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버섯 이야기
설마, 치마버섯이???야생버섯의 신비(134)

 

www.jadam.kr 2013-08-31 [ 최종수 ]
치마버섯 Schizophyllum commune Fries

 

치마버섯 Schizophyllum commune Fries

 

허지만 “‘설마’가 사람 잡는다” 하지 않던가 50세 여성 한 분이 코가 막히고 기침이 나며 머리가 아프고 재채기가 심하다 하면서 병원을 찾아왔다. 의사는 종합 검사를 실시하였다. 엑스레이 단층촬영 결과 비강 내벽, 턱뼈, 위턱뼈굴(上顎洞)이 심하게 짓물러 있었다. 즉시 기능적 내시경적 부비동(副鼻洞) 수술을 시행하였고 오른 쪽 위턱뼈굴에서 균류 잔해인 흰털 같은 곰팡이를 채취하여 검사실로 보냈다. 균류 잔해를 배양한지 8주 뒤에 현미경 상으로 부채꼴 자실체(버섯)을 볼 수 있었다. 문제를 일으킨 장본인은 바로 치마버섯 Schizophyllum commune으로 밝혀진 것이다! 숲속 고사목 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목재 부후균인 치마버섯이 사람의 몸에 감염을 일으키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지만 놀랍게도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고 또 그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www.jadam.kr 2013-08-31 [ 최종수 ]
치마버섯의 주름살 모습

 

치마버섯의 주름살 모습

 

치마버섯의 포자는 바람이 실어 나르기 때문에 이를 흡입한 동물이나 사람의 부비강(副鼻腔) 언저리에 감염을 일으킨다. 그래서 가장 흔하게 괴롭히는 질병은 알레르기로 보통 국부적 감염이지만 드물게는 침투성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동물 실험에 따르면 치마버섯은 비교적 낮은 발병력을 가진 균류로 꾸준히 진행되는 저급 감염을 일으키고, 아주 어린 동물에게 치명적일 수도 있다. 감염 진행의 정도는 동물의 나이, 감염 부위의 크기, 면역 억제제 사용 여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www.jadam.kr 2013-08-31 [ 최종수 ]
치마버섯 여러 송이

 

치마버섯으로 말미암는 감염 사례는 알레르기성 기관지 폐의 질환, 폐 안의 진균덩이(眞菌球), 경구개(硬口蓋)의 궤양성 병변, 그리고 손톱 감염 등이다. 이례적인 수막염을 앓고 있던 환자의 뇌척수액으로부터 치마버섯을 분리해냈다는 보고도 있다. 특히 면역 능력이 있는 환자의 진균성 부비강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 같다. 진균성 부비강염을 일으키는 원인은 주로 아스페르길루수(누룩곰팡이)였으나 최근 치마버섯 또한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받기 시작하였다. 어쩌면 치마버섯이 그 원인이었다고 잘못 진단하였거나 반대로 이 버섯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그냥 지나친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면역 능력이 있는 사람들은 물론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서도 치마버섯으로 말미암는 감염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특히 면역력을 상실한 사람들에게 치마버섯은 뇌농양처럼 치명적인 침습성 감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

 

 

www.jadam.kr 2013-08-31 [ 최종수 ]
역시 치마버섯의 주름살 모습

 

참고문헌:

 

Editor's Picks, "Ewww!" Fungi, Vol. 5:5, Winter 1012, pp. 18f.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3.08.31 19:29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종수#버섯

