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산야초 이야기
[충기피식물60] 은방울꽃식물 전체가 유독하다. 식물 전체에 독성분이 분포하나 특히 뿌리줄기, 꽃, 씨앗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생리작용은 디기탈리스의 것보다 훨씬 강하다. 다른 강심배당체보다 활성이 센 반면 지속 시간은 짧다

은방울꽃(Convallaria keiskei Miq.)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에서 자라며 높이 25∼35cm 정도이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무리지어 새순이 나온다. 수염뿌리가 있다. 2장의 어린잎은 돌돌 말려 나고 자라면서 마주 본다. 잎몸은 긴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길이 12∼18cm, 폭 3∼7cm이다.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가 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www.jadam.kr 2011-05-11 [ 유걸 ]
5~6월에 종 모양의 꽃이 일렬로 달린다

 

5~6월에 꽃줄기 끝에서 종 모양의 흰색 꽃 6~12개가 일렬로 아래를 향해 핀다. 향기가 있다. 꽃은 끝이 6개로 갈라져서 뒤로 젖혀지고, 수술 또한 6개로 화관 밑부분에 붙어 있다. 암술대는 짧다. 꽃줄기는 잎 아래서 나오며, 포는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고 넓은 줄 모양이다.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며 7월에 붉게 익는다.

 

 

www.jadam.kr 2011-05-11 [ 유걸 ]
2장의 어린잎은 돌돌 말려 나고 자라면서 마주 본다

 

재배 방법
은방울꽃은 각처의 활엽수 밑이나 높은 산의 풀밭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부식질이 많고 습윤한 점질양토를 좋아한다. 반그늘 또는 큰나무 밑에 산모래와 부엽토를 섞어서 심어 가꾸면 잘 자란다. 번식은 포기나누기와 씨앗으로 한다.

 

포기나누기의 경우 잎이 진 11월이나 이른 봄에 실시한다. 포기는 너무 잘게 나누지 말고, 3년에 한 번 꼴로 한다. 씨앗에 의한 실생번식의 경우에는 개화까지 5년 이상이 걸린다. 화분에서 재배할 때는 바깥에서 월동시킨 후 이른 봄에 실내로 들여 창가에 두면 일찍 꽃을 볼 수 있다. 개화 후에는 반그늘에 놓아둔다.

 

 

www.jadam.kr 2011-05-11 [ 유걸 ]
잎몸은 긴 타원형으로 산마늘과 닮았다

 

약성 및 활용
관상용으로 심고, 꽃은 향기가 은은하여 고급 향수를 만드는 재료로 쓰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전초 및 뿌리를 영란(鈴蘭)이라 하여 심장쇠약·부종·타박상 등에 약재로 쓴다. 그러나 식물 전체가 유독하다. 아름다운 꽃도 그렇고, 먹음직스러워 보이는 어린싹도 위험하다. 잘못 먹으면 심부전증을 일으켜 죽음에까지 이를 수 있는 독성이 강한 식물이다.

 

대표적인 독성분은 콘발라톡신(convallatoxin), 콘발로시드(convalloside), 콘발라톡솔(convallatoxol), deglucocheirotoxin, keioside 등이다. 모두 강심배당체들로 심장에 강한 작용을 일으킨다. 식물 전체에 분포하나 특히 뿌리줄기, 꽃, 씨앗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생리작용은 디기탈리스의 것보다 훨씬 강하다. 콘발라톡신은 다른 강심배당체보다 활성이 센 반면 지속시간은 짧다.

 

 

www.jadam.kr 2011-05-11 [ 유걸 ]
꽃은 끝이 6개로 갈라져서 뒤로 젖혀진다

 

중독 증상으로는 구토, 두통, 어지러움, 시각장애, 여맥, 혈압저하 등이 나타난다. 심하면 혈액응고와 심부전에 빠져 사망에 이른다. 콘발라톡신 치사량은 체중 60kg 성인의 경우 18mg으로 알려져 있다. 종종 은방울꽃 잎을 산마늘로 오인하여 식용하고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 실내재배 시 아이가 꽃이나 열매를 먹고 사고가 나기도 한다. 꺾꽂이로 꽂아둔 화병의 물을 마신 것만으로도 아이가 사망한 경우가 있다.

 

은방울꽃에 대해서 <동의학사전>에서는,

 

“봄철 꽃봉오리가 달려 갓 피기 전에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양기(陽氣)를 덥혀 주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혈을 잘 돌게 하고 풍(風)을 없앤다. 주요 성분인 '콘발라톡신'을 비롯한 강심배당체가 강심작용, 이뇨작용(소량에서), 중추신경억제작용, 장운동강화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심장쇠약증, 심장신경증, 심장대상기능장애, 심장경화증, 부종, 부정자궁출혈, 대하, 타박상 등에 쓴다. 하루 3~9g을 탕약으로 먹거나, 가루내어 한번에 0.2~0.3g씩 하루 3번 먹는다. 주사약, 팅크제로도 쓴다."고 적고 있다.

 

친환경농업에서 은방울꽃의 이런 독성을 활용하여 천연농약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전초를 생즙을 내거나 말려 물에 달이거나 알코올에 우려내어 쓴다.

