도움이 되도록 곤충의 행동을 수정한다고 한다.
 
사진3: 왕개미(carpenter ant) Camponotus sp.Photo Credit: Bing.com carpenter ant-Images
Camponotus속 왕개미(carpenter ant)는 기생동충하초속(Ophiocordyceps) 동충하초 병원균에 특히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기생동충하초속(Ophiocordyceps) 동충하초 병원균 가운데 한 종(種)은 감염된 개미가 죽기 직전에 다양한 직립 식물 부분 속으로 파고들게 한다고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개미의 머리와 목에서 튀어나온 컵 모양의 자낭(버섯의 자실체)에서 포자가 방출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개미를 둔다는 것이다. 왕개미는 보통 나무, 썩어가는 통나무나 그루터기에 둥지를 틀고 살아간다.

이 새롭게 발견한 버섯은 기생동충하초속 (Ophiocordyceps) 버섯과 특정 기능을 공유하지만 이전에 보고되지 않은 여러 발달 단계를 나타내고 있어서 이름을 새로 붙이게 되었다. 새로운 속과 종의 이름을 붙이기 위해 Poinar와 동료 연구원 Yves-Marie Maltier는 기존의 동충하초속(Cordyceps) 앞에 “새로운”이라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 allodial 라는 말을 붙여 Allocordyceps baltica라고 명명하였다.

Poinar교수는 "우리는 개미의 직장(直腸)에서 발생한 포자를 내보내는 주황색 컵 모양의 자낭각들을 볼 수 있다"고 한다. Poinar교수는 이 Allocordyceps 버섯을 기존 기생동충하초속(Ophiocordyceps)에 포함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 종의 자낭은 일반적으로 직장이 아닌 개미의 목이나 머리에서 나오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진4: 인조 호박들. 보통 마고자 단추로 많이 사용한다.
이 신종 왕개미 기생동충하초는 개미에 기생하는 자낭균에 대한 최초의 화석 기록으로 앞으로 연구에서 개미와 기생동충하초균과의 관계 기원에 대한 참고 자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이들의 연구 결과는 Fungal Biology 에 게재되었다.

참고 자료:

Steve Lundeberg, Mushroom growing out of fossilized ant reveals new genus and species of fungal parasite, phys.org, news, JUNE 22, 2021
https://phys.org/news/2021-06-mushroom-fossilized-ant-reveals-genus.html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22.07.19 08:36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