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버섯 이야기
약용버섯 이야기(9): 꾀꼬리버섯

 

www.jadam.kr 2012-08-25 [ 최종수 ]
꾀꼬리버섯

 

꾀꼬리버섯 속에 속한 버섯들이 여럿 되는데 그 가운데 대표 버섯인 꾀꼬리버섯(Cantharellus cibarius Fr.)외에도 애기꾀꼬리버섯(C. minor Peck), 붉은꾀꼬리버섯(C. cinnabarinus[Schw.] Schw.이 있고, 속(屬)이 변경되어 이름을 바꾼 뿔나팔버섯 속 버섯 가운데 전에 깔때기꾀꼬리버섯이라고 부르던 깔때기뿔나팔버섯(Craterellus tubaeformis[Fr.]Quel. 이라는 버섯들이 있다.

 

 

www.jadam.kr 2012-08-25 [ 최종수 ]
2012년 여름은 꾀꼬리버섯 풍년이었다.

 

2012년 7월, 8월에는 이 글을 쓰는 사람이 사는 지역에 꾀꼬리버섯이 대풍이었다. 가는 곳마다 참 많이 돋아 2004년 여름 이후 처음으로 산에 갈 때마다 한 소쿠리씩 채취해 오게 되었다. 마침 한국에서 손자 손녀 셋이 방문 와 있던 터라 함께 산행하게 되었는데 꾀꼬리버섯 밭에서 아이들이 소리를 질러가며 따오는 버섯들을 종이봉지에 담기 바빴다. 꾀꼬리버섯에 양파를 썰어 넣고 달걀을 풀어 꾀꼬리버섯 오믈렛을 둘둘 말아 접시에 담아주면 도마도 케첩을 듬뿍 발라 맛있다고 탄성을 지른다. 살구 향 비슷한 꾀꼬리버섯의 독특한 향이 달걀과 양파와 어우러져 그 맛이 일품이다. 꾀꼬리버섯 전은 밥반찬으로도 좋아 산행 점심 도시락 반찬으로 오이지 무침 한 가지만 더 곁들이면 그만이다. 산에서 만난 미국인들에게 요리법을 물으면 그저 버터에 볶아 먹는다고 한다. 조직(살)이 특이하여 질기지 않고 식감도 좋다.

 

 

www.jadam.kr 2012-08-25 [ 최종수 ]
손자들이 채취한 꾀꼬리버섯

 

종명 cibarius란 “식용하기에 좋은”(good to eat)이란 뜻이고 속명(屬名) Cantharellus는 그리스말 kantharos에서 온 말로 “꽃병”(vase)을 뜻하는데 꾀꼬리버섯의 생김새를 가리키는 말이다. 꾀꼬리버섯이라는 한국어 이름은 이 버섯의 색깔이 꾀꼬리처럼 노란색이기 때문에 붙인 이름으로 그 색감과 아름다운 새소리의 명랑함을 더하여 더욱 정감이 가는 이름이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활엽수와 침엽수가 섞여 있는 혼합림 땅위에, 특히 참나무가 많은 땅위에 노랗게 무리지어 돋는 균근균으로 꾀꼬리버섯은 정말 버섯 세계의 풍요와 행복을 상징한다. 해마다 같은 장소에서 돋기 때문에 군락지를 익혀두고 찾아가면 어김없이 발견할 수 있다. 서양에서는 한국의 송이나 능이만큼 사랑을 받아 고급 요리에 사용되는 버섯으로 프랑스에서는 일인당 채취 제한 양이 500g이고 차량 한 대당 1kg이라고 한다. 미국 서부 워싱턴 주에서도 채취 제한이 있다고 한다. 미국 서부 오리건 주에서는 1999년에 꾀꼬리버섯을 공식적인 주 버섯(official state mushroom)으로 선포하였다.

 

 

www.jadam.kr 2012-08-25 [ 최종수 ]
애기꾀꼬리버섯. 그 크기가 작아서 붙인 예쁜 이름이다.

 

꾀꼬리버섯의 화학성분

 

필수 아미노산 8종, 유리 아미노산 19종, 21%의 단백질, 비타민 A와 C 그리고 D2, 씨바릭산(cibaric acid), 지방산 10종, 포타시움, 철분, 구연산, 사과산, 자외선을 쬐면 비타민 D2로 변하는 에고스테롤, 유리당 3종, 휘발성 향기성분 6종외에도 향기성분 benzaldehyde 등이 들어 있다. 특히 꾀꼬리버섯에는 상당량의 에고스테롤,즉 비타민 D2가 들어 있어 인체 내 칼슘 운반을 조절해 준다.

