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산야초 이야기
[충기피식물30] 감자감자에 들어 있는 유독성분인 솔라닌(solanine)은 잎과 싹, 감자 껍질과 눈에 많다. 곤충이나 병원균, 포식자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만들어내는 성분이므로 살균, 살충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감자(Solanum tuberosum L.)는 가지과의 한해살이풀로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의 고원지대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16세기에 유럽을 거쳐 인도, 중국에 전파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1824년과 1825년 사이에 관북에서 처음 들어왔다는 기록이 조선 후기 실학자 이규경의「오주연문장전산고」에 전한다. 김창환이 지은 「원저보」에는, 1832년 영국의 상선이 전라북도 해안에서 약 1개월간 머물고 있을 때, 배에 타고 있던 선교사가 씨감자를 나누어 주고 재배법을 가르쳐주어 보급시키게 된 내력이 기록되어 있다.

 

 

www.jadam.kr 2010-01-16 [ 유걸 ]
땅속 덩이줄기인 감자

 

감자는 전 세계 온대지방에서 널리 재배된다. 높이는 60∼100cm로, 땅속에 있는 줄기마디로부터 기는줄기가 나와 그 끝이 비대해져 우리가 먹는 덩이줄기를 형성한다. 덩이줄기의 오목하게 팬 눈 자국에서 싹이 돋아난다. 잎은 줄기의 각 마디에서 나오는데 대개 3∼4쌍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6월경에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기다란 꽃대가 나와 엷은 자주색 또는 흰색의 꽃이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은 지름 2∼3cm 정도이며 5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꽃이 진 뒤에 토마토 비슷한 작은 열매가 달린다.

 

 

www.jadam.kr 2010-01-16 [ 유걸 ]
잎은 겹잎이며 6월경 자주색 또는 흰색의 꽃이 핀다

 

재배 방법
재배는 비교적 한랭한 지역의 배수가 잘 되는 밭이 적당하다. 봄 재배의 경우 싹이 서리피해를 받지 않도록 지역에 따라 2월 하순부터 4월 하순에 걸쳐 파종한다. 파종 며칠 전에 미리 씨감자를 하나 이상의 눈이 남도록 하여 무게가 25~30g정도가 되게 쪼갠다. 보통 큰 씨감자는 2~4등분하고 아주 작은 것은 그냥 심으면 된다. 쪼갠 후 3~4일 정도 그늘에서 보관해 절단면이 아물도록 한 후 심는 것이 좋다. 재가 있다면 절단면에 묻혀주는 것도 좋다. 지역에 따라서는 여름에 심어 가을에 수확하기도 한다.

 

심는 방법은 이랑폭 60~75cm, 포기사이 20~25cm 정도로 하여 깊이 10cm이상 묻히도록 자른면을 아래로 하여 심는다. 파종 후 20~30일이 지나면 싹이 올라온다. 실한 감자를 얻으려면 2개 정도의 싹만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해 주는 것이 좋다. 꽃이 필 때 꽃따주기를 해도 역시 감자가 굵어진다. 줄기와 잎이 시드는 하지 무렵 수확한다. 수확한 감자는 그늘에서 3일정도 말린 후 통풍이 잘 되는 박스에 담아 그늘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www.jadam.kr 2010-01-16 [ 유걸 ]
씨감자는 2~4등분하여 심는다

 

약성 및 활용
감자를 독일·러시아에서는 주식으로 이용하기도 하나 보통은 샐러드·튀김·수제비·조림 등 부식과 녹말, 엿, 주정, 당면 등 각종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감자는 수분 70%, 전분(녹말) 13∼20%, 단백질 1.5∼2.6%, 환원당 0.2%, 회분 0.6∼1%로 이루어졌는데, 질소화합물의 절반을 차지하는 아미노산 중에는 밀가루보다 더 많은 필수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동의학사전」에서는 감자에 대해서,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기(氣)를 보하고 비장과 위장을 튼튼하게 한다. 감자에는 독성이 센 솔라닌이 들어 있는데 소량에서는 강심작용, 소염작용, 조혈기능강화작용을 나타낸다. 위염, 위 및 십이지장궤양, 화상, 이하선염 등에 쓴다. 짓찧어 생즙을 내어 한번에 50ml씩 하루 2번 아침, 저녁 식전에 먹는다. 삶아 먹기도 한다. 외용약으로 쓸 때에는 생즙을 바르거나 생즙에 식초를 섞어서 바른다. 감자꽃과 감자싹에서는 글리코알칼로이드를 갈라내어 백혈구감소증을 예방 치료하는 데와 알레르기성질병, 류마티스성관절염에 쓴다. 즉 한번에 0.01~0.02g씩 하루 한번 먹거나 한번에 0.03g씩 하루걸러 한번 먹는다."고 기록하고 있다.

 

 

www.jadam.kr 2010-01-16 [ 유걸 ]
파랗게 변색된 감자껍질과 눈에는 솔라닌이 많이 들어있다

 

감자에 들어 있는 유독성분인 솔라닌(solanine)은 덩이줄기보다 잎과 줄기, 싹에 많다. 덩이줄기에도 껍질과 눈에는 함량이 높다. 덩이줄기를 햇볕에 두면 푸르게 변하는데, 이는 솔라닌 함량이 높아졌다는 걸 의미한다. 이를 먹으면 독성이 있어 위장장해와 식중독을 일으키게 되므로 싹이 튼 감자는 싹 부분을 도려내고 먹거나 푸르게 변한 감자는 먹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솔라닌은 과다복용 시 메스꺼움, 설사, 구토, 위경련, 심부정맥,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죽음에까지도 이를 수 있다. 연구에 의하면 체중 1kg당 3~6mg의 경우 치명적이라고 한다. 솔라닌은 다른 가지과 식물인 까마중이나 토마토 등에도 들어 있는데 곤충이나 병원균, 포식자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만들어내는 성분이므로 살균, 살충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솔라닌 자체는 물에 거의 녹지 않으나 솔라닌염산염(solanine hydrochloride)은 물에 잘 녹아 농업용 살충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친환경농업에서는 감자의 잎과 줄기, 또는 음식으로 활용하고 남은 감자껍질을 생즙을 내거나 물에 우려내어 천연 살충, 살균제로 활용하고 있다.

