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버섯 이야기
약용버섯 이야기(15): 말굽버섯

 

www.jadam.kr 2012-11-26 [ 최종수 ]
말굽버섯. 꼭 말굽처럼 생겼다.

 

Fomes fomentarius(L.:Fr.) Kickx. 영어속명 True Tinder Polypore, Surgeon's Fungus, 또는 Amadou. 학명 가운데 fomes와 foment는 “부싯깃”을 뜻한다. Amadou라는 속명(俗名)은 “...을 연모하는” 또는 “삶을 불태우는”이라는 뜻을 가진 프랑스 북부지방 방언에서 온 이름으로 말굽버섯으로 만든 해면상(海綿狀)의 물질을 가리킨다. 그런데 바로 이 물질을 바로 부싯깃이나 지혈 따위에 사용하는 것이다. 말굽버섯은 이름 그대로 꼭 말굽처럼 생겼고 회색-회갈색-회흑색으로 딱딱하고 말굽처럼 두껍다. 이 버섯은 살아있거나 죽은 활엽수에 돋는데 특히 자작나무에 주로 돋고 단풍나무(maple)나 포플러나무에도 돋는다. 전 세계에 분포하여 지역에 따라 비교적 흔한 버섯이다.

 

말굽버섯과 민속문화

 

시베리아 칸티(Khanty) 부족은 말굽버섯과 전나무 (silver fir유럽 원산, 어린 가지는 회색의 잔털로 덮여 있음) 껍질을 섞어 초상집에서 운구가 끝날 때까지 향불을 피울 때 사용하였다. 그 목적은 죽은 사람이나 어떤 초자연적 존재가 살아 있는 사람에게 나쁜 영향을 끼치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서라고 한다. 비슷한 풍습이 일본 북부지방에도 있는데 특히 재난이 있을 때 악령을 쫓기 위해서다. 서양에서도 제단에서 이승으로부터 저승으로 옮겨가는 생명의 상징으로 말굽버섯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www.jadam.kr 2012-11-26 [ 최종수 ]
자작나무에 돋은 말굽버섯 두 송이

 

말굽버섯의 전통의학적 사용 및 민간요법

 

주전 8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중석기 시대의 주거 유적지에서 말굽버섯의 잔재를 발견하였는데 아마도 인간이 버섯을 사용한 최초의 사례가 아닌가 싶다. 주전 400년경 히포크라테스는 상처에 뜸을 뜨는 데 사용하였고 염증 치료에도 이용하였다. 말굽버섯에 불을 붙여 연기 나는 버섯을 감염된 부위에 발라서 뜸을 떴던 것이다. 유럽 최북단에 있는 라플란드 사람들(Laplanders)도 같은 목적으로 말굽버섯을 사용하였다. 캐나다 중앙부에 살던 크리(Cree) 아메리카 원주민도 말굽버섯을 가루로 만들어 동상 걸린 피부에 말랐다고 한다. 그리고 관절염 치료를 위하여 말굽버섯을 잘라서 피부 위에 올려놓고 태워 뜸을 뜸으로써 통증 있는 부위의 혈액순환을 도왔다고 한다.

 

 

www.jadam.kr 2012-11-26 [ 최종수 ]
자작나무버섯(=자작나무말굽버섯). 알프스 얼음 계곡에서 발견된 Ice Man의 쌈지에서 나온 버섯 가운데 하나.

 

1991년 유럽 알프스 산에서 발견된 저 유명한 Ice Man의 쌈지에서 자작나무버섯과 말굽버섯이 발견되었는데, 자작나무버섯은 장의 기생충을 구제하기 위하여, 또 말굽버섯은 부싯깃으로 쓰기 위해 소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살 속으로 파고드는 발톱을 치료하기 위해 말굽버섯을 발톱과 살 사이에 끼워 넣었다고 한다. 또 민간에서 신장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말굽버섯을 달여 복용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지혈을 위한 수렴제로, 상처부위나 류마치즘에 뜸용으로, 방광염, 위암, 자궁암, 식도암 치료용으로, 월경통, 치질 치료용으로도 말굽버섯을 사용하였는데 1938년 Killermann이라는 사람은 말굽버섯의 활성 물질이 “fomitin" 성분이라는 것을 보고하였다.

