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곤충 이야기
[곤충 이야기] 미국선녀벌레과수해충, 수목해충
꽃매미, 갈색날개매미충, 등검은말벌 등과 같이 외래해충으로서 국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종으로 본 종 또한 거의 모든 식물에 위해를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대전의 경우 대청호 주변 즉 수변지역에서 더욱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보아 습도 및 온도와의 연관성을 추론해 볼수 있다(갈색날개매미충의 경우 낮은산 계곡주변이 특히 대발생).
매해 일간지 및 뉴스에 오르내리는 종 중 하나이며 돌발해충 관리 목록에 속해 있기도 하고 그 피해 범위가 갈색날개매미충과 다를 바 없다고 판단된다.  경남지역 유기농 유자재배를 도전했다가 실패한 사례도 있는 것으로 보아 각별한 관심을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다.
 
미국선녀벌레 성충
미국선녀벌레
노린재목 선녀벌레과

О 학명 : Metcalfa pruinosa (Say)
О 크기 : 몸길이 성충 7~8.5mm, 약충 5mm내외
О 기주 : 유자, 귤, 감나무, 배나무, 아까시나무, 참나무류 등 많은 활엽수 및 초본류
О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동남아시아, 동유럽 등
 
미국선녀벌레 갓 우화한 성충
 
미국선녀벌레 종령약충
성충은 몸길이가 7~8.5mm로 회색을 띤다. 약충은 몸길이가 약 5mm로 몸 색깔은 유백색이지만, 하얀 솜과 같은 왁스물질로 덮여 있다.
연 1회 발생하며 가지에서 알로 월동한다. 3~4월 중순에 부화한 약충은 잎과 가지로 이동해 가해한다. 성충은 6~10월에 나타나고, 9월경부터 가지나 줄기의 갈라진 틈에 산란한다.
 
미국선녀벌레 어린약충
미국선녀벌레 산란흔 및 알(붉은 화살표)
† 사진제공 : 경남농업기술원 이흥수 박사
성충과 약충이 가지와 잎에서 집단으로 기생하며 수액을 빨아 먹어 나무를 말라 죽게 하고, 부생성 그을음병이 유발된다. 또한 왁스물질을 분비해 잎이 지저분하게 된다.
 
미국선녀벌레 피해(목본)
 
미국선녀벌레 피해(초본)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6.08.01 03:02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린재목#선녀벌레과#과수해충#수목해충#외래해충#돌발해충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1
  • 소가야 2017-03-26 08:07:30

    장기(12년) 자닮 후원자 경남 함안에서 단감(15,000평)을 경영하고 있는 이외원 입니다^^^
    지난해에 (미국 선녀벌레 ) 출몰로 상당한 피해를
    보았습니다^^
    생각 만큼 농약을 살포해도 잘방제가 되질않고
    금방 인근 주번에세 다시 침입을 합니다^^^
    효과 적인 방제 방법 조언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