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산야초 이야기
다래 - 산야초 즐기기2갈잎덩굴나무로 다른 식물을 타고 올라간다. 열매는 대추 모양으로 10월에 황록색으로 익으며 맛이 달고 시며 성질은 차다
다래(Actinidia arguta)는 다래나무과의 갈잎덩굴나무이다. 산에서 흔하게 자란다. 다른 식물을 타고 올라간다. 오래된 굵은 줄기는 붉은색을 띠며 얇게 껍질이 벗겨진다. 어린 가지 속의 수는 갈색이고 계단 모양이다. 잎은 어긋난다. 넓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으로 끝이 급하게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는 가는 톱니가 있다. 암수딴그루로 5월에 잎겨드랑이에 3~10개의 자잘한 흰색 꽃이 달리는데 꽃밥은 흑자색이다. 열매는 대추 모양으로 10월에 황록색으로 익으며 맛이 달다.

www.jadam.kr 2013-03-01 [ 유걸 ]
산에 흔하게 자라는 갈잎덩굴나무이다

[중약대사전]에 의하면, “열매는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차다. 열을 내리고 갈증을 멎게 하며 임(淋)을 통(通)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번열, 소갈증, 황달, 석림을 치료한다. 뿌리 또한 맛은 시고 약간 달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조금 있다. 열을 내리고 이뇨하며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간염, 수종, 타박상, 풍습으로 인한 관절통, 임탁, 대하, 부스럼, 나력을 치료한다.

www.jadam.kr 2013-03-01 [ 유걸 ]
오래된 줄기는 붉은색을 띠며 얇게 껍질이 벗겨진다

다래의 열매에는 당, 유기산, 미네랄, 카로틴 등의 색소와 특히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때문에 괴혈병의 예방과 치료에도 쓴다. 줄기에는 다량의 arginine과 상당한 양의 lisine, leucine, alanine, asparagine이 들어 있다. 목질부의 즙액에는 (+) -abscisin Ⅱ가 함유되어 있다. 잎과 줄기는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고, 줄기 수액은 석림(石淋:임질의 일종으로 소변 시 통증과 함께 돌이 석여나오는 증상)을 내리고, 식후 음식물을 토하는 증상을 다스린다.”

www.jadam.kr 2013-03-01 [ 유걸 ]
어린순은 데쳐 나물로 먹는다

아르지닌(arginine)은 어린이나 동물의 성장에 필요한 준필수아미노산이며, 라이신(lisine), 류신(leucine)은 필수아미노산으로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다. 동물성 단백질에 많이 존재하고 식물성 단백질에는 그 함유량이 적다.

[동의학 사전]에서는 다래뿌리 항암효능에 대해서, “위암, 식도암, 유방암, 간염, 관절염 등에 쓸 수 있다. 하루 15~30g을 물로 달여 3번에 나누어 먹되 10~15일을 1치료주기로 하며 1치료주기가 끝나면 며칠 동안 쉬고 다시 쓴다. 4치료주기까지 쓴다. 소양증, 발진, 고창, 구토, 설사 등 부작용이 나타나면 약을 끊어야 한다.”고 적고 있다.

www.jadam.kr 2013-03-01 [ 유걸 ]
열매는 대추 모양으로 10월에 황록색으로 익으며 맛이 달다

번식은 꺾꽂이나 휘묻이로 한다. 병충해 없고 튼튼한 일년생 가지를 겨울에 채취하여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봄에 꺾꽂이 하거나, 2~3년생 가지를 끌어내려 7~10cm 간격으로 상처를 내고 흙에 묻어 뿌리를 내린다.

[다래 즐기는 법]

1. 봄에 줄기 수액을 받아 마신다.

2. 어린순을 데쳐 나물로 먹는다.

3. 열매는 날로 먹거나 잎과 함께 효소를 담근다.

4. 뿌리는 햇볕에 말려 달여 마신다.

