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농업현장 농업관련정보
기사수정 삭제
스트레스로부터 작물보호할 수 있는 메커니즘 발견

www.jadam.kr 2012-10-09

솔크 생물학연구소(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학자들은 식물이 에틸렌 가스(ethylene gas)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유전적 스위치를 발견하였다. 에틸렌 가스는 과일을 익게 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천연의 식물 호르몬이지만, 이는 또 스트레스 하에서 식물을 시들게 하고, 식물을 조기에 노화시키며, 지나친 숙성으로 못쓰게도 할 수 있다. 식물이 에틸렌 위치를 켜고 끄는 것을 조작하여 가뭄 저항성과 생장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게 하여, 가뭄으로 인한 작물의 소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열쇠가 Science magazine에 8월 30일 실린 이번 발견에 있을 수 있다.

범람, 건조, 냉해, 상처 또는 병원균 공격과 같은 서로 다른 스트레스 하에서, 에틸렌은 식물에게 불리한 변화에 대해 적응(adjustments)하라는 신호를 한다고 이번 본문의 선임 저자인 엑커(Joseph Ecker) 교수는 말한다. 이번 연구에서 식물이 에틸렌 가스 냄새를 맡는 방법에 있어 핵심 단계가 발견되었고, 이는 작물에서 이러한 과정을 조절하는 더 나은 방법의 발견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한다.

식물은 에틸렌 가스를 감지하거나 냄새를 맡고, 이로써 식물에서 일련의 이벤트가 촉발된다. 세포에서 에틸렌 센서는 핵으로 시그널을 보내고, 핵은 유전적 프로그램을 개시하여 식물이 직면한 상황에 따라 변화를 일으키게 한다. 엑커 교수 팀은 에틸렌 신호화(ethylene signaling) 경로에 있어 단백질 EIN2(ethylene insensitive 2)를 비롯하여 다수의 핵심 조절자들의 기능을 밝혀냈다.

단백질 EIN2는 세포의 내막계(endoplasmic reticulum)에 위치하는데, 이는 세포 내부에서 단백질의 수송을 촉진하고 에틸렌 신호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단백질 EIN2는 수수께끼로 남아있었다. 그런데, 다수의 복잡한 검정을 통해서 한 가지 메커니즘이 밝혀졌는데, 이는 에틸렌 반응 활성화를 위해서 내막계에서 EIN2 단백질의 프로세싱과 신호화 분자들이 핵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메커니즘이다.

이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불리한 상황에서 식물의 생존을 돕는 새로운 방법의 발견으로 이어질 수 있다. 스트레스는 식물에 불리한 다양한 반응을 일으키는데, 여기에는 잎이 시들고 마르는 것, 잎의 미성숙 노화, 광합성 효율 저하, 엽록소 소실, 수분(pollination) 불량, 꽃, 과일 그리고 종자의 소실 등이 속한다.

25년 만에 가장 심각한 이번 가뭄은 미국 전역에 걸쳐 작물에 충격을 주고 있고, 이는 농부의 수익을 앗아가고, 식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식물 연구자들은 작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트레스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는 가뭄과 지나친 고온과 같이 기후가 전세계적인 이슈가 됨에 따라 점점 더 다급해지고 있다. 어떤 스트레스 인자(stressors)에 대한 작물의 감수성(susceptibility)을 차단시켜 가뭄 동안 수확량을 높이고, 더 건조한 기후에서도 유익한 작물이 자랄 수 있게 하여 늘어나는 세계 인구에게 먹을 것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농부들이 그들의 식물에 에틸렌 저해제를 뿌리는 선택을 할 수 있다고 박사 후 연구원이자 이번 논문의 제일 저자인 홍(Hong Qiao) 박사는 말한다. 이 저해제는 식물의 에틸렌 수용체가 에틸렌을 감지하지 못하게 차단하고, 이는 생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에틸렌 반응 경로가 없으면, 토마토가 익지 않을 것이다. 에틸렌이 너무 많으면 토마토가 지나치게 익는다. 그러므로, 식물이 에틸렌 가스에 반응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작물에서 그러한 프로세스를 조절하는 더 좋은 방법의 발견으로 이어질 수 있다.