 

 

www.jadam.kr 2012-11-26 [ 최종수 ]
말굽버섯이 죽은 자작나무 위에 저 높이 까지 주욱 돋았다.

 

옛날 중국에서는 말굽버섯이 그 맛이 순하고 약간 쓰며 활력에 도움을 주고 소화 불량과 울혈을 풀어줄 뿐만 아니라, 폐를 덥게 하고 복부의 종기를 제거하며 천식과 종기를 고친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말굽버섯을 수리가네다케(tsuriganetake)라 하여 깊은 외상의 지혈을 위해 썼고 차로 달여 감기, 독감, 기관지염, 일반 허약을 고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인도에서는 이뇨제, 완화제, 신경강장제로 썼고 역시 인도에서도 외상과 화상을 입었을 때 수렴제로 사용하였다.

 

말굽버섯의 균사체는 대장균을 먹이로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Paul Stamets는 말굽버섯에 이러한 항균작용이 있기 때문에 옛날 국이나 쑵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같다고 하였다. 말굽버섯의 균사체는 곡식류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앞으로 곡물을 이용한 대량 재배의 가능성을 보고 있다.

 

말굽버섯의 현대 의학적 사용

 

화학성분: 말굽버섯은 단백질 15%, 지방질 3.5%, 함수탄소 70%를 함유하고 있다. 또 말굽버섯 100g당 국제단위 66 비타민 D, 포타슘 760mg, 니아신, 구리, 철, 셀레늄, 비타민 B5, 혈액형 B,O,A에 특이성을 가진 렉틴, benzotropolones, anhydrofomentariol, fomentaric 산, 포도당 산화효소, polyporic 산 C, ugulinic acids, 알카로이드, fungisterol, 에고스테롤, 페록사이드 등 여러 성분들이 들어 있다.

 

의약적 사용: 중국에서는 식도암, 위암, 자궁암 치료에 말굽버섯을 사용하고 또 소화 불량과 울혈을 풀기 위해 홍석이(紅石耳)와 함께 달여 복용한다. 말굽버섯의 리그닌(lignin)은 생체내의 단순포진 바이러스를 완전 억제한다. 1993년 아오키(Aoki) 등은 말굽버섯의 항바이러스 성분을 발견하였고, Lidesquist 등은 이미 1989년에 가장 효력 있는 활성성분이 에르고스테롤 페록사이드라는 것을 밝혀낸 바 있다. 또 메타놀 추출물은 항염, 항암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균과 미국 병원에서 감염되는 균에 항균성이 있다. 항암성은 sarcoma 180 쥐 실험 억제율 80%, Ehrlich 복수암 억제율 70%인 것 외에도 그람양성균 억제, 해열, 이뇨작용이 있다.

 

 

www.jadam.kr 2012-11-26 [ 최종수 ]

 

화장품에 말굽버섯 이용

 

말굽버섯에는 여러 종류의 방향유(essential oil)와 방향물질이 들어 있다. 피부노화를 치료하거나 막아주는 성분도 들어 있다. 여러 종류의 mucopolysaccarides와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토마토 등에서 발견되는 물질로 항암, 심장질환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짐) 성분은 (원자력공학) 유리기 제거제(free radical scavengers)인 한편 여러 사포닌 성분은 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 또 고리형 아데노신 인산은 피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험이 있다. 뿐만 아니라 말굽버섯 추출물은 자외선 차단 로숀과 얼굴에 바르는 로숀, 모발용 화장품, 거칠고 염증을 일으킨 피부에 습기를 주는 크림이나 로숀에도 이용할 수 있다. 말굽버섯의 특유한 향기는 주로 베타 phellandrane과 베타 mycrene 성분 때문이라고 한다.

