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산야초 이야기
[충기피식물 100] 개오동(노나무)뿌리 및 나무껍질의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해열, 해독, 살충의 효능이 있다. 유행병 발열, 황달, 반위, 피부가려움증, 창개(瘡疥)를 치료한다

개오동(Catalpa ovata G.Don)은 능소화과 개오동속의 큰키나무로 높이 6~10m까지 자란다. 중국 원산이다. 분류는 다르지만 잎이나 꽃이 오동나무와 비슷해 개오동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수피는 잿빛을 띤 갈색이며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고 넓은 둥근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3~5개로 얕게 갈라진다. 잎 뒷면은 옅은 녹색으로 맥 위에 잔털이 있고 잎자루는 자주색을 띤다.

 

 

www.jadam.kr 2013-01-14 [ 유걸 ]
능소화과의 큰키나무로 잎이나 꽃이 오동나무와 비슷하다

 

꽃은 6∼7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털이 없다. 꽃받침은 2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입술 모양이며 2개의 노란 줄과 자줏빛 점이 있다. 수술은 완전한 것이 2개, 꽃밥이 퇴화한 것이 3개이다. 열매는 10월에 달린다. 삭과로 길이가 20~30cm이다. 노끈처럼 가늘고 길게 늘어진다. 그래서 노끈나무 혹은 노나무라고도 부른다.

 

 

www.jadam.kr 2013-01-14 [ 유걸 ]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고 넓은 둥근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3~5개로 얕게 갈라진다

 

재배 방법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햇볕이 잘 들고 수분이 많은 땅을 좋아한다. 비교적 생장이 빠른 나무이다. 번식은 씨앗이나 꺾꽂이로 한다.

 

씨앗의 경우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직파하거나 저온으로 저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뿌린다. 발아가 잘 된다. 꺾꽂이의 경우 뿌리나 어린가지를 이용한다. 뿌리는 겨울에, 어린 가지는 잎이 성숙하기 전인 늦은 봄이나 여름에 10cm 길이로 잘라 심는다.

 

 

www.jadam.kr 2013-01-14 [ 유걸 ]
꽃은 6∼7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약성 및 활용
개오동나무를 자목(梓木)이라 하고 뿌리 및 나무껍질(梓白皮)과 열매(梓實)를 약용한다. 뿌리껍질은 봄과 여름에 채취하여 흙과 모래를 씻어 제거하고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열매는 가을에서 겨울까지 채취한다.

 

「중약대사전」에 의하면, “뿌리껍질에는 isoferulic acid, sitosterol, phydroxybenzoic acid이, 나무껍질에는 p-coumaric acid, ferulic acid이 들어 있다. 열매에는 catalposide, des-p-hydroxy benzoylcatalposide, p-hydroxybenzoic acid, citric acid, 납(蠟)이, 종자에는 p-hydroxybenzoic acid, β-sitosterol과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다.

 

 

www.jadam.kr 2013-01-14 [ 유걸 ]
10월에 달리는 열매는 노끈처럼 가늘고 길게 늘어진다

 

뿌리 및 나무껍질의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해열, 해독, 살충의 효능이 있다. 유행병 발열, 황달, 반위(위의 구역질 등), 피부가려움증, 창개(瘡疥)를 치료한다. 열매의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이뇨하며 부종, 만성 신염, 단백뇨를 치료한다. 외용으로 쓰면 살충한다."

 

잎과 열매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아에로게넥스균 및 그람 양성세균, 그람 음성세균, 효모, 곰팡이 등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강한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개오동의 이런 살충, 항균 효과를 친환경농업에서 천연농약으로 이용할 수 있다. 껍질과 잎, 열매 등을 생즙을 내거나 물에 달이거나 알코올에 우려내어 사용한다.

 

유걸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3.01.14 21:31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야초