icon관련키워드기사
  • 19금(禁) 버섯 이야기
  • 톨스토이와 프로이드의 그물버섯
  • 버섯으로 지구 다시 살리기(Mycorestoration)
  • 버섯 발견의 기쁨, 그리고 그 유혹
  • 버섯의 치유력
  • 버섯의 다양한 용도(用途)
  • "버섯: 그 천(千)의 얼굴"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둘째
  • 긴급 버섯 정보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셋째
  • 화경버섯에서 암 치료약이?
  • 곰보버섯 뒷 이야기
  • 버섯과 지속가능성
  • 버섯의 맛과 냄새에 대하여
  • 개와 독버섯 중독 이야기
  • 송이(松栮) 맛의 화학성분과 그 비밀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첫째
  • 내 고장 버섯들을 알고 계신지요?
  • 집에서도 버섯을 재배할 수 있나요?
  • 지구온난화와 버섯
  • 버섯의 영양가는 어떠한가요?
  • 사람이 버섯을 채취하면 버섯에 해가 되나요?
  • 어떤 버섯이 식용하기에 좋은 것인가요?
  • 채취한 버섯 다루는 방법
  • 광대버섯의 모습
  • 피해야 할 버섯들
  • 언제 어디서 버섯을 만날 수 있을까요?
  • 버섯에 대한 속설 벗겨내기
  • 버섯 채취하러 함께 가실까요?
  • 버섯의 신비에 접하고 나서
  • 버섯이 그린 미술작품들-그 둘째
  • 버섯이 그린 미술작품들-그 첫째
  • 버섯과 문화
  • 경고: 야생버섯 중독!
  • 버섯의 독(毒)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넷째
  • 버섯의 인내와 저 풍요로움
  • 나무의 친구들: 상생의 아름다움
  • "만일 세상에 버섯이 없었더라면"
  • 버섯의 경이로움
  • 버섯이 보여주는 천 가지 얼굴-그 다섯째
  • 버섯과 함께 농사짓기
  • 연지버섯의 예쁘고 귀여운 모습
  • 목이(木耳)와 반유태주의(Anti-Semitism)
  • 사막에서도 버섯이 돋는다
  • 곰보버섯과 더불어 새 봄이
  • 당신은 과연 버섯광(狂)인지요?
  • 약용버섯 이야기(88): 사마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6): 차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4): 아까시흰구멍버섯(아까시재목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3): 꽃구름버섯 속(屬)
  • 새해를 맞이하며 잔 높이 받쳐 들고
  • 약용버섯 이야기(82): 아까시진흙버섯(임시명)
  • 약용버섯 이야기(81): 마른진흙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9): 개떡버섯(젖색개떡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8): 독청버섯아재비
  • 약용버섯 이야기(77): 배젖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6): 약용버섯에 대한 근거 없는 신화들(2)
  • 약용버섯 이야기(75): 약용버섯에 대한 근거 없는 신화들
  • 약용버섯 이야기(74): 털고무버섯속 Galiella rufa
  • 약용버섯 이야기(73): 기계충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2): 조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1): 노란귀느타리
  • 약용버섯 이야기(70): 테옷솔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69): 혓바늘목이
  • 약용버섯 이야기(68): 구름송편버섯(雲芝)
  • 약용버섯 이야기(64): 민긴뿌리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63): 콩꼬투리버섯속
  • 약용버섯 이야기(62): 좀나무싸리버섯
  • 부싯깃으로 사용하는 버섯 이야기
  • 약용버섯 이야기(58): 턱수염버섯과 개능이
  • 약용버섯 이야기(57): 주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6): 해면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5): 졸각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4): 황분균
  • 약용버섯 이야기(52): 유산된외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1): 좀밀양산버섯과 갈색쥐눈물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0): 두엄흙물버섯(두엄먹물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9): 방망이싸리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8): 뿔나팔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7): 기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6): 구멍장이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5): 도장버섯, 미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4): 주름찻잔버섯
  • 미국 야생버섯 중독사례에서 배우는 교훈들
  • 약용버섯 이야기(43): 한입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2): 느티만가닥버섯
  • 자갈버섯류는 범죄 과학수사를 위한 법균류학의 선구자?
  • 균환(菌環)과 버섯에 대한 미신(迷信)
  • 약용버섯 이야기(41): 검은잔버섯
  • 자작나무버섯의 식용여부에 대하여
  • 2014년 갑오년을 맞으면서
  • 약용버섯 이야기(40): 콩버섯
  • 피칸 과수원의 숨은 보물: 송로버섯(Truffles)
  • 약용버섯 이야기(39): 갓버섯류
  • 세발버섯의 성장 관찰
  • 약용버섯 이야기(38): 잿빛만가닥버섯
  • 엄청나게 많이 돋는 붉은말뚝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37): 송이(松栮)
  • 2012년 북미 신종 버섯 이야기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