 

방직산업에 말굽버섯 이용

 

비록 불이 잘 붙기는 해도 따뜻하고 단열력(斷熱力) 때문에 옷감이나 담요을 만드는 천에 말굽버섯을 혼합할 수 있다. 로마니아, 헝가리와 다른 유럽 국가에서 유연한 말굽버섯“felt"는 모자, 지갑과 다른 의류 제조에 사용된다. 말굽버섯의 거친 부분을 재와 함께 뜨거운 물에 불린 다음 나무망치 같은 것으로 내려친다. 그러면 본래 크기보다 10배나 늘어나게 된다. 이것을 흔히 "German felt" 라고 부른다.

 

천연농약, 살충제로 이용

 

Paul Stamets는 말굽버섯이 오염이나 그 밖의 스트레스 요인으로 영향 받기 쉬운 것으로부터 나무의 방어력을 북돋아줌으로써 다른 균류로 말미암아 병드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내생식물(endophyte)일지도 모른다고 하였다. 버섯을 오랜 세월 많이 관찰하다 보면 한 종류의 버섯이 일단 돋으면 다른 버섯은 돋지 않는 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아마도 한 종류의 버섯이 다른 종류의 버섯을 돋지 못하도록 막는 것 같아 보인다. 말굽버섯에는 rac-oct-1-en-3-ol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 성분은 여러 나무에 사는 다양한 종류의 딱정벌레들을 유인하는 성분이다. 또 말굽버섯은 딱정벌레(saproxylic beetles) 현장 유인물질로 사용하고 있다. 노르웨이에서 연구한 바에 따르면 딱정벌레들이 숲속에서 버섯의 포자를 옮겨 주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www.jadam.kr 2012-11-26 [ 최종수 ]

 

그 밖의 말굽버섯 이용

 

일부 독일 지방과 전에 보헤미아였던 일부 지역에서는 말굽버섯의 속을 파내고 화분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또 바늘이 녹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말굽버섯을 바늘방석으로도 사용한다. 또 미국에서는 말굽버섯을 담배 필터로 사용하기 위하여 특허를 내기도 하였다고 한다. 그 밖에도 말굽버섯 부드러운 부분에 모래를 섞어 면도날을 세우는 데도 이용한다고 한다.

 

말굽버섯 용법 용량

 

1. 식도암, 위암, 자궁암 치료에 말린 말굽버섯 15-20g을 물에 달여 하루 두 번 복용한다.

 

2. 소아 식체 치료에 말굽버섯 9g과 홍석이(紅石耳) 13g을 물에 달여 하루 두 번 복용한다. @

 

참고서적: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p. 146-152.

 

Christopher Hobbs, Medicinal Mushrooms: An Exploration of Tradition, Healing, & Culture, Loveland, Co.: Interweave Press, 1996(3rd Ed.), pp. 87-88.

 

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484쪽.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2.11.26 05:56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종수#버섯