icon관련키워드기사
  • 광대나물 - 산야초 즐기기108
  • 꽃다지 -산야초 즐기기107
  • 구기자 - 산야초 즐기기106
  • 쇠무릎(우슬) - 산야초 즐기기105
  • 인삼 - 산야초 즐기기104
  • 세발나물(갯개미자리) - 산야초 즐기기103
  • 백하수오(큰조롱) - 산야초 즐기기102
  • 도꼬마리 - 산야초 즐기기101
  • 모과 - 산야초 즐기기100
  • 청미래덩굴 - 산야초 즐기기99
  • 석류 - 산야초 즐기기98
  • 천마 - 산야초 즐기기97
  • 하수오 - 산야초 즐기기96
  • 한련초 - 산야초 즐기기95
  • 삽주 - 산야초 즐기기94
  • 함초(퉁퉁마디) - 산야초 즐기기92
  • 참나리 - 산야초 즐기기91
  • 사상자 - 산야초 즐기기90
  • 메꽃 - 산야초 즐기기89
  • 초롱꽃 - 산야초 즐기기88
  • 일월비비추 - 산야초 즐기기87
  • 제비꽃 - 산야초 즐기기86
  • 짚신나물 - 산야초 즐기기85
  • 고들빼기 - 산야초 즐기기84
  • 돌미나리 - 산야초 즐기기83
  • 쑥 - 산야초 즐기기82
  • 둥굴레 - 산야초 즐기기81
  • 잔대 - 산야초 즐기기80
  • 천문동 - 산야초 즐기기79
  • 석창포 - 산야초 즐기기78
  • 하늘타리 - 산야초 즐기기77
  • 와송(바위솔) - 산야초 즐기기75
  • 토란 - 산야초 즐기기74
  • 여주 - 산야초 즐기기73
  • 칡 - 산야초 즐기기72
  • 산초 - 산야초 즐기기71
  • 닭의장풀 - 산야초 즐기기70
  • 왕고들빼기-산야초 즐기기69
  • 소엽(차즈기) - 산야초 즐기기68
  • 엉겅퀴 - 산야초 즐기기65
  • 돌나물 - 산야초 즐기기64
  • 씀바귀 - 산야초 즐기기63
  • 달래 - 산야초 즐기기62
  • 머위 - 산야초 즐기기61
  • 곰보배추 - 산야초 즐기기60
  • 별꽃 - 산야초 즐기기59
  • 도라지 - 산야초 즐기기58
  • 지황(地黃) - 산야초 즐기기57
  • 헛개나무 - 산야초 즐기기56
  • 갓 - 산야초 즐기기55
  • 마가목 - 산야초 즐기기54
  • 더덕 - 산야초 즐기기53
  • 감국 - 산야초 즐기기52
  • 모시풀 - 산야초 즐기기51
  • 양하(양애) - 산야초 즐기기50
  • [충기피식물 124] 쪽
  • 오미자 - 산야초 즐기기49
  • 배초향(방아) - 산야초 즐기기48
  • 가지 - 산야초 즐기기47
  • [충기피식물 123] 머귀나무
  • 복분자딸기 - 산야초 즐기기46
  • 수리취 - 산야초 즐기기45
  • 벌깨덩굴 - 산야초 즐기기44
  • [충기피식물 122] 짚신나물
  • 참당귀 - 산야초 즐기기43
  • 지칭개 - 산야초 즐기기42
  • 전호 - 산야초 즐기기41
  • [충기피식물 121] 딱지꽃(위릉채)
  • 겨우살이 - 산야초 즐기기40
  • 우엉 - 산야초 즐기기39
  • 독활(땅두릅) - 산야초 즐기기38
  • [충기피식물 120] 자금우
  • 순비기나무 - 산야초 즐기기37
  • 산사나무 - 산야초 즐기기36
  • [충기피식물 119] 노박덩굴
  • 마 - 산야초 즐기기35
  • 광나무 - 산야초 즐기기34
  • [충기피식물 118] 개똥쑥
  • 바디나물 - 산야초 즐기기33
  • 새삼/실새삼 - 산야초 즐기기32
  • [충기피식물 117] 백선(白鮮)
  • 누리장나무 - 산야초 즐기기31
  • 붉나무 - 산야초 즐기기30
  • [충기피식물 116] 로즈제라늄(구문초)
  • 번행초 - 산야초 즐기기29
  • 연꽃 - 산야초 즐기기28
  • [충기피식물 115] 상산(常山)
  • 곰취/곤달비 - 산야초 즐기기27
  • 석이버섯 - 산야초 즐기기26
  • 어수리 - 산야초 즐기기25
  • 파드득나물 - 산야초 즐기기24
  • [충기피식물 114] 황칠나무
  • 음나무 - 산야초 즐기기23
  • 참죽나무 - 산야초 즐기기22
  • [충기피식물 113] 유칼립투스
  • 원추리 - 산야초 즐기기21
  • 산마늘 - 산야초 즐기기20
  • [충기피식물 112] 인동덩굴
  • 냉이 - 산야초 즐기기19
  • [충기피식물 111] 만병초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