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도가 가장 좋아하는 것도 물이요 가장 싫어하는 것도 물이라며 물관리가 아주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유기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땅심을 살리는 것이 중요하고 그것 또한 좋은 물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하는데 노지 재배에서도 균과 충 걱정 없이 농사를 짓는 비법을 들어본다.
유기농사는 땅심을 살리는 것이 중요
“유기농사를 지어보니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이 땅심을 올려주는 것이라 생각하고 땅에 역점을 두고 했어요. 한방영양제 쓰고 숯을 여기에 15톤 정도 숯가루를 뿌려줬어요 계란 껍질 넣고 미강 넣고 퇴비는 소를 직접 길러서 만들어 써요. 숯가루를 뿌리는 게 힘들어서 퇴비를 만들 때 숯가루를 섞어 만드니까 훨씬 발효도 잘되고 좋데요. 거름은 우분에다가 왕겨 섞고 거기에 미강 10%, 숯 20% 넣고 띄워서 1년쯤 두면 냄새도 없고 아주 좋아요.
여기가 2천평 정도 되는데 1톤 차로 14~15개 정도 넣지요. 시기는 11월 달 쯤에 줘요. 봄철 3월부터는 뿌리가 움직일 수 있잖아요 그래서 겨울철에 완전 로타리를 쳐서 해놓으면 훨씬 효과적 이예요. 얇게 5센치 정도 흙하고 섞어질 정도로 쳐요 위에 뿌리는 것보다 흙하고 섞는것이 더 효과 적이예요.“
“관행이나 저농약 할 때는 퇴비도 사서 쓰고 비료도 했거든요. 그때는 우선 포도 맛을 보면 순수한 포도 맛이 안나는 것 같았어요. 당도도 별로 없고 그런데 지금은 당도도 18~19브릭스 나왔거든요. 캠벨에서 18~19브릭스 나오는 것이 드물잖아요. 그게 땅심이 좋아서 그런 것 같아요. 순이 포도 줄기가 안길어도 비료를 줄때는 너무 과잉성장이 되잖아요. 그렇지 않으면서도 무농약이나 유기농 하면서 포도 안익은 적은 없었거든요. 다른 곳보다 가지가 작아도 충분히 영양이 있기 때문에 10년 차인데 40~42송이까지 붙였거든요. 그런데 너무 많아서 조금 줄이려고 하고 있어요. 너무 많이 달리면 영양섭취가 부족해서 당도도 좀 적을 거고 익을 때 완숙 단계가 좀 늦겠죠. 그래서 좀 적게 붙이려고 해요 40송이 전후 했어도 별 지장은 없데요 그런데 앞으로 송이를 좋게 만들기 위해서 그렇게 해야겠어요.”
|
비를 피하고 좋은 물 관리로 균과 충 걱정은 없다
“비가림이어서 비가 안 맞잖아요. 그리고 균도 화학 비료에서 오는 거 같아요. 화학비료 쓰는 사람들이 훨씬 병도 많거든요. 화학비료 안 쓰고 화학 농약 안 쓰니까요. 그리고 10센치 정도는 항시 풀을 기르거든요 충 같은 것은 그쪽에서 다 처리가 되고 포도는 균이 좀 있지 충은 없어요. 저희는 수확 전에는 균이 별로 없어서 방제를 안 해요. 균 예방을 위해서 한건 별로 없어요. 그냥 점적 관수로 영양제라든가 액비를 여기에 넣어버리죠. 저는 봉지를 안 씌우거든요. 안 씌워도 깨끗하데요. 옆면시비를 안하니까 비를 안 맞히니까 균 피해 없고 저는 흰가루 한 번도 못 봤어요.
사람들이 고정관념을 못 버린 거 같아요. 일반사람들은 포도는 10~13번 농약을 해야 한다는데 왜 제가 무농약을 하게 됐냐하면요. 나한테 피해가 제일 많이 오는 거 같아요. 뿌리러 다니는 사람한테 그래서 남들 농약 할 때 안 해봤는데 괜찮데요. 다들 예방으로 한다고 하는데 잎이 필려고 하면하고 잎이 피면하고 열매가 만들어 지면 하고 예방차원으로 한다고 하는데 안 해도 지장이 없더라고요.
대신 물 관리 잘해주고 저는 물을 정수를 해서 줬어요. 세라믹이나 맥반석 숯을 통에 각 20키로 씩 넣고 물을 통과시켜서 관주를 하죠. 효과는 엄청나게 많이 있습니다. 수질이 좋기 때문에 일반 지하수는 3일만 지나고 이끼가 파랗게 끼는데 그물은 한 달을 둬도 이끼가 안낍니다. 나무가 병이 없는 게 물이 좋아서 그런 거 아니예요 토심을 살리는데 퇴비도 퇴비지만 물이 나쁘면 흙을 살릴 수가 없잖아요.
저는 물을 3일 간격으로 한 시간씩 주고 6월말부터는 매일 30분씩 주죠. 300평에 액비는 20리터 정도 관주할 때 같이 줘요. 열과는 수분 부족 현상인데 평상시에 물을 안주다 보면 물을 한꺼번에 많이 먹게 되서 탈이 생기는데 평상시에 물을 충분히 먹으면 비가 많이 와서 물을 별로 안 먹게 되잖아요. 수확 후에도 물은 일주일에 한번 씩 10월 중순까지는 줘요. 그리고 봄에 신초가 나오기 전에 물을 주기 시작하죠. 저는 수확 후 관리가 제일 중요한 거 같아요. 수확 후에도 액비하고 물을 주는 거죠.
(동영상 내용중 일부 요약 : 이경희)
< 동영상 보기 >(28분)
일반화질
|
고화질
|
후원전용 (1회 무료시청 가능)
|
<동영상 보기 >(26분)
일반화질
|
고화질
|
후원전용 (1회 무료시청 가능)
|
조영상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09.04.02 22:17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일주#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