 

이 비타민 D2는 포유동물인 조류, 어류 체내에서 칼슘 축적의 원인이 되는 쥐약 성분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비타민 D2가 많이 들어 있다는 것은 민달팽이나 달팽이 또는 곤충이 왜 꾀꼬리버섯을 먹지 않는지 그 이유를 설명해 주고 있다. 그러고 보니 꾀꼬리버섯을 채취할 때 보면 민달팽이가 먹은 흔적이 없다. 또 휘발성 향기성분 1-octene-3-ol은 송이에도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민달팽이를 쫓는 충기피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같은 성분이 꾀꼬리버섯에도 함유되어 있다.

 

 

www.jadam.kr 2012-08-25 [ 최종수 ]
붉은꾀꼬리버섯. 그 색깔이 빨갛지만 식용버섯이다.

 

전통의학적 사용

 

중국 전통의학에서 꾀꼬리버섯은 야맹증과 눈의 염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처방되었다. 또 호흡기 계통 질환의 여러 감염증에 대한 저항력과 점막 강장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도 처방되었다. 1940년 옛 쏘련에 병합되었다가 1991년에 독립한 라트비아(Latvia) 공화국에서는 말린 꾀꼬리버섯이나 생 버섯으로 만든 팅크제(tincture)는 편도선염, 부스럼, 종기 치료뿐만 아니라 결핵균 증식을 지연시키고 몸의 방사능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고 한다. 또 꾀꼬리버섯을 많이 먹으면 몸속에 있는 기생충도 제거해 준다고 믿고 있다.

 

 

www.jadam.kr 2012-08-25 [ 최종수 ]
깔때기뿔나팔버섯(=깔때기꾀꼬리버섯)

 

현대의학적 사용

 

애기꾀꼬리버섯도 꾀꼬리버섯의 효능과 비슷하여 눈을 맑게 해주고 간과 위장의 건강을 위하여 유익한 것으로 믿는다. 또한 비타민 A가 부족하여 생기는 질병들 가운데 피부건조증, 각막연화증, 야맹증, 안구건조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도 사용하였다(이상 Rogers, p.86, 박완희, 568쪽, Hobbs,177).

 

아프리카 탄자니아에서는 영지, 운지(구름버섯)와 함께 꾀꼬리버섯뿐만 아니라 치마버섯, 상황, 말굽버섯을 혼합한 것을 gacoca라고 부른데 HIV, 특발성 다발성 출혈성 육종인 카포지 육종 치료와 다른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고 한다. 한국의 김정아 등은 2008년 꾀꼬리버섯 안에 들어 있는 에고스테롤, 에고스테롤 페록사이드, 세레비스테롤 등이 들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이들은 NFKappaB 활성 억제에 효능이 있는 성분도 발견하였다. Robbins 등은 꾀꼬리버섯 자실체 추출물에 항균성분이 들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www.jadam.kr 2012-08-25 [ 최종수 ]
할로윈호박색화경버섯(한국미기록종, 임시이름) Jack-O-Lantern

 

붉은꾀꼬리버섯에 포함된 색소의 일종인 canthaxanthia는 살갗을 햇볕에 알맞게 그을리어서 고운색깔을 만드는 물질(suntanning agent) 만들 때 화장품 색소 첨가제로 사용한다고 한다. 이 색소는 여러 종류의 바다 갑각류 안에 들어 있고 또 분홍색(핑크색)을 가진 홍학(flamingo)의 아름다운 색을 내는 것으로 믿고 있다(이상 Rogers, 86-87, 박완희 566, 568, Hobbs, 177).

 

 

www.jadam.kr 2012-08-25 [ 최종수 ]
Jack-O-Lantern의 주름살 모습

 

미국의 경우 한 가지 깊이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다. 꾀꼬리버섯이 돋는 철에 할로윈 호박색을 가진 화경버섯 속 버섯 가운데 밤이면 주름부분에서 야광을 내는 Jack-O-Lantern이라는 독버섯과 꾀꼬리버섯을 혼동하기 쉽다는 사실이다. 색깔도 비슷하고 주름살도 내리붙은 형이라 초보자들은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꾀꼬리버섯의 주름살은 날카롭지 않고 매우 무디지만 이 독버섯은 날카롭다. 또 꾀고리버섯은 땅위에 여기저기 단생 또는 두 서너 송이씩 산생하지만 이 독버섯은 죽은 활엽수, 그 가운데서도 특히 참나무 그루터기 주변에 다발로 많이 돋는다. 치명적인 독버섯은 아니더라도 잘못 먹으면 병원에 입원해야 할 정도로 위장장애가 심하다 @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2.08.25 19:58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종수#버섯

