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농업현장 유기농업
다수확을 위한 포도 전정방법가지 하나를 당해에 20미터까지 키워낼 수 있다.(고창 도덕현)

www.jadam.kr 2010-08-19 [ 조영상 ]
약한 열매가지에는 하나 강한가지에는 둘씩 포도를 달았다. 한 가지에 140개의 포도가 달리기도 한다.

시비양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가지를 유인하느냐가 중요하다. 열매를 덜 달고 옆 가지를 잘 따주면서 유인해주면 한해에 놀라울 정도로 가지가 뻗어나간다.

한 가지에 열매가지 7~8개
"다른 사람하고 차이점이 보시면 알겠지만 다른 사람들은 단초 전정을 한다고 나 같은 경우는 길게 잘라서 작년가지 눈 하나에서 가지를 받아내는 거예요. 가지를 길게 빼서 열매가지 7~8개를 달았어요. 열매가지 8개에 과일 16개를 달았죠. 한 가지에 일 년에 140개 달리는 것도 있어요."

www.jadam.kr 2010-08-19 [ 조영상 ]
옆가지를 두 개씩 두고 잘라줘야 전진하는 힘이 생긴다.

옆 가지 둘씩 두고 따주면 전진
"수확한 후에 좋은 열매가지 하나를 통째로 남겨서 거기서 열매는 받는 거예요. 충실한 열매가지 하나 선택하고 전부 잘라버리는 겁니다. 시비양이 중요한 게 아니고 맨 처음 접붙이다 올라오는 가지를 몇 개를 놔두느냐, 키우려고 맘먹으면 열매를 안 달고 쭉 앞으로 나갈 수 있게 관리를 해주면 이렇게 좋게 나가요. 앞으로 전진 할 수 있게끔 도와줘야 돼요. 옆가지를 두 개씩 놔두고 따줘요. 그래야 나무가 앞으로 가는 거예요. 경우에 따라서는 20미터까지 키워 봤어요.”

내년을 위해 올해 적당히
“이 가지는 세게 키운 이유가 올해도 포도를 따지만 내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세게 키우는 거예요. 전체적인 밸런스에서 이 나무에 포도를 적게 달아주는 거죠. 정부우세성에 의해서 앞에 가지가 세가 나가도록 만들어주는 겁니다.”

(내용중 일부 요약 : 이경희)

- 도덕현님 연락처 : 016-608-1057
- 동영상 촬영 날짜 : 2010.8.11.

- 동영상 보기 (8분)
일반화질
고화질
후원전용 (1회 무료시청 가능)

조영상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0.08.19 11:04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창#도덕현

icon관련키워드기사
  • 유기농업 26년 차의 위엄, 포도명인 도덕현의 복분자
  • 은행에 저축하지 말고 토양에 저축하라
  • 도덕현의 하우스 토양 만들기 비법
  • 도덕현의 하우스 토양 만드는 법
  • 대나무톱밥과 깻묵이 토양만들기의 핵심
  • 고창 복분자 농업을 다시 살리고 싶다
  • 하와이 농민 자닮 방문 1. 유기포도 도덕현
  • 하우스에 들어온 새를 잡는 꿀팁 하나!
  • 전지라는 것은 색시를 고르는것과 같다
  • 자닮오일 8리터 포도진딧물에 확실한 효과!
  • 갈반병? 환경을 제대로 만들면 병 안 생긴다
  • 포도 열과를 줄이는 비결
  • 주당 포도 3,500송이. 그 끝은 어디일까?
  • 도덕현, 유기포도의 신세계!
  • 3년차도 주당 500송이는 거뜬
  • 상처난 포도가 다시 아무는 기적
  • 주당 2500송이, 핵심비결4. 호르몬의 균형
  • 자닮유황 안 써도 잎사귀 깔끔
  • 주당 2500송이, 핵심비결3. 수분관리
  • 주당 2500송이, 핵심비결2. 잎사귀 크기
  • 주당 2500송이, 핵심비결1. 토양시비
  • 10세대 300년을 이어갈 포도재배
  • 2년차 200송이 착과 비결
  • 자닮오일 시판농약 혼용 효과 짱짱!
  • 관수 시 추가하는 액비들
  • 질소를 미량요소처럼 다뤄야 대박
  • 유기포도 한 나무 2,000송이 달성
  • 포도 고온기 극복 관리는
  • 포도 한 나무, 1400송이의 비밀
  • 열매만 보면 열매를 놓친다!
  • 하우스, 초고온시 물관리
  • 하우스간 연동화로 효율 극대화!
  • 갈반병, 흰가루병 조차 없는 이유
  • 50평에 포도나무 하나, 1,200송이 달려
  • 개화 전에 전복 칼슘으로 잎사귀 작게 강하게!
  • 백탄으로 민달팽이 막아 낸다!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