 

유걸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1.05.11 12:58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야초

icon관련키워드기사
  • 광대나물 - 산야초 즐기기108
  • 꽃다지 -산야초 즐기기107
  • 구기자 - 산야초 즐기기106
  • 쇠무릎(우슬) - 산야초 즐기기105
  • 인삼 - 산야초 즐기기104
  • 세발나물(갯개미자리) - 산야초 즐기기103
  • 백하수오(큰조롱) - 산야초 즐기기102
  • 도꼬마리 - 산야초 즐기기101
  • 모과 - 산야초 즐기기100
  • 청미래덩굴 - 산야초 즐기기99
  • 석류 - 산야초 즐기기98
  • 천마 - 산야초 즐기기97
  • 하수오 - 산야초 즐기기96
  • 한련초 - 산야초 즐기기95
  • 삽주 - 산야초 즐기기94
  • 함초(퉁퉁마디) - 산야초 즐기기92
  • 참나리 - 산야초 즐기기91
  • 사상자 - 산야초 즐기기90
  • 메꽃 - 산야초 즐기기89
  • 초롱꽃 - 산야초 즐기기88
  • 일월비비추 - 산야초 즐기기87
  • 제비꽃 - 산야초 즐기기86
  • 짚신나물 - 산야초 즐기기85
  • 고들빼기 - 산야초 즐기기84
  • 돌미나리 - 산야초 즐기기83
  • 쑥 - 산야초 즐기기82
  • 둥굴레 - 산야초 즐기기81
  • 잔대 - 산야초 즐기기80
  • 천문동 - 산야초 즐기기79
  • 석창포 - 산야초 즐기기78
  • 하늘타리 - 산야초 즐기기77
  • 와송(바위솔) - 산야초 즐기기75
  • 토란 - 산야초 즐기기74
  • 여주 - 산야초 즐기기73
  • 칡 - 산야초 즐기기72
  • 산초 - 산야초 즐기기71
  • 닭의장풀 - 산야초 즐기기70
  • 왕고들빼기-산야초 즐기기69
  • 소엽(차즈기) - 산야초 즐기기68
  • 엉겅퀴 - 산야초 즐기기65
  • 돌나물 - 산야초 즐기기64
  • 씀바귀 - 산야초 즐기기63
  • 달래 - 산야초 즐기기62
  • 머위 - 산야초 즐기기61
  • 곰보배추 - 산야초 즐기기60
  • 별꽃 - 산야초 즐기기59
  • 도라지 - 산야초 즐기기58
  • 지황(地黃) - 산야초 즐기기57
  • 헛개나무 - 산야초 즐기기56
  • 갓 - 산야초 즐기기55
  • 마가목 - 산야초 즐기기54
  • 더덕 - 산야초 즐기기53
  • 감국 - 산야초 즐기기52
  • 모시풀 - 산야초 즐기기51
  • 양하(양애) - 산야초 즐기기50
  • [충기피식물 124] 쪽
  • 오미자 - 산야초 즐기기49
  • 배초향(방아) - 산야초 즐기기48
  • 가지 - 산야초 즐기기47
  • [충기피식물 123] 머귀나무
  • 복분자딸기 - 산야초 즐기기46
  • 수리취 - 산야초 즐기기45
  • 벌깨덩굴 - 산야초 즐기기44
  • [충기피식물 122] 짚신나물
  • 참당귀 - 산야초 즐기기43
  • 지칭개 - 산야초 즐기기42
  • 전호 - 산야초 즐기기41
  • [충기피식물 121] 딱지꽃(위릉채)
  • 겨우살이 - 산야초 즐기기40
  • 우엉 - 산야초 즐기기39
  • 독활(땅두릅) - 산야초 즐기기38
  • [충기피식물 120] 자금우
  • 순비기나무 - 산야초 즐기기37
  • 산사나무 - 산야초 즐기기36
  • [충기피식물 119] 노박덩굴
  • 마 - 산야초 즐기기35
  • 광나무 - 산야초 즐기기34
  • [충기피식물 118] 개똥쑥
  • 바디나물 - 산야초 즐기기33
  • 새삼/실새삼 - 산야초 즐기기32
  • [충기피식물 117] 백선(白鮮)
  • 누리장나무 - 산야초 즐기기31
  • 붉나무 - 산야초 즐기기30
  • [충기피식물 116] 로즈제라늄(구문초)
  • 번행초 - 산야초 즐기기29
  • 연꽃 - 산야초 즐기기28
  • [충기피식물 115] 상산(常山)
  • 곰취/곤달비 - 산야초 즐기기27
  • 석이버섯 - 산야초 즐기기26
  • 어수리 - 산야초 즐기기25
  • 파드득나물 - 산야초 즐기기24
  • [충기피식물 114] 황칠나무
  • 음나무 - 산야초 즐기기23
  • 참죽나무 - 산야초 즐기기22
  • [충기피식물 113] 유칼립투스
  • 원추리 - 산야초 즐기기21
  • 산마늘 - 산야초 즐기기20
  • [충기피식물 112] 인동덩굴
  • 냉이 - 산야초 즐기기19
  • [충기피식물 111] 만병초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