icon관련키워드기사
  • 19금(禁) 버섯 이야기
  • 톨스토이와 프로이드의 그물버섯
  • 버섯으로 지구 다시 살리기(Mycorestoration)
  • 버섯 발견의 기쁨, 그리고 그 유혹
  • 버섯의 치유력
  • 버섯의 다양한 용도(用途)
  • "버섯: 그 천(千)의 얼굴"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둘째
  • 긴급 버섯 정보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셋째
  • 화경버섯에서 암 치료약이?
  • 곰보버섯 뒷 이야기
  • 버섯과 지속가능성
  • 버섯의 맛과 냄새에 대하여
  • 개와 독버섯 중독 이야기
  • 송이(松栮) 맛의 화학성분과 그 비밀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첫째
  • 내 고장 버섯들을 알고 계신지요?
  • 집에서도 버섯을 재배할 수 있나요?
  • 지구온난화와 버섯
  • 버섯의 영양가는 어떠한가요?
  • 사람이 버섯을 채취하면 버섯에 해가 되나요?
  • 어떤 버섯이 식용하기에 좋은 것인가요?
  • 채취한 버섯 다루는 방법
  • 광대버섯의 모습
  • 피해야 할 버섯들
  • 언제 어디서 버섯을 만날 수 있을까요?
  • 버섯에 대한 속설 벗겨내기
  • 버섯 채취하러 함께 가실까요?
  • 버섯의 신비에 접하고 나서
  • 버섯이 그린 미술작품들-그 둘째
  • 버섯이 그린 미술작품들-그 첫째
  • 버섯과 문화
  • 경고: 야생버섯 중독!
  • 버섯의 독(毒)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넷째
  • 버섯의 인내와 저 풍요로움
  • 나무의 친구들: 상생의 아름다움
  • "만일 세상에 버섯이 없었더라면"
  • 버섯의 경이로움
  • 버섯이 보여주는 천 가지 얼굴-그 다섯째
  • 버섯과 함께 농사짓기
  • 연지버섯의 예쁘고 귀여운 모습
  • 목이(木耳)와 반유태주의(Anti-Semitism)
  • 사막에서도 버섯이 돋는다
  • 곰보버섯과 더불어 새 봄이
  • 당신은 과연 버섯광(狂)인지요?
  • 약용버섯 이야기(88): 사마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6): 차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4): 아까시흰구멍버섯(아까시재목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3): 꽃구름버섯 속(屬)
  • 새해를 맞이하며 잔 높이 받쳐 들고
  • 약용버섯 이야기(82): 아까시진흙버섯(임시명)
  • 약용버섯 이야기(81): 마른진흙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9): 개떡버섯(젖색개떡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8): 독청버섯아재비
  • 약용버섯 이야기(77): 배젖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6): 약용버섯에 대한 근거 없는 신화들(2)
  • 약용버섯 이야기(75): 약용버섯에 대한 근거 없는 신화들
  • 약용버섯 이야기(74): 털고무버섯속 Galiella rufa
  • 약용버섯 이야기(73): 기계충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2): 조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1): 노란귀느타리
  • 약용버섯 이야기(70): 테옷솔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69): 혓바늘목이
  • 약용버섯 이야기(68): 구름송편버섯(雲芝)
  • 약용버섯 이야기(64): 민긴뿌리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63): 콩꼬투리버섯속
  • 약용버섯 이야기(62): 좀나무싸리버섯
  • 부싯깃으로 사용하는 버섯 이야기
  • 약용버섯 이야기(58): 턱수염버섯과 개능이
  • 약용버섯 이야기(57): 주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6): 해면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5): 졸각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4): 황분균
  • 약용버섯 이야기(52): 유산된외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1): 좀밀양산버섯과 갈색쥐눈물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0): 두엄흙물버섯(두엄먹물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9): 방망이싸리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8): 뿔나팔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7): 기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6): 구멍장이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5): 도장버섯, 미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4): 주름찻잔버섯
  • 미국 야생버섯 중독사례에서 배우는 교훈들
  • 약용버섯 이야기(43): 한입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2): 느티만가닥버섯
  • 자갈버섯류는 범죄 과학수사를 위한 법균류학의 선구자?
  • 균환(菌環)과 버섯에 대한 미신(迷信)
  • 약용버섯 이야기(41): 검은잔버섯
  • 자작나무버섯의 식용여부에 대하여
  • 2014년 갑오년을 맞으면서
  • 약용버섯 이야기(40): 콩버섯
  • 피칸 과수원의 숨은 보물: 송로버섯(Truffles)
  • 약용버섯 이야기(39): 갓버섯류
  • 세발버섯의 성장 관찰
  • 약용버섯 이야기(38): 잿빛만가닥버섯
  • 엄청나게 많이 돋는 붉은말뚝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37): 송이(松栮)
  • 2012년 북미 신종 버섯 이야기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