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산야초 이야기
[충기피식물 84] 데리스(Derris)예로부터 물고기를 잡을 목적으로 데리스의 뿌리·줄기·잎을 찧어서 하천·연못에 넣거나 화살독 성분으로 이용하였다. 데리스의 뿌리에는 살충 성분인 로테논(Rotenone)이 함유되어 있다. 사람이나 가축 등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은 낮다

데리스(Derris)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아, 미얀마, 필리핀, 태국, 인도 등 동남아시아에 자생하는 콩과의 덩굴성 식물이다. 강가나 강둑 또는 산자락 등 저지대에서 주로 자란다. 데리스의 종류에는 Derris elliptica, Derris malaccensis, Derris uliginosa 등이 있다.

 

 

www.jadam.kr 2012-07-30 [ www.botanic.jp ]
데리스(Derris)는 동남아시아에 자생하는 콩과의 덩굴성 식물이다

 

데리스는 덩굴성으로 큰 나무를 감고 올라가며 16m까지도 자란다. 뿌리는 적갈색을 띤다. 어린 가지에는 거친털이 있고 잎 없이도 수미터까지 뻗어 나간다. 잎은 7~15개의 쪽잎으로 이루어진 복엽이다. 쪽잎은 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어린잎은 양면에 거친 털이 빽빽하다.

 

꽃차례는 잎겨드랑이나 묵은가지에 총생한다. 꽃은 분홍색 또는 흰색을 띠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생후 1년 반 정도면 꽃을 피운다. 열매는 완두꼬투리 모양으로 장타원형이다. 야생에서는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것이 보통이나 재배에서는 열매가 거의 달리지 않는다. 수정에서 열매 맺기까지는 4개월 정도 걸린다.

 

 

www.jadam.kr 2012-07-30 [ www.botanic.jp ]
잎은 7~15개의 쪽잎으로 이루어진 복엽이다

 

재배 방법

 

뿌리로부터 살충성분인 로테논(Rotenone)을 얻기 위해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육묘 후 1년 반에서 2년이면 수확이 가능하다. Derris elliptica는 26개월에 로테논 함량이 최대가 된다. 다양한 토양에서 잘 자라지만 특히 비옥한 점질토에서 잘 자란다. 번식은 씨앗이나 꺾꽂이로 가능하다.

 

꺾꽂이용 가지는 최소 직경 5mm에 1~3마디 되는, 25cm 정도의 길이로 하고 잎은 한 개를 단다. 1년생 데리스에서 8~10개 정도의 삽목을 얻을 수 있다. 25일이면 뿌리가 내린다. 흙이 마르지 않도록 한다. 어린 떡잎이나 꺾꽂이용 가지에 곰팡이병이 들기도 하나 해충 피해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www.jadam.kr 2012-07-30 [ www.botanic.jp ]
분홍색 또는 흰색 꽃차례가 잎겨드랑이나 묵은가지에 총생한다

 

약성 및 활용
예로부터 물고기를 잡을 목적으로 데리스의 뿌리·줄기·잎을 찧어서 하천·연못에 넣거나 화살독성분으로 이용하였다. 이것을 토바(toeba) 또는 튜바(tuba)라고 부른다. 약재로는 방부제와 종기, 나병이나 가려움증의 치료 목적, 낙태 등에 사용하기도 하였다.

 

데리스의 뿌리에는 살충 성분인 로테논(Rotenone)이 함유되어 있다. 데리스 뿌리를 원료로 만든 살충제를 총칭하여 로테논제(rotenone劑)라고 한다. 비선택적 살충제로 가정 원예에서의 곤충구제, 애완견의 기생충이나 진드기구제, 물 관리에서의 어류 구제 등으로도 이용된다.

 

 

www.jadam.kr 2012-07-30 [ www.kew.org ]
데리스의 뿌리에는 살충 성분인 로테논(Rotenone)이 함유되어 있다

 

데리스제는 곤충의 소화 기관, 기문, 체표면을 통하여 살충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는 서서히 나타나는 지효성(遲效性)이다. 사람이나 가축 등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은 낮아 안전하며 작물에 대한 약해(藥害)도 없다. 그러나 어패류에 대한 독성은 매우 높은 편이다.

 

로테논은 토양이나 물에서 빨리 분해된다. 반감기는 1~3일이며, 활성 성분은 햇빛 하에서 봄에는 5~6일안에 분해되고, 여름에는 2~3일내에 분해된다고 알려져 있다. 채소류의 응애류, 배추흰나비, 총채벌레류, 잎벌레류, 바구미류, 과수류의 진딧물류, 방패벌레류, 응애류, 나무이 등에 효과가 있다.

 

유기농업에서 천연살충제로 데리스의 뿌리와 전초를 활용한다. 생즙을 내거나 아세톤·클로로폼 등의 유기용매에 우려내거나 달여서 이용한다. 조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살충력이 떨어지므로 가급적 빨리 사용한다.