키워드 : 스트레스, 에틸렌 신호화, 핵심조절자

출처: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원문: http://www.eurekalert.org/pub_releases/2012-08/si-dmh083012.php

연도: 2012-09-01

제공:kisti,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2.10.09 13:39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isti

icon관련키워드기사
  • 폭 93cm의 소수력 발전기
  • 풍력터빈이 야생동물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
  • 소멸 위기에 있는 열대빙하의 독특한 생태계
  • 환경에 대한 탄소의 영향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자료 분석
  • 세계 및 일본의 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 예상(2014)
  • 염의 삭감 : 고속도로 눈과 얼음을 제어하는 녹색 방안
  • 기후 변화 완화 정책에서 조림의 역할에 대한 재평가
  • 태양 자외선에 의한 건강을 위한 비타민D 생성과 피부에의 유해성 평가
  • 중국 농무부의 정책 변화: GM 쌀 및 옥수수에 대한 연구 불허(不許)
  • 전세계 식량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국의 식물 다양성
  • 모든 미래 수요량을 충족할 수 없는 전세계 식량 무역 규모
  • 유전자조작기술보다 앞서는 전통적 품종개량기술
  • 옥수수 반점: 방어 반응의 주요 유전자 확인
  • 식물의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는 온도 반응형 전사인자
  • 남조류의 효소를 이용하여 식물의 광합성 능력을 증강시킨다
  • 벼 스티그마 단백질 인산화 수정 연구
  • 물고기 이야기: 양식 물고기의 항생제 잔류를 평가한 새로운 연구
  • 식물의 뿌리에서 질소영양 섭취 효율을 제어하는 호르몬 발견
  • 중국, 농업생태계 온실기체 배출규칙 제시
  • 생물에너지를 얻기 위해서 하수구 진흙 이용하기
  • 티베트인들이 3400미터 고도에 오르게 된 이유: 보리
  • 나방에 대한 자연적 저항성 유전자
  • 대사 지연, 비만 및 당뇨와 관련이 있는 살충제 DDT
  • 농장 바이오가스 생산과 관련한 환경적 상충관계 연구
  • 태평양 무역풍을 강화시키는 대서양 온난화
  • 전 세계 해양의 수은 농도 분석
  • 유정에 존재하는 물로 이루어진 미생물의 세계
  • 2020년대에는 연료전지가 자동차에서 사무실까지 보급 확대
  • 메콩강의 수산 유용 어종의 회유 생태 연구
  • 지구 규모의 경제 리스크로서의 기후변동문제
  • 폐열을 전기로 전환하는 열전 장치
  • 와인잔을 오염시키는 프탈레이트 화합물
  • 빈번한 기후 극한을 유발하는 로스비파
  • 후쿠시마 방사성 물질의 리스크 관리 연구
  • 아프리카 조리기구에서 녹아 나오는 납에 오염되는 음식물
  • 교토의 전통가옥을 스마트화
  • 꽃 형성에 있어 식물 호르몬의 이중적 역할
  • 삼림의 탄소 흡수능을 저해시키는 덩굴식물
  • 거미독 기반 살충제
  • 이산화탄소 증가, 식품의 영양소를 저감시키다
  • 비용을 절감케 하는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농업기계의 사용
  • 콩 유전자로부터 밝혀진 질소 고정 원리
  • 달콤하지만 치명적인 초파리 살충제
  • 비료보다 중요한 벌의 역할
  • EU 각료이사회, 회원국들에게 GM 농산물 재배 거부권 부여