유걸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3.03.01 21:49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야초

icon관련키워드기사
  • 광대나물 - 산야초 즐기기108
  • 꽃다지 -산야초 즐기기107
  • 구기자 - 산야초 즐기기106
  • 쇠무릎(우슬) - 산야초 즐기기105
  • 인삼 - 산야초 즐기기104
  • 세발나물(갯개미자리) - 산야초 즐기기103
  • 백하수오(큰조롱) - 산야초 즐기기102
  • 도꼬마리 - 산야초 즐기기101
  • 모과 - 산야초 즐기기100
  • 청미래덩굴 - 산야초 즐기기99
  • 석류 - 산야초 즐기기98
  • 천마 - 산야초 즐기기97
  • 하수오 - 산야초 즐기기96
  • 한련초 - 산야초 즐기기95
  • 삽주 - 산야초 즐기기94
  • 함초(퉁퉁마디) - 산야초 즐기기92
  • 참나리 - 산야초 즐기기91
  • 사상자 - 산야초 즐기기90
  • 메꽃 - 산야초 즐기기89
  • 초롱꽃 - 산야초 즐기기88
  • 일월비비추 - 산야초 즐기기87
  • 제비꽃 - 산야초 즐기기86
  • 짚신나물 - 산야초 즐기기85
  • 고들빼기 - 산야초 즐기기84
  • 돌미나리 - 산야초 즐기기83
  • 쑥 - 산야초 즐기기82
  • 둥굴레 - 산야초 즐기기81
  • 잔대 - 산야초 즐기기80
  • 천문동 - 산야초 즐기기79
  • 석창포 - 산야초 즐기기78
  • 하늘타리 - 산야초 즐기기77
  • 와송(바위솔) - 산야초 즐기기75
  • 토란 - 산야초 즐기기74
  • 여주 - 산야초 즐기기73
  • 칡 - 산야초 즐기기72
  • 산초 - 산야초 즐기기71
  • 닭의장풀 - 산야초 즐기기70
  • 왕고들빼기-산야초 즐기기69
  • 소엽(차즈기) - 산야초 즐기기68
  • 엉겅퀴 - 산야초 즐기기65
  • 돌나물 - 산야초 즐기기64
  • 씀바귀 - 산야초 즐기기63
  • 달래 - 산야초 즐기기62
  • 머위 - 산야초 즐기기61
  • 곰보배추 - 산야초 즐기기60
  • 별꽃 - 산야초 즐기기59
  • 도라지 - 산야초 즐기기58
  • 지황(地黃) - 산야초 즐기기57
  • 헛개나무 - 산야초 즐기기56
  • 갓 - 산야초 즐기기55
  • 마가목 - 산야초 즐기기54
  • 더덕 - 산야초 즐기기53
  • 감국 - 산야초 즐기기52
  • 모시풀 - 산야초 즐기기51
  • 양하(양애) - 산야초 즐기기50
  • [충기피식물 124] 쪽
  • 오미자 - 산야초 즐기기49
  • 배초향(방아) - 산야초 즐기기48
  • 가지 - 산야초 즐기기47
  • [충기피식물 123] 머귀나무
  • 복분자딸기 - 산야초 즐기기46
  • 수리취 - 산야초 즐기기45
  • 벌깨덩굴 - 산야초 즐기기44
  • [충기피식물 122] 짚신나물
  • 참당귀 - 산야초 즐기기43
  • 지칭개 - 산야초 즐기기42
  • 전호 - 산야초 즐기기41
  • [충기피식물 121] 딱지꽃(위릉채)
  • 겨우살이 - 산야초 즐기기40
  • 우엉 - 산야초 즐기기39
  • 독활(땅두릅) - 산야초 즐기기38
  • [충기피식물 120] 자금우
  • 순비기나무 - 산야초 즐기기37
  • 산사나무 - 산야초 즐기기36
  • [충기피식물 119] 노박덩굴
  • 마 - 산야초 즐기기35
  • 광나무 - 산야초 즐기기34
  • [충기피식물 118] 개똥쑥
  • 바디나물 - 산야초 즐기기33
  • 새삼/실새삼 - 산야초 즐기기32
  • [충기피식물 117] 백선(白鮮)
  • 누리장나무 - 산야초 즐기기31
  • 붉나무 - 산야초 즐기기30
  • [충기피식물 116] 로즈제라늄(구문초)
  • 번행초 - 산야초 즐기기29
  • 연꽃 - 산야초 즐기기28
  • [충기피식물 115] 상산(常山)
  • 곰취/곤달비 - 산야초 즐기기27
  • 석이버섯 - 산야초 즐기기26
  • 어수리 - 산야초 즐기기25
  • 파드득나물 - 산야초 즐기기24
  • [충기피식물 114] 황칠나무
  • 음나무 - 산야초 즐기기23
  • 참죽나무 - 산야초 즐기기22
  • [충기피식물 113] 유칼립투스
  • 원추리 - 산야초 즐기기21
  • 산마늘 - 산야초 즐기기20
  • [충기피식물 112] 인동덩굴
  • 냉이 - 산야초 즐기기19
  • [충기피식물 111] 만병초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1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