 

유걸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2.07.30 00:05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야초

icon관련키워드기사
  • 광대나물 - 산야초 즐기기108
  • 꽃다지 -산야초 즐기기107
  • 구기자 - 산야초 즐기기106
  • 쇠무릎(우슬) - 산야초 즐기기105
  • 인삼 - 산야초 즐기기104
  • 세발나물(갯개미자리) - 산야초 즐기기103
  • 백하수오(큰조롱) - 산야초 즐기기102
  • 도꼬마리 - 산야초 즐기기101
  • 모과 - 산야초 즐기기100
  • 청미래덩굴 - 산야초 즐기기99
  • 석류 - 산야초 즐기기98
  • 천마 - 산야초 즐기기97
  • 하수오 - 산야초 즐기기96
  • 한련초 - 산야초 즐기기95
  • 삽주 - 산야초 즐기기94
  • 함초(퉁퉁마디) - 산야초 즐기기92
  • 참나리 - 산야초 즐기기91
  • 사상자 - 산야초 즐기기90
  • 메꽃 - 산야초 즐기기89
  • 초롱꽃 - 산야초 즐기기88
  • 일월비비추 - 산야초 즐기기87
  • 제비꽃 - 산야초 즐기기86
  • 짚신나물 - 산야초 즐기기85
  • 고들빼기 - 산야초 즐기기84
  • 돌미나리 - 산야초 즐기기83
  • 쑥 - 산야초 즐기기82
  • 둥굴레 - 산야초 즐기기81
  • 잔대 - 산야초 즐기기80
  • 천문동 - 산야초 즐기기79
  • 석창포 - 산야초 즐기기78
  • 하늘타리 - 산야초 즐기기77
  • 와송(바위솔) - 산야초 즐기기75
  • 토란 - 산야초 즐기기74
  • 여주 - 산야초 즐기기73
  • 칡 - 산야초 즐기기72
  • 산초 - 산야초 즐기기71
  • 닭의장풀 - 산야초 즐기기70
  • 왕고들빼기-산야초 즐기기69
  • 소엽(차즈기) - 산야초 즐기기68
  • 엉겅퀴 - 산야초 즐기기65
  • 돌나물 - 산야초 즐기기64
  • 씀바귀 - 산야초 즐기기63
  • 달래 - 산야초 즐기기62
  • 머위 - 산야초 즐기기61
  • 곰보배추 - 산야초 즐기기60
  • 별꽃 - 산야초 즐기기59
  • 도라지 - 산야초 즐기기58
  • 지황(地黃) - 산야초 즐기기57
  • 헛개나무 - 산야초 즐기기56
  • 갓 - 산야초 즐기기55
  • 마가목 - 산야초 즐기기54
  • 더덕 - 산야초 즐기기53
  • 감국 - 산야초 즐기기52
  • 모시풀 - 산야초 즐기기51
  • 양하(양애) - 산야초 즐기기50
  • [충기피식물 124] 쪽
  • 오미자 - 산야초 즐기기49
  • 배초향(방아) - 산야초 즐기기48
  • 가지 - 산야초 즐기기47
  • [충기피식물 123] 머귀나무
  • 복분자딸기 - 산야초 즐기기46
  • 수리취 - 산야초 즐기기45
  • 벌깨덩굴 - 산야초 즐기기44
  • [충기피식물 122] 짚신나물
  • 참당귀 - 산야초 즐기기43
  • 지칭개 - 산야초 즐기기42
  • 전호 - 산야초 즐기기41
  • [충기피식물 121] 딱지꽃(위릉채)
  • 겨우살이 - 산야초 즐기기40
  • 우엉 - 산야초 즐기기39
  • 독활(땅두릅) - 산야초 즐기기38
  • [충기피식물 120] 자금우
  • 순비기나무 - 산야초 즐기기37
  • 산사나무 - 산야초 즐기기36
  • [충기피식물 119] 노박덩굴
  • 마 - 산야초 즐기기35
  • 광나무 - 산야초 즐기기34
  • [충기피식물 118] 개똥쑥
  • 바디나물 - 산야초 즐기기33
  • 새삼/실새삼 - 산야초 즐기기32
  • [충기피식물 117] 백선(白鮮)
  • 누리장나무 - 산야초 즐기기31
  • 붉나무 - 산야초 즐기기30
  • [충기피식물 116] 로즈제라늄(구문초)
  • 번행초 - 산야초 즐기기29
  • 연꽃 - 산야초 즐기기28
  • [충기피식물 115] 상산(常山)
  • 곰취/곤달비 - 산야초 즐기기27
  • 석이버섯 - 산야초 즐기기26
  • 어수리 - 산야초 즐기기25
  • 파드득나물 - 산야초 즐기기24
  • [충기피식물 114] 황칠나무
  • 음나무 - 산야초 즐기기23
  • 참죽나무 - 산야초 즐기기22
  • [충기피식물 113] 유칼립투스
  • 원추리 - 산야초 즐기기21
  • 산마늘 - 산야초 즐기기20
  • [충기피식물 112] 인동덩굴
  • 냉이 - 산야초 즐기기19
  • [충기피식물 111] 만병초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