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곤충 이야기
[천적 이야기] 3. 총채벌레류 천적 오이이리응애총채벌레 천적응애

총채벌레류에 작용하여 안정적으로 발생밀도를 낮추어 줄 수 있는 포식성응애의 일종입니다. 대량사육이 용이하여 비교적 저가이며 대량 방사가 이루어지는 종입니다. 2000년대 초반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가 개발되기 전까지는 유럽애꽃노린재, 미끌애꽃노린재 등과 함께 총채벌레 생물적방제의 중요한 천적군 이었습니다.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오이이리응애 및 점박이응애 † 총채벌레류 뿐만 아니라 식식성 응애류도 포식함

오이이리응애

응애목 이리응애과

О학명 : Neoseiulus(Amblyseius) cucumeris (Oudemans)

О영명 : Predatory mite

О크기 : 몸길이 0.4mm 내외

О기주 : 오이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등 총채벌레류, 응애류 등 미소해충, 사육시먹이: Tyrophagus putrescentiae

О분포 : 전세계적 분포(도입천적)

포식성응애인 오이이리응애의 발육단계는 알, 유충, 전약충, 후약충, 성충 단계를 거치며, 알은 잎 뒷면의 주맥 또는 측맥에 털 있는 위에 산란한다. 25℃에서 알부터 성충까지는 6~9일이 걸린다. 하루에 약 2개씩 산란하여 약 20일간 40~50개를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루에 약 2~3마리정도를 포식하며 주로 어린 총채벌레의 유충(1, 2령) 또는 알을 포식한다.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오이이리응애 성충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오이이리응애 약충

온실내 주요 총채벌레류인 오이총채벌레나 꽃노랑총채벌레등을 대상으로 오이, 피망, 가지, 화훼류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총채벌레류가 발생하기 전이나 저밀도에서 작물의 잎에 뿌리거나 종이봉투에 넣어 작물에 걸어준다.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6.02.16 22:55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덕기#곤충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1
  • 다정한 2016-02-18 19:12:38

    <<<<오이이리응애 구입할수 있는곳을 알려주십시요>>>>
    <<<<오이이리응애 구입할수 있는곳을 알려주십시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