 

유걸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0.01.16 22:34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야초

icon관련키워드기사
  • 광대나물 - 산야초 즐기기108
  • 꽃다지 -산야초 즐기기107
  • 구기자 - 산야초 즐기기106
  • 쇠무릎(우슬) - 산야초 즐기기105
  • 인삼 - 산야초 즐기기104
  • 세발나물(갯개미자리) - 산야초 즐기기103
  • 백하수오(큰조롱) - 산야초 즐기기102
  • 도꼬마리 - 산야초 즐기기101
  • 모과 - 산야초 즐기기100
  • 청미래덩굴 - 산야초 즐기기99
  • 석류 - 산야초 즐기기98
  • 천마 - 산야초 즐기기97
  • 하수오 - 산야초 즐기기96
  • 한련초 - 산야초 즐기기95
  • 삽주 - 산야초 즐기기94
  • 함초(퉁퉁마디) - 산야초 즐기기92
  • 참나리 - 산야초 즐기기91
  • 사상자 - 산야초 즐기기90
  • 메꽃 - 산야초 즐기기89
  • 초롱꽃 - 산야초 즐기기88
  • 일월비비추 - 산야초 즐기기87
  • 제비꽃 - 산야초 즐기기86
  • 짚신나물 - 산야초 즐기기85
  • 고들빼기 - 산야초 즐기기84
  • 돌미나리 - 산야초 즐기기83
  • 쑥 - 산야초 즐기기82
  • 둥굴레 - 산야초 즐기기81
  • 잔대 - 산야초 즐기기80
  • 천문동 - 산야초 즐기기79
  • 석창포 - 산야초 즐기기78
  • 하늘타리 - 산야초 즐기기77
  • 와송(바위솔) - 산야초 즐기기75
  • 토란 - 산야초 즐기기74
  • 여주 - 산야초 즐기기73
  • 칡 - 산야초 즐기기72
  • 산초 - 산야초 즐기기71
  • 닭의장풀 - 산야초 즐기기70
  • 왕고들빼기-산야초 즐기기69
  • 소엽(차즈기) - 산야초 즐기기68
  • 엉겅퀴 - 산야초 즐기기65
  • 돌나물 - 산야초 즐기기64
  • 씀바귀 - 산야초 즐기기63
  • 달래 - 산야초 즐기기62
  • 머위 - 산야초 즐기기61
  • 곰보배추 - 산야초 즐기기60
  • 별꽃 - 산야초 즐기기59
  • 도라지 - 산야초 즐기기58
  • 지황(地黃) - 산야초 즐기기57
  • 헛개나무 - 산야초 즐기기56
  • 갓 - 산야초 즐기기55
  • 마가목 - 산야초 즐기기54
  • 더덕 - 산야초 즐기기53
  • 감국 - 산야초 즐기기52
  • 모시풀 - 산야초 즐기기51
  • 양하(양애) - 산야초 즐기기50
  • [충기피식물 124] 쪽
  • 오미자 - 산야초 즐기기49
  • 배초향(방아) - 산야초 즐기기48
  • 가지 - 산야초 즐기기47
  • [충기피식물 123] 머귀나무
  • 복분자딸기 - 산야초 즐기기46
  • 수리취 - 산야초 즐기기45
  • 벌깨덩굴 - 산야초 즐기기44
  • [충기피식물 122] 짚신나물
  • 참당귀 - 산야초 즐기기43
  • 지칭개 - 산야초 즐기기42
  • 전호 - 산야초 즐기기41
  • [충기피식물 121] 딱지꽃(위릉채)
  • 겨우살이 - 산야초 즐기기40
  • 우엉 - 산야초 즐기기39
  • 독활(땅두릅) - 산야초 즐기기38
  • [충기피식물 120] 자금우
  • 순비기나무 - 산야초 즐기기37
  • 산사나무 - 산야초 즐기기36
  • [충기피식물 119] 노박덩굴
  • 마 - 산야초 즐기기35
  • 광나무 - 산야초 즐기기34
  • [충기피식물 118] 개똥쑥
  • 바디나물 - 산야초 즐기기33
  • 새삼/실새삼 - 산야초 즐기기32
  • [충기피식물 117] 백선(白鮮)
  • 누리장나무 - 산야초 즐기기31
  • 붉나무 - 산야초 즐기기30
  • [충기피식물 116] 로즈제라늄(구문초)
  • 번행초 - 산야초 즐기기29
  • 연꽃 - 산야초 즐기기28
  • [충기피식물 115] 상산(常山)
  • 곰취/곤달비 - 산야초 즐기기27
  • 석이버섯 - 산야초 즐기기26
  • 어수리 - 산야초 즐기기25
  • 파드득나물 - 산야초 즐기기24
  • [충기피식물 114] 황칠나무
  • 음나무 - 산야초 즐기기23
  • 참죽나무 - 산야초 즐기기22
  • [충기피식물 113] 유칼립투스
  • 원추리 - 산야초 즐기기21
  • 산마늘 - 산야초 즐기기20
  • [충기피식물 112] 인동덩굴
  • 냉이 - 산야초 즐기기19
  • [충기피식물 111] 만병초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