icon관련키워드기사
  • 19금(禁) 버섯 이야기
  • 톨스토이와 프로이드의 그물버섯
  • 버섯으로 지구 다시 살리기(Mycorestoration)
  • 버섯 발견의 기쁨, 그리고 그 유혹
  • 버섯의 치유력
  • 버섯의 다양한 용도(用途)
  • "버섯: 그 천(千)의 얼굴"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둘째
  • 긴급 버섯 정보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셋째
  • 화경버섯에서 암 치료약이?
  • 곰보버섯 뒷 이야기
  • 버섯과 지속가능성
  • 버섯의 맛과 냄새에 대하여
  • 개와 독버섯 중독 이야기
  • 송이(松栮) 맛의 화학성분과 그 비밀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첫째
  • 내 고장 버섯들을 알고 계신지요?
  • 집에서도 버섯을 재배할 수 있나요?
  • 지구온난화와 버섯
  • 버섯의 영양가는 어떠한가요?
  • 사람이 버섯을 채취하면 버섯에 해가 되나요?
  • 어떤 버섯이 식용하기에 좋은 것인가요?
  • 채취한 버섯 다루는 방법
  • 광대버섯의 모습
  • 피해야 할 버섯들
  • 언제 어디서 버섯을 만날 수 있을까요?
  • 버섯에 대한 속설 벗겨내기
  • 버섯 채취하러 함께 가실까요?
  • 버섯의 신비에 접하고 나서
  • 버섯이 그린 미술작품들-그 둘째
  • 버섯이 그린 미술작품들-그 첫째
  • 버섯과 문화
  • 경고: 야생버섯 중독!
  • 버섯의 독(毒)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넷째
  • 버섯의 인내와 저 풍요로움
  • 나무의 친구들: 상생의 아름다움
  • "만일 세상에 버섯이 없었더라면"
  • 버섯의 경이로움
  • 버섯이 보여주는 천 가지 얼굴-그 다섯째
  • 버섯과 함께 농사짓기
  • 연지버섯의 예쁘고 귀여운 모습
  • 목이(木耳)와 반유태주의(Anti-Semitism)
  • 사막에서도 버섯이 돋는다
  • 곰보버섯과 더불어 새 봄이
  • 당신은 과연 버섯광(狂)인지요?
  • 약용버섯 이야기(88): 사마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6): 차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4): 아까시흰구멍버섯(아까시재목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3): 꽃구름버섯 속(屬)
  • 새해를 맞이하며 잔 높이 받쳐 들고
  • 약용버섯 이야기(82): 아까시진흙버섯(임시명)
  • 약용버섯 이야기(81): 마른진흙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9): 개떡버섯(젖색개떡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8): 독청버섯아재비
  • 약용버섯 이야기(77): 배젖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6): 약용버섯에 대한 근거 없는 신화들(2)
  • 약용버섯 이야기(75): 약용버섯에 대한 근거 없는 신화들
  • 약용버섯 이야기(74): 털고무버섯속 Galiella rufa
  • 약용버섯 이야기(73): 기계충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2): 조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1): 노란귀느타리
  • 약용버섯 이야기(70): 테옷솔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69): 혓바늘목이
  • 약용버섯 이야기(68): 구름송편버섯(雲芝)
  • 약용버섯 이야기(64): 민긴뿌리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63): 콩꼬투리버섯속
  • 약용버섯 이야기(62): 좀나무싸리버섯
  • 부싯깃으로 사용하는 버섯 이야기
  • 약용버섯 이야기(58): 턱수염버섯과 개능이
  • 약용버섯 이야기(57): 주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6): 해면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5): 졸각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4): 황분균
  • 약용버섯 이야기(52): 유산된외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1): 좀밀양산버섯과 갈색쥐눈물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0): 두엄흙물버섯(두엄먹물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9): 방망이싸리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8): 뿔나팔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7): 기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6): 구멍장이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5): 도장버섯, 미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4): 주름찻잔버섯
  • 미국 야생버섯 중독사례에서 배우는 교훈들
  • 약용버섯 이야기(43): 한입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2): 느티만가닥버섯
  • 자갈버섯류는 범죄 과학수사를 위한 법균류학의 선구자?
  • 균환(菌環)과 버섯에 대한 미신(迷信)
  • 약용버섯 이야기(41): 검은잔버섯
  • 자작나무버섯의 식용여부에 대하여
  • 2014년 갑오년을 맞으면서
  • 약용버섯 이야기(40): 콩버섯
  • 피칸 과수원의 숨은 보물: 송로버섯(Truffles)
  • 약용버섯 이야기(39): 갓버섯류
  • 세발버섯의 성장 관찰
  • 약용버섯 이야기(38): 잿빛만가닥버섯
  • 엄청나게 많이 돋는 붉은말뚝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37): 송이(松栮)
  • 2012년 북미 신종 버섯 이야기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