  • 탄수화물이 많을수록 가뭄에 내성을 가지는 나무
  • 조류를 위협하는 살충제 사용 증가
  • 식량 낭비만 줄여도 30억 명의 인구를 더 먹여살릴 수 있다
  • 잡종벼의 성능예측 통계모델
  • 실내 태닝에 의한 피부암 위험 증가
  • 저렴하고 환경 친화적인 담수화
  • 남아메리카에서 측정된 기록적인 수준의 태양 자외선
  • 도시 열섬 효과의 정량화
  • 지구 온난화에 따른 대기 질 악화 : 대기 침체
  • 농약과 자폐증의 연관성
  • 전 지구적으로 균일하지 못한 기후 온난화 현상
  • 환경호르몬 BPA, 유방암 종양 성장과 관련있어
  • 파쇄 폐수에서 방사능을 과소평가하는 분석 테스트
  •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지구 온난화
  • 자폐증, 환경적인 요인과 관련 있어
  • 수막염 발생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후 조건
  • 체르노빌의 생태계 근간에 미치는 방사능의 영향
  • 해양 플랑크톤이 생태계와 기후에 미치는 영향
  • 기후 변화가 심층 해류 순환에 미치는 영향
  • 석탄화력발전소 감소, 아동의 건강을 증진시키다
  • 브라질, 최초의 지역적인 해양 건강 지수 생성
  • 강 얼음을 통한 북극의 빠른 해빙 현상의 이해
  • 굴 양식을 통한 강 어귀 수질의 향상
  • 오염물질 수준을 낮추는 침전물에 존재하는 철을 함유한 광물
  • 친환경폴리에스터(polyester)의 원료가 되는 황벽나무(cork tree)
  • 지구 온난화에 대한 소설 및 영화,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능력 키워줘
  • 그래핀 산화물 나노입자의 환경적인 영향
  • 해저에서 해양 쓰레기가 미치는 악영향
  • 대기 중 이산화탄소 수치의 증가, 작물의 영양성분을 감소시켜
  • 그린란드의 해빙, 지구 온난화와 자연적 변동 모두 다 원인
  • 인간의 대변: 약물(drug)로 볼 것인가, 조직(tissue)으로 볼 것인가?
  • 사회적 기억에 필수적인 뇌 영역
  • 힘을 얻은 뇌지도 작성프로젝트
  • 스트레스를 받는 뇌세포는 알츠하이머로부터 보호작용을 한다
  • 뇌종양 치료를 위한 새로운 항체
  • 1조 개의 다른 냄새를 맡을 수 있는 인간의 코
  • 새로운 비만치료법: 물질대사의 가속화
  • 동물과 식물 간의 장벽을 뛰어넘은 세균: 포도나무와 공생하는 여드름 세균
  • 벼의 종자발아 인산화 단백질체 연구에서 얻은 성과
  • 집약적 커피 재배의 확산, 환경에 악영향 미칠 수 있어
  • 꽃 형성에 있어 식물 호르몬의 이중적 역할
  • 입자성 대기 오염 물질이 삼림의 황폐에 미치는 영향
  • 종자와 동물의 상대 풍부성이 산림 종자 존재와 확산에 미치는 영향
  • 옥수수 수확량 예측모델
  • 새로운 게놈 비교 방법을 통한 관련 유전자 개량
  • 노균병의 손쉬운 진단 방법
  • 기후 정보를 통한 농작물 작황 실패 여부 예측이 가능해
  • 중금속 잔류량을 빠르게 검사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
  • 사막에 나무를 심는 것이 기후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을까?
  • 언 브로콜리가 지닌 항암효과
  • 중국, 잣나무와 신갈나무 유묘의 빛 제어와 공존 메커니즘
  • 밀의 수확 전 발아를 막는 유전자 발견
  • 지구온난화와 병충해의 확산
  • 지구 온난화를 막는 식물
  • 홍수가 아닌 한랭 지대 초기 곡물의